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라북도 소아과 개원의의 급성 위장염 환자에 대한 인식 조사

        임소희,고양심,조대선,이신재,황평한,김정수,Lim, So Hee,Koe, Yang Sim,Jo, Dae Sun,Lee, Sin Jae,Hwang, Pyoung Han,Kilgore, P.,Nyhambat, B.,Kim, Jung Soo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12

        목 적 : 전라북도 소아과 개원의의 급성 위장염에 대한 이해와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알아보고 최근 개발된 로타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4월부터 6월까지 전라북도에서 소아과 의원을 개원하고 있는 소아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미리 작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우편배달을 통해 조사하였다. 배포된 설문지 수는 총 82매였고 이 중 63명의 소아과 전문의가 응답하여 회수율은 76.8%였다. 급성 위장염 환자의 비율, 선호하는 치료제 및 방법, 항생제 사용빈도 및 종류, 항생제 사용을 고려하는 임상소견, 급성 위장염 환자에서 시행해 보고 싶은 검사, 로타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관심도와 사용 계획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 과 : 급성 위장염 환자는 연중 발생하였으며 겨울과 봄에 약간 많았다. 주로 사용하는 치료제로는 유산균 제제(84.1%), 경구용 수액제(79.4%), 효소제(58.8%)를 선호하였다. 대부분 의사들이 전체 위장염 환자의 20% 이하에서 항생제를 사용하였고, 주로 사용하는 항생제는 amoxicillin(61.3%)과 trimethoprim/sulfamethoxazole(39.7%)이였으며, 항생제 사용을 고려하는 임상증상은 혈변이나 점액변, 고열 등의 증상이었다. 급성위장염 환아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나 가능하면 해보고 싶은 검사는 대변 검사(로타 바이러스 항원, 적혈구, 백혈구), 복부 방사선 검사, 혈청 전해질 검사 등이었다. 대부분의 의사들이 로타 바이러스 백신에 대해 긍정적인 관심을 가지고 백신이 도입될 경우 사용하겠다고 하였으며, 백신사용을 결정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으로는 예방효과와 부작용이었다. 결 론 : 전라북도 소아과 개원의들의 급성 위장염 환자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검사방법의 개발과 이용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clinical practices related to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gastrointestinal infection(AGI) in infants and children. This survey also evaluated the current opinion regarding the use of rotavirus vaccine. Methods :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provided to 82 pediatricians in private clinics of Jeonbuk province. From April to June, 2002, 63 of 82 pediatricians(76.8 %)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 The annual proportion of patients with AGI was 13%. The highest proportion of patients with diarrhea were reported for the months of October through December. For the treatment of diarrhea, pediatricians preferred to prescribe lactobacillus products, oral rehydration solution, enzyme products, anti-emetics, anti-diarrheal formula, nothing by mouth(NPO) and bowel movement inhibitors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Most pediatricians(79.4%) prescribed antibiotics in less than 20% of patients with AGI. Amoxicillin was the most commonly prescribed antibiotics followed by trimethoprim/sulfamethoxazole(TMP/SMX) and amoxicillin/clavulanate. Clinical manifestations that pediatricians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in prescribing antibiotics were bloody diarrhea, mucoid diarrhea, high fever, persisting disease and abdominal pain. Diagnostic procedures that pediatricians preferred for AGI patients were stool examination(rotavirus antigen, RBC, WBC), abdominal X-ray, and serum electrolytes. Pediatricians had a strong interest in rotavirus vaccine(71.4%). Conclusion : Acute gastrointestinal illness remains a common problem, especially during the winter months in Korea. AGI manifesting as watery diarrhea is appropriately treated with commonly available agents but pediatricians appear ready to consider additional approaches to decrease the sizable disease burden of AGI among children in Korea.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와 교육서비스품질이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임소희 ( Lim So Hee ),김창열 ( Kim Chang Yoel ),차재빈 ( Cha Jae Bin ) 경희대학교 경영연구원 2021 의료경영학연구 Vol.15 No.4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various and practical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who are future nurses, the individu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school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subject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providing various ways to manage these variables, we intend to present a basic plan for improving the core competency achievement level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10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U-si, Gyeonggi-do, who understoo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or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wa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 was relig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ore competen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nursing students, and to develop and apply a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nhancement program.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affec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y classifying various group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detail, and to develop a management plan for this.

