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合議制行政機關의 設置와 條例制定權 - 대법원 2014. 11. 13. 선고 2013추111 판결 -

        장경원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7 행정판례연구 Vol.22 No.2

        본고는 합의제행정기관의 설치가 지방자치단체장의 고유한 권한인지여부와 지방의회가 조례로 합의제행정기관을 설치하거나 그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법령에 위반되는지에 관한 판례의 입장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합의제행정기관의 설치에 관하여 법령의 위임이 필요한지, 합의제행정기관 설치를 지방의회가 조례로써 제안하는 경우 법령에위반되는지의 여부에 관한 기존 판례의 입장과 비교하여 오늘날 지방분권의 시대에서 자치입법권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판례는 합의제행정기관의 설치에 관하여 지방의회가 조례로 재의결한 것이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조직편성권을 침해하였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대상판결에서의 조례안은 조직편성권자가 제안한 조직을 수정의결하여 조직편성권자의 의사를 왜곡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고, 지방자치단체의최고의 의사형성기관으로서 지방의회가 집행권을 견제하기 위한 적법한 권한행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 사건 조례안의 내용은 단순히 합의제행정기관인 편집위원회의 구성에 주민을 대표하는 지방의회 위원 2명이 지방의회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정도의 비율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고 또한 해당 군수가 위 위원회의 위원을 임명 또는 위촉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합의제행정기관이 아닌 다른 집행기관을 설치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보아 일률적으로 위법한 것으로평가해서는 안 된다. 지방자치단체에서의 합의제행정기관은 다른 집행기관과 달리 민주적이고 신중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 설치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지방의회가 조례로 합의제행정기관을 설치하거나 그 구성위원의 일부를 추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해서 일률적으로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을 침해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대상판례에서는 조례로 설치·구성하려는 기관이 합의제행정기관이 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지방의회의 지방자치단체장에대한 견제수단을 제한할 경우 공정하고 민주적인 의사결정을 지향하는 합의제기관 설치의 본연의 의미를 상실하게 될 우려가 있다. 대법원은 지방자치법상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의 권한 배분에 관한 최종적 해석권을가지고 있는 기관으로서 지방의회가 지방자치단체장의 집행권에 대한 견제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방의회의 조례제정권의 범위를 새로운시각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is belonging to the unique authority of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it deals with whether it violates the law, if the local council establishes an administrative institution by enacting of ordinance. This paper examines whether delegation of laws and ordinances 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It compares past precedents as to whether it violates the law, if the local council proposes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with a ordinance. Finally, it gives opinions on the direction of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today. The judicial precedent of the case in this paper ruled that the decision by the local council in the ca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violated the organization right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it is hard to see the ordinance of the local council for the establishment of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as distorting the intention of the organizational organizer. The self-governing legislative power of local council of the cas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scope of right exercise of legitimate powers to check the executive power. The Ordinance simply lets the 2 members of the local council participate in the composition of the editorial committee, the administrative committee of the consensus system, at a rate that is enough to reflect the opinion of the local council. It also stipulates that the member of the committee shall be appointed or commissioned by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should not be judged as illegal as same as the case of establishing another executive agencies other than the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Unlike other executive agencies,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are necessary for democratic and prudent decision-making. In this case, it should not be seen always as a violation of the authority of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s simply because the local council stipulates the recommending some members for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with ordina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ssue concerned is that the organization to be constituted by the ordinance is the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If we limits the power of checking of the local council against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in this case of establishing the Collegiate Administrative Agencies, it is not meaningful to establish a consensus-based agency that is oriented towards fair and democratic decision-making. The Supreme Court is the body that has the final interpretation authority on the distribution between the authorities of the local governor and the local council in the Local Autonomy Law. Therefore, a new interpretation is needed in order to let the local council properly carry out the checks against the executive power of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 KCI등재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과 국가공무원법

