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여모델을 적용한 태블릿 PC기반의 AAC중재가 통합된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장현,박은혜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6 No.2

        In Korea, most of AAC intervention studies were taken place in segregated settings. In consequenc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ies were mostly about the interaction with adults. Considering that communication should be functional and meaningful skills, more effort is required to teach AAC withi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focusing on the interaction with nondisabled peers in natural school activities. This research was the first attempt to apply high-tech AAC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n inclusive elementary school.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3 element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difficulty to interact with peers verbally.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ablet PC based AAC intervention which has several important features. First, communication partner training for nondisabled peers and general educators as well as special educators who support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Second, AAC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the newly developed Korean AAC software. Tablet PC was used in order to reduce cognitive and motoric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system.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frequency of communicative behaviour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ural school routines. Both communicative behaviour using AAC device and the other modes such as gesture, vocalization and oral were included and separately analysed. Treatment fidelity and social validity was presented. Maintenance data were measured 3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over. Data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modes of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ablet PC based intervention enhanced number of the communication behaviour, functions and modes. Second, the enhanced communication behaviour was maintained after stopping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ablet PC based AAC intervention through supporting integrated classroom and providing AAC instruction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enhanced communic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통합환경에서 AAC중재를 통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 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1) 일반학급 교사를 지원하고 비장애 학생을 교수하는 일반학급 지원과, 2) 장애 학생에게 AAC프로그램 훈련, 어휘․상징 교수, 상호작용 교수를 제공하는 AAC 훈련으로 이루어진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도구로는 하이테크 AAC도구의 특성을 가진 ‘마이토키’ 프로그램을 8.9인치 태블릿 PC에 설치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학생 3명이었다. 의사소통행동은 총 빈도변화와 기능변화, 양식변화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중재를 받은 세 학생 모두 의사소통행동의 빈도가 증가하였고 비교적 안정된 유지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기능이 다양화되었다. 또한 기초선 기간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AAC양식의 사용빈도가 중재기간 동안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러한 경향은 유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의 통합교육환경에서 일반학급 지원과 장애학생에 대한 AAC 지도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중재요소를 가지고 하이테크 AAC도구를 적용하여 효과를 입증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인들의 인식 및 발전방향 탐색

        임장현,김주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pecial school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ose involved in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role and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The research method was collected and analyzed by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chool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establishment process, six education professionals and five teachers who participated as school founding member. As a result, four categories and 13 themes were identified: 1) Experience in establishing a special education school I: Barriers to establishing a special education school, 2) Experience in establishing a special education school, II: Various efforts to build a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3) Demands for change of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4) Ways to improve community-based special education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win-win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onnection with communities,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miniatur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and change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hardware. 본 연구는 특수학교 설립 및 운영과 관련한 특수교육 관련인들의 경험과 인식을 토대로 특수학교 설립과 운영에서의어려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특수학교의 역할 및 개선 방향을 알아보는 것을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특수학교 설립 과정에 참여한 학교관리자 및 교육전문직 6인과 개설 요원으로 참여했던교사 5인에 대한 포커스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지속적비교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범주와1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특수학교 설립 경험Ⅰ: 특수학교 설립에 대한 장벽, 2)특수학교 설립 경험Ⅱ: 특수학교설립을 위해 쏟았던 다양한 노력들, 3) 특수학교 변화에 대한 요구, 4) 지역사회 기반의 특수학교 설립을 위한 개선방안.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지역사회주민들에 대한 장애인식개선, 지역사회와 연계 강화를 위한 상생 방안, 지자체와의협력, 특수학교의 소규모화와 특성화, 특수학교 하드웨어의 변화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전일제 일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을 위한 부모의 지원 요구

        임장현,손지영 국립특수교육원 2020 특수교육연구 Vol.27 No.1

        통합교육의 양적확대와 함께 전일제 일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들을 위한 통합교육의 질적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일제 일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들의 요구와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일제 일반학급에 자녀를 배치한 학부모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통합교육의 어려움과 지원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적표집 방법으로 8명의 연구참여자가 선정되었으며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지속적 비교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6개 주제와 24개의 하위주제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1) 전일제 일반학급 배치를 결정하게 된 계기, 2) 통합학급에서 제공받은 특수교사의 지원, 3) 통합학급 담임교사의 지원, 4) 일반학급 배치로 인해 부모가 겪는 어려움, 5) 일반학급에 통합된 자녀가 경험하는 어려움, 6) 전일제 일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을 위한 지원요구.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장애학생 교육 격차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 현황과 요구