      • KCI등재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학습성과 달성과 연계된 실습교육방법에 따른 효과 비교

        임소희(SoHee Lim),이미경(MiKyoung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핵심기본간호술과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K시 소재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핵심기본간호술 실습군 93명, 시뮬레이션 실습군 85명이었다. 핵심기본간호술과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주 2시간, 총 16주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동질성검증은 빈도분석과 chi-square test를, 주요변수의 차이는 Shapiro-Wilk test로 정규성 검정 후,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은 핵심기본간호술과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2.06, p=.041), 셀프리더십과 임상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판적 자기성향이 높을수록 셀프리더십(r=.38, p<.001)과 임상수행능력(r=.25, p=.001)은 증가하고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임상수행능력(r=.62, p<.001)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학실습교육에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셀프리더십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education for program outcomes throughout comparing of how core basic nursing skills and simulation-based practice among the 4th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two groups who were studying in the college where was located in K city as the 4th year students.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practice group were 93 students and the simulation-based practice were 85 students. The class lessons were done two hours a week, total 16 weeks in the both groups and for the group of the core basic nursing skills practic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homogeneity test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the chi-square tes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in variables was analyzed using the Shapiro-Wilk test and t-test. The study result that level of critical thin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wo groups(t=-2.06, p=.041). However, it shows that a person who has high critical thinking increases self-leadership(r=.38, p<.001) and clinical competence(r=.25, p=.001) and a person who is high self-leadership increases its clinical competence(r=.62, p<.001).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that to develop and be used the practical educations in nursing science for increa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 KCI등재

        간호사의 희망, 감사성향,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소희(So-Hee Lim),최은덕(Eun-Duck Cho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간호사의 희망과 감사성향, 일터영성이 조직시민행동정도를 파악하고,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간호조직문화를 형성 및 증진시켜 간호조직의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인적자원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종합병원 이상의 4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희망(γ=.22∼.36, p<.001), 감사성향(γ=.38, p<.001), 일터영성(γ=.38∼.54, p<.001), 조직시민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일터영성(β=.54, p<.001), 이직희망(β=.12, p<.001), 희망(β=.09, p<.001), 감사성향(β=.08, p<.001)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설명력은 41.6%이었다. 본 연구는 간호조직에서 아직 초기단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일터영성에 대한 기초이론을 체계화하였고, 간호사의 조직시민행동을 유발시키기 위해 간호사의 희망, 감사성향, 일터영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지원제도가 요구된다. This study assesses the association of nurses" hope, grateful disposition, and workplace spirituality with the goals of provid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s that lead to efficient and competitive nurse structure by building a nurse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analyzing the influences affec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articipants were 147 nurses working in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via SPSS WIN 18.0.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nurse"s hope (γ=.22 ∼.36, p<.001), grateful disposition (γ=.38, p<.001) and workplace spirituality (γ=.38∼.54, p<.001).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workplace spirituality (β=.54, p<.001), hope of turnover (β=.12, p<.001), hope (β=.09, p<.001) and grateful disposition (β=.08, p<.001), which explained 41.6% of the variance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systematizes a theory for workplace spirituality processing the early stage research in nurse structure. To improv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nurses, educational programs and supporting system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nurses" hope, disposition of grateful disposition, and workplace spirituality.