        장경원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9 No.2

        The Civil Service System, which leads national administration, plays a important role in the realization of administrative laws. Nevertheless, it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area of ​​administrative law in Korea. Under these circumstances, identifying the basic ideology of the Civil Service System is meaningful, because it determines the content of public officials-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the direction of enactment and revision of laws. In addition to the Article 7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various laws such as the National Public Officials Act stipulate the contents of the Civil Service System. By the way, there are no explicit rules for its basic concepts or fundamental values. Therefore,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on the basic concepts of the Civil Service System. In this paper, I tried to infer the fundamental principles or rules, which the Civil Service System pursues and should be pursued through the contents of the Constitutional Regul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and the National Civil Service Act. In today's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the traditional Career Civil Service System can no longer remain in the past. As the basic ideology of the Civil Service System,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the rule of law are fundamental values. The Civil Service System should be operated based on these.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seems to be in the middle stage between the basic ideology of the Civil Service System pursu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National Civil Service Act. If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traditional Career Civil Service System, 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National Civil Service Act in a way that does not undermine its basic ideology. At the same time, new changes attempted in the civil service laws must be faithful 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democracy and rule of law.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has contributed to providing administrative services to the public by guaranteeing the stability of their status. But this could not guarantee the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stability of the public service organization, which is the core content of the career Civil Service System, has limitations in terms of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public service society or the active response to social environmental changes.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public official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administrative services to the public, performance management through competition and the opening of public officials appointments to private sector are necessary. These changes are a desirable direction for our Civil Service System today. In the process of such change, our legislators have to seek out and apply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again so that the public administrative system based on the Civil Service System can be carried out. 국가행정을 이끌어 가는 공무원제도는 행정법의 실현 단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 행정법의 영역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을 규명하는 것은, 그것이 공무원제도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서의 공무원 관계 법령의 내용을 결정하고, 향후 법령 제・개정의 방향을 결정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우리 실정법이 헌법 제7조를 비롯하여 국가공무원법 등 각종 법령 등에서 공무원제도에 관한 내용을 규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기본이념이나 근본적인 가치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차원에서 더욱더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헌법규정과 직업공무원제도, 국가공무원법의 내용을 통해 공무원제도가 추구‘하고 있는’, 내지는 추구‘해야 할’ 근본적인 원리나 원칙을 추론해 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시대가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전통적인 직업공무원제도는 더 이상 과거에 머물러 있을 수는 없을 것이다.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으로 고려될 수 있는 민주주의의 원리나 법치주의 원리를 근본가치로 생각한다면, 공무원제도는 이를 바탕으로 운용되어야 할 것이며, 직업공무원제도는 헌법이 추구하는 공무원제도의 기본이념과 이를 실현하는 국가공무원법의 중간단계에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통적인 직업공무원제의 변화가 필요하다면 기본이념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국가공무원법에 반영되어야 한다. 동시에 공무원법 관계에서 시도되는 새로운 변화는 민주주의 원리와 법치주의 원리라는 근본이념에 충실하여야 한다. 직업공무원제는 공무원들로 하여금 안정된 신분을 바탕으로 국민들에게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해 왔으나, 지나친 신분 보장으로 편익보다 비용이 증가하여 서비스 공급의 효율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전통적인 의미에서 직업공무원제도의 핵심내용인 공무원 조직의 안정성은 공직사회가 능률적으로 운용되고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오늘날 요구되는 공직자들의 전문성의 제고와 대 국민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쟁을 통한 성과관리 및 임용의 개방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는 오히려 오늘날 우리의 공무원제도가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이다. 다만 그러한 변화의 과정에서 입법자들은 공무원제도에 의한 국가집행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도록 다시금 그 기본이념 내지는 기본원리를 탐구하고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어려움 탐색

        장경원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learners in problem based learning, in which learners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nd to derive problem based 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based on them. To do this, 75 learners who experienced problem based learning attended and presented their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The learners’ experiences and though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learners did various activities to solve problems such as analyzing the problem, discussion, collecting and study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and presentation. Second, learners studied problem-solving skills,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o on from the experience of problem based learning and pledged that will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eam activities, and collect and use many resources in the next PBL class. Third, learners had difficulties in PBL such as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context of problems, collecting and select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etc. Fourth, learners suggested that they require helpful tips, examples, feedback, and guidelines from their tutor. In summary, learners ha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in problem based learning but they struggled in those activities and they wanted to have assistance from a tutor. However, what learners wanted would depreciate the value of problem based learning. Therefore, the tutor should consider and explain to the learners the underlying difficulties within the course and the educational meaning and thus facilitate appropriate teaching based on the philosophy of PBL.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문제중심학습 운영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을 경험한 75명의 학습자들로부터 그들의 학습경험, 어려움, 그리고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집․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분석, 의견제시, 논의, 자료수집 및 분석, 해결안구성, 발표 등의 활동을 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문제중심학습 경험을 통해 문제해결과정, 집단지성, 연구방법 등에 대해 학습하였고, 향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많은 자료를 수집․활용할 것이라고 다짐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문제 이해 및 분석, 자료수집, 이해, 내용 선택, 문제해결안 도출, 발표 등 문제해결의 전 과정과 팀 활동 수행에서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은 교수자들로부터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힌트, 예시, 피드백 등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종합하면,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하지만, 그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교수자가 이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기 원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원하는 도움은 대부분 문제중심학습의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교수자는 먼저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이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안내하고 격려해야 하며, 그 후에 문제중심학습이 지향하는 교육철학 범위 내에서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 개발