        임장현,전혜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6

        Although COVID-19 has transitioned to a level 4 infectious disease in 2023 and has entered a stable trend,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the academic and social development gap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used by non-face-to-face learning situations such as remote classes during the COVID-19 period is emerging. there is. Accordingly,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and support the educational status and academic defici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fter COVID-19,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21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17 cities and analyzed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due to COVID-19, the developmental delay and educational gap in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academics, emotions, and behavior deepened, and there was a high demand for manpower support,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medical support for emotional behavior as a way to support th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up results were proposed.

      • KCI등재

        지체장애 성인의 통합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

        임장현,박은혜,이명희,표윤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4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attending general schools have many challenges with academic tasks, social interaction with nondisabled peers and physical accessibility of places or activities. About 70% students amo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 are included general school and that number will be increased. So it needs to do research about inclusion support considering specific needs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y regarding inclusion and to provide the suggestions for inclusion supports. In this study, interviewed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y who were included general schools during school ages about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inclusion.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Six themes emerged from qualitative analysis: (1) the backgrounds to choose inclusion, (2) the positive sides of inclusion, (3) the difficulties during inclusion, (4) the pros and cons of inclusion, (5) the coping strategies with difficulties, (6) the effective ways to support inclusion. Finally, the critical element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upports and researches for successful inclus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y were presented. 이 연구는 과거 통합교육을 경험했던 지체장애 성인을 심층 면담하여 현재 실시되고 있는 통합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려면 통합교육을 준비하고 있는 지체장애 학생과 교사, 학교가 어떤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목적표집에 의하여 선정된 통합교육 경험이 1년 이상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 10명이었으며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질적 분석한 결과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통합교육 선택 배경, (2) 통합교육의 긍정적인 면, (3) 통합교육의 어려움, (4) 통합교육 선택 찬반론, (5) 통합교육의 어려움에 대한 대처방안, (6)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방안. 논의 및 제언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지체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의미를 살펴보고 통합교육 실행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지체장애인을 위한 글자 기반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임장현,박은혜,이설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지체장애는 높은 근 긴장도와 발성의 문제로 구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다양한 AAC 도구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유아부터 성인기에 이르는 다양한 연령대와 의사소통 수준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지만, 국내 AAC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학령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그림상징 기반의 의사소통 도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인지손상이 없는 지체장애 성인의 경우 국내의 상징 기반의 도구로는 의미와 표현의 제한성으로 인하여 충분한 의사소통을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국외의 AAC 프로그램들은 글자 기반으로 다양한 의사소통 콘텐츠를 구축하여 문자 입력 시 단어예측, 문장예측 기능을 통해 빠른 메시지 입력을 지원하고 입력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해주는 음성합성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도입단계에 있는 성인기 AAC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국내외에서 개발된 글자 기반 AAC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들의 주요 특성을 분석하고, 잠재적 사용대상인 지체장애 성인들과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글자기반 AAC프로그램의 주요 특성에 대한 선호도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AAC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any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oral speech due to their spoken language impairment. In developed country, there are many AAC products and programs which consider user’s age, disability type, and communication ability. However, since we are in the early stages of AAC implementation, only some symbol-based AAC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ose programs have limitations both in content depth and expression methods to apply for adults with no or less intellectual disabilities. Recent AAC program development trends in abroad include tablet-PC or smart device-based AAC and text-based AAC. In this research, 9 adults with physical/ communication disabilities and 17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to assess their preferences and needs for the key components of English text-based AAC program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discussions for Korean text-based AAC program development.