      • KCI등재

        서울시 도시벽화의 유형과 관람자의 선호도 태도 - 5대 주요 관광지역을 중심으로 -

        임소희 ( Lim So-hee ),이경현 ( Lee Kyoung-hye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7 No.-

        시대가 격동기를 겪고 변화하면서 인간과 같이 도시의 영역도 인식의 변화가 발생되면서 도시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건축과 환경은 인간의 필수적인 요소로 환경에게 다양한 이점을 제공하기도 한다. 건축의 범주에 속해있는 도시벽화는 인간의 정서적인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고 도시환경인 조화나 도움을 주기도 하는 등 다양한 이점을 내포하는 서울시 도시벽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본 연구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3단계로 나누어지며 대표 도심지역인 서울시를 대분류로 정하고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한 2012년 외래 관광객 실태조사 중 서울시 주요 방문 지역 10곳 중 중분류인 유동인구가 많고 대중적인 주요관광지나 주택가 지역인 명동, 동대문, 삼청동, 이태원, 신촌 다섯 개 선정지역을 통해 소분류인 지역 속의 있는 벽화를 살펴보고 주제별 유형에 따라 분류작업을 토대로 설문조사를 연령대별로 실시하여 관람자의 선호유형 등 결과를 통해 앞으로의 벽화 작업 시행 시 참고자료로 쓰일 수 있다고 본다. As this generation is experiencing turbulent changes, transformation takes place both in human and urban areas. Building structures and urban environments that are closely intertwined with cities are significant elements for human lifestyles, and one of the environmental elements that create diversity is`murals Murals provide improved environments or it marks a place of resting. Urban murals established itself as a new urban environmental element as it expanded its territory within cities, and it provides benefits for the people. It acts as an environmental help for the people, and it also provides a positive emotional effect. Thus, I would like to take an in-depth look at urban murals, which provide various benefits and advantages for the people.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regarding urban murals, the study progressed with an objective to contribute at least miniscule positive influence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murals. Urban murals are dispersed across numerous areas, but this study established Seoul as its main category, and its subcategories include 5 selective major tourist attractions or residential areas with high floating population volume. The murals found in the sub-classifications of the subcategories were observed and further classified according to its themes. Based on the thematic classifi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various age groups to determine the preferred mural types from the spectators` perspective. I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identifying the preferred mural types for future mural painting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중동 호흡기 증후군 예방을 위한 손 씻기 수행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소희(Lim, So-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2

        최근 중동 호흡기 증후군의 발현으로 손 씻기가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동호흡기 증후군의 예방을 위하여 손 씻기의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질불안, 건강통제위,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분석 하였다. 314명의 간호 대학생들에게 중동 호흡기 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 손 씻는 횟수, 기질불안, 건강통제위, 건강증진행 위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손 씻기 수행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손 씻기 중요도 이였으며, 손 씻기 중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내적통제위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 의 간호 대학생이 손 씻기가 중동 호흡기 증후군의 가장 중요한 예방법으로 인지하였다. 이에 손 씻기의 중요성과 내적 통제 위를 강화한 건강교육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hand washing has been emphasized a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 threatened public health. This study aimed to prevent MERS by hand washing frequency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 washing behavior and trait anxiety,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this study, 314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a survey where they could indicate what they did and the frequency of hand washing for preventing MERS. They also responded to questions related to the trait anxiety, locus of control,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requency of hand washing was highest among the measures that the participants used and i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articipants who reported high scores for the importance of hand washing.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hand washing was impacted by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Most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the survey acknowledged that hand washing was the most important method for preventing M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ducate people on the importance of hand washing and pay attention to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internal locus of control to promote hand-washing.