        장경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의 유형 분류체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고,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의 교수자 45명으로부터 130개의 프로젝트기반학습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1차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를 구안하였고 전문가들이 타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이 제시한 타당성 평가 결과와 수정 의견을 반영하여 2차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로 수정 및 보완하였고, 이를 교육 현장의 교수자들이 직접 사용해 본 후 이에 대한 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형성적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 유형 분류체계와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를 합친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통합 유형 분류체계’ 형태로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젝트기반학습 유형 분류체계는 연구 프로젝트기반학습, 제시 프로젝트기반학습, 창조 프로젝트기반학습, 실행 프로젝트기반학습으로 구성된다. 둘째,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는 4개 영역 10개 유형으로 구성되는데, 조사, 실험, 탐구, 표현, 논쟁, 제작, 설계․개발, 경험, 문제해결, 실천 프로젝트이다.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가 두 개 이상의 유형을 활용할 경우 프로젝트기반학습 유형은 연구, 제시, 창조, 실행의 순서 또는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을 먼저 언급하는 순서로 유형명을 작성할 수 있다. 프로젝트기반학습과 프로젝트 유형 분류체계는 실제 프로젝트기반학습 사례를 토대로 개발되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교수자, 학습자, 그리고 교육 현장의 이해관계자들이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이해하고 이에 대해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장경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2

        자기효능감은 효과적으로 어떠한 일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행동을 조직하고 실행하는 것과 관련된 개인의 자신감 수준이다. 경쟁력있는 과제수행을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이 필요하며, 교사에게도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이다. 문제중심학습은 예비교사의 자기효능감을 길러줄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 환경에서 예비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변화되고 무엇이 변화되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일반 자기효능감과 특수 자기효능감은 PBL의 경험이 진행됨에 따라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진술한 자기효능감이 변화된 내용은 ‘교수방법’, ‘교사자질’, ‘전공지식’, ‘문제해결능력’이었다. 문제중심학습 경험 전에도 몇몇 교육대학원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이 높다고 진술하였는데, 학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쳐 본 경험을 토대로 자신감을 표현하거나 그저 막연히 잘할 것 같다는 언급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신의 경험을 근거로 하거나 막연한 자신감은 문제중심학습 경험 후에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근거로 한 자신감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은 예비교사들의 지식,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같은 태도 측면에서도 효과를 갖고 있어서 후에 이들이 좋은 교사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주요한 교수학습 방법임을 알 수 있다. Self-efficacy is an individual\ s level of confidence and self-judgment regarding ability to organize and implement actions needed to perform effectively. Competent task performance requires self-efficacy. PBL is an effective teaching strategy for pre-service teachers to be professions with self-efficacy. This study presented how and what changes in self-efficacy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in PBL environments. The study target was 102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he \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al Technology\ course designed in problem based learning. Solving four PBL problems related to teacher situations, they completed the General & Context-Specific Self-Efficacy Scale and open-ended question about self-efficacy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during the semester,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mean general self-efficacy score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first test(pre-PBL) to the last test(post-PBL). Second, the mean context-specific self-efficacy score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first test(pre-PBL) to the last test(post-PBL). Third, self-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as classified into teaching method, teacher competency, problem solving skill, and major knowledge. Some pre-service teachers who showed self-efficacy attributed it to part-time teaching jobs or did not know the reason. Hence, problem based learning environments can promote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that encourages them to be good teachers.

      • KCI등재

        Development of Scintillation-fiber Sensors for Measurements of Thermal Neutrons in Mixed Neutron-gamma Fields

        장경원,유욱재,박장연,이봉수 한국물리학회 2010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6 No.6

        In this study, we developed scintillation-fiber sensors that could measure neutron doses in mixed neutron-gamma fields. The scintillation-fiber sensors were tested with 252Cf and 60Co sources to demonstrate the capability to discriminate the gamma-ray dose contained in the mixed neutrongamma field. Furthermore, we tested the scintillation-fiber sensors to measure the distributions of thermal neutrons as a func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reactor core at the Kyoto University Critical Assembly (KUCA),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distribution of thermal neutrons obtained using an Au-wire activation method.