      • KCI등재

        앱 기반 읽기 중재에 대한 전문가의 경험과 요구분석

        임장현,박은혜,이현주 한국자폐학회 2016 자폐성 장애연구 Vol.16 No.2

        문해력 습득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에게 맞는 읽기 교수학습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최근 앱 기반 교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반해, 장애학생을 위한 읽기 교수 앱 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앱 기반 문해력 교수 경험이 많은 특수교사 및 언어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앱 활용 읽기교육 경험과 장애학생용 읽기 교수 앱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앱을 활용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읽기교육을 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언어치료사 및 해당 교수경력을 보유한 교수 총 14명이며, 연구참여자의 일정을 고려하여 4개의 그룹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 문해력 교수의 어려움, 읽기 중재 시 앱 활용 경험, 읽기 중재 시 앱 사용의 어려움, 문해력 중재를 위한 앱에 대한 요구사항 및 앱 기반 학습을 위한 사전교육 필요성이라는 5개의 주제와 각각에 대한 다양한 하위주제들이 도출되었다. 특히 장애특성을 고려한 앱 기능의 설계, 앱 콘텐츠의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확보 등이 주요 요구사항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앱 자체의 특성뿐 아니라 교사의 앱 활용 교수법의 중요성 및 이에 대한 명시적 제시의 필요성과 현재의 제한적인 앱 사용 범위의 확장 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litera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is a lack of appropriate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m, especially app for reading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eaching experiences and needs for reading instruction application from the experienced professionals. Participants a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peech pathologists, professors with teaching experience of reading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rofessors of the same teaching experience as a clinician. FGI were implemented with 14 participants as 4 groups. The results showed five themes with 17 sub-themes. Five themes are teaching difficulties in literac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s of application for reading intervention, difficulties in integrating application into reading intervention, need for necessary reading application content and functions, and need for preparation for teachers and students. Especially, need for accessibility for students with various disabilities, importance of linkage between school curriculum and application content were stresse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pp-based instruction model and expanding usage of reading application beyond motivation or reinforce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ASD인을 위한 스마트 교육 미디어로서의 앱 개발 및 연구현황 분석

        임장현,박은혜 한국자폐학회 2012 자폐성 장애연구 Vol.12 No.1

        With the expectation that mobile applications for smart phone and tablet devices has a potential tool to effectively support the performances of persons with ASD, this study analyzed applications developmental trends for ASD and investigate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regarding applications as the smart education media for ASD by reviewing literatur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for ASD by 2012.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applications for ASD as eight domains for use. These 8 domains are communication․language, social skills, visual․auditory support, general education, creative tasks, occupational therapy, information for parents, life and skill support. After analyzing these eight domains, each domain was analysed usability linked to the specialty of ASD. Second, based on the criteria suggested in this study, a total of 11 articles were identified. The artic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including: (1) teaching instruction method using app, (2)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apps and intervention components for ASD, (3) report and analysis of communication support apps. After analyzing these three themes, each article was analyzed with sub-variables across three themes such as published year, participants, research methods, and setting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egarding apps for ASD are provided as follows: (1) It need to develop many Korean apps for ASD and to apply it many ASD participants. (2) To develop apps for ASD, it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 of ASD like communication, organization skills, visual/auditory in-put, academic skills and social skills defections and apps will be used for support these efficiently. (3) It is expected that smart devices have a potential tools as effective individualized education tool in inclusion settings with ASD. (4) It need to develop Korean AAC apps contents. 본 연구는 스마트 폰, 태블릿 기기의 확산과 함께 다양한 앱들이 출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ASD의 특성에 맞추어 개발된 앱 개발 현황들을 살펴보고 국외 연구현황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과제에 주는 시사점과 제언을 찾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앱 개발 현황은 의사소통․언어, 사회적 기술, 시․청각적 지원, 일반교육지원, 창조적 과제, 작업치료, 보호자를 위한 정보제공, 일상생활 기술보조를 위한 8개의 하위 분류로 나누어 ASD의 특성과 연결한 활용 측면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현황 분석은 3가지 연구주제에 따른 분류(Ⅰ. 앱을 이용한 교수방법, Ⅱ. ASD를 위한 앱과 중재의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평가, Ⅲ. 의사소통 지원 앱 소개 및 프로그램 효과 분석)로 나누어 발표연도, 하위 주제에 따른 분류, 연구대상, 연구방법, 환경, 교수법, 중재 도구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으로 첫째, 효과적인 교수지원 도구로서의 앱에 대한 정보와 인식 확산이 필요하고, 둘째, 앱 적용 시 교수목표에 적합한 행동 교수법이 병행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 측면에서 ASD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앱은 효과가 기대되는 잠재력 있는 도구이고, 넷째, 앱을 활용한 교수가 ASD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사회적 수용도를 높여 통합 상황에서 유용하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국내에서 ASD인을 위한 특수교육용 앱 개발과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안과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