      • PBL은 학교 구성원들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학교경영자를 중심으로

        장경원,장선영,김혜정,김연경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이 연구는 대구광역시 PBL 실천학교인 5개 중학교 경영자의 성장과 변화에 대한 것이다. 학교경영자를 대상으로 한 변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PBL 실천학교의 학교경영자들은 내적으로 PBL이라는 새로운 수업방식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신념과 철학(belief)을 갖게 되었고, 외적으로 교사 및 학생에 대한 믿음을 형성하였다. 또한 PBL을 도입한 후, 이전보다 학생, 교사, 학부모과 함께 하는 활동이나 관계 형성(engagement)이 많아졌으며, PBL 수업의 운영을 학교 및 본인의 교육철학 및 신념과 연결하여 학생들과 지속적으로 공유하고, PBL 수업의 필요성과 PBL 도입에 필요한 자신감에 대해 교사들과 공감하고 소통(communication)하였고, PBL 수업의 효과적·효율적 운영을 위해 물리적 및 정서적인 지원(support)을 아끼지 않았다. 연구 결과, PBL은 학생과 교사 뿐만 아니라 학교경영자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성장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와 성장, 그리고 그들의 성찰 내용은 PBL 확산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PBL의 경험 정도에 따라 학교경영자의 성장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학교 경영자를 위한 PBL 연수나 워크숍을 운영할 때는 경험 정도를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교육실습생을 위한 잡크래프팅 프로그램의 적용 사례

        장경원,고수일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20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ecute a job crafting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o identify its effects while drawing out the strengths and improvements of the program so that the educational practice can be a more meaningful educational opportunity. To this end, the Teacher Job Crafting Program was modified to suit the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y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before the standard teacher training.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job crafting tests were conducted for preliminary teachers in three stages (before and after the job crafting program and after teaching practi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vel of job crafting of pre-service teachers increased slightly after the program and significantly after teaching practice. The pre-service teachers evaluated that the job crafting program helped them to understand themselves, their teaching, and perform their teaching duties, thereby helping them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make their teaching practice more proactive.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o provide specific guidelines, preliminary preparation activities, add reflection activities, and increase interaction and feedback time so that job crafting programs can be more effectively operated. This job crafting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is expected to help pre-service teachers with their calling by increasing their abilities as teachers and in implementing future job crafting.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참여하는 교육실습이 보다 의미있는 교육기회가 될 수 있도록 교육실습 전에 ‘예비교사를 위한 잡크래프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고 프로그램의 강점과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용 잡크래프팅 프로그램’을 예비교사들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참여 전에 실행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잡크래프팅 수준의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3차(잡크래프팅 교육 전, 후, 교육실습 후)에 걸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잡크래프팅 검사를 수행하였다. 잡크래프팅 검사 결과, 예비교사들의 잡크래프팅 수준은 프로그램 실행 전<프로그램 실행 후<교육실습 후로 점차 높아졌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잡크래프팅 프로그램이 자기이해, 교직이해, 교직직무수행 측면에서 도움을 주어 교직에 대한 의미를 확인하고 교육실습이 보다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이와 함께 잡크래프팅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공, 사전준비활동 제공, 성찰활동 추가, 상호작용 및 피드백 시간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예비교사를 위한 잡크래프팅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이 교사로서의 소명의식을 구체화하고 자신과 직무에 대한 이해를 높여 교육실습 및 이후 교사로서의 직무수행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Development of a Wide Dose-Rate Range Electron Beam Irradiation System for Pre-Clinical Studies and Multi-Purpose Applications Using a Research Linear Accelerator

        장경원,이만우,임희진,강상구,이상진,김정기,문영민,김진영,정동혁 한국의학물리학회 2020 의학물리 Vol.31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ulti-purpose electron beam irradiation device for preclinical research and material testing using the research electron linear accelerator installed at the Dongnam Institute of Radiological and Medical Sciences. Methods: The fabricated irradiation device comprises a dual scattering foil and collimator. The correct scattering foil thickness, in terms of the energy loss and beam profile uniformity, was determined using Monte Carlo calculations. The ion-chamber and radiochromic films were us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dose-rate (Gy/s) and beam profiles as functions of the source to surface distance (SSD) and pulse frequency. Results: The dose-rates for the electron beams were evaluated for the range from 59.16 Gy/s to 5.22 cGy/s at SSDs of 40一120 cm, by controlling the pulse frequency. Furthermore, uniform dose distributions in the electron fields were achieved up to approximately 10 cm in diameter. An empirical formula for the systematic dose-rate calculation for the irradiation system was established using the measured data. Conclusions: A wide dose-rate range electron beam irradiation device was successfully developed in this study. The pre-clinical studies relating to FLASH radiotherapy to the conventional level were made available. Additionally, material studies were made available using a quantified irradiation system.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nergy, dose-rate, and field uniformity of the irradiat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