      • KCI등재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경험한 대학생의 사회 전문인 되어가기 : 질적 내용분석

        임소희(So-Hee Lim),김현아(Hyeon-Ah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체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지역사회 봉사활동 경험의 본질을 찾고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인성교육 방안과 봉사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지역사회 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5월부터 9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Graneheim & Lundman이 제시한 질적 내용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의한 연구결과로 ‘경험 속에서 누리는 함께함’, ‘나눔을 통한 성장’, ‘전문인으로 향하는 성숙을 이루어감’, ‘자신의 한계를 경험함’이라는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성장과 성숙을 통한 사회 전문인 되어가기’라는 핵심주제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이 봉사활동을 경험하는 것은 타인과 공동체,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함양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학생의 봉사활동이 인성교육의 중요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s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ssence of college students" community service experiences and provide them with basic data to develop effective 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and service progra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ix college students with community service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May to September 2019 and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Graneheim & Lundman. The community servic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could be summarized by the core theme, "Becoming a social professional through growth and maturity", consisting of the following themes: together in a living experience, growth through sharing, achieving maturity toward professionalism, and experiencing one"s limita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service activities would cultivate the human character and competency necessary to live with others, the community, and nature. The college student"s service activities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program in personality education.

      • KCI등재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소희(So-Hee L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7

        하브루타는 사고의 과정개발을 위한 최상의 교수학습방법으로, 다양한 학생활동 중심의 교육방법이다.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을 간호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7년 9월부터 12월까지 U시 소재한 일개 대학의 재학 중인 2학년 간호 대학생 96명 중 실험군 47명, 대조군 49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유사실험 연구이며, 자료 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²-test, t-test, Two-way repeated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과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가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는 교육 후, 비판적 사고성향(md=.14, p=.045), 학습몰입(md=.27, p=.025), 학습만족도(md=.30, p=.03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따라서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교육은 간호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몰입,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교육프로그램을 다양한 학년 및 교과목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Havruta is the bes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the process of thinking, and it is a method of education centered on a range of student activiti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ult learning nursing education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7 in 96 second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U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t-test, and two-way repeated ANOVA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similar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erformed the adult nursing education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and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after the adult nursing education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md=.14, p=.045), learning commitment (md=.27, p=.025), learning satisfaction (md=.30, p=.031)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fore, adult nursing education using the Havruta learning method is an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온택트 시대의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이 경험한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에 대한 내용분석

        임소희(So-Hee L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코로나19가 대유행이 되면서 국내 대부분의 간호학과에서는 기존의 실습방법이 아닌 온라인 비대면 실습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내용을 이해하고자 참여자들이 작성한 성찰일지를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일개대학 간호학과 졸업학년인 4학년 재학생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45명이다. 온라인 비대면 성인간호학실습은 2학점 90시간으로, 1일 9시간씩 총 10일 운영되었다. 본 온라인 성인간호학실습은 컴퓨터 기반 시뮬레이션실습, 컴퓨터 기반 간호술기실습, 동영상 및 교육자료 제작, 실시간 온라인 퀴즈와 온라인 강의영상시청, 토론 등으로 구성되었다.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6개의 범주, 13개의 주제모음, 3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범주로는 ‘다양한 상황경험’, ‘새로운 학습의 경험’, ‘임상실습에 대한 성취감’, ‘교수자와의 관계형성’, ‘비대면 실습에 대한 양가감정’, ‘예비간호사에 대한 두려움’으로 진술되었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교육현장에서 성인간호학실습이 임상실습기관이 아닌 비대면 실습으로 진행하여 다양한 교육방법으로 운영하고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성인간호학 실습개발 및 운영의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As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became a pandemic, most nursing departments in Korea implemented online non-face-to-face practices rather than the existing practice method.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d the reflection diaries written by participants to understand what they experienced in the online non-face-to-face adult nursing practice process. The online non-face-to-face adult nursing practice was 90 hours for two credits and nine hours per day for a total of 10 days. This online practice consisted of computer-based simulation practice, computer-based nursing skills practice, video and educational material production, real-time online quiz, online lecture video, and discus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flection diary, six categories, 13 subcategories, and 33 codes were derived. The six categories were ‘Experience of various situations’, ‘Experience of new study’, ‘Fulfillment for the clinical practice’, ‘Building relations with professors’, ‘Fear of being a pre-nurse’, and ‘Ambivalence for the non-face-to-face practice’.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in the post-corona era, adult nursing practice was conducted as a non-face-to-face practice rather than a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 and various educational methods were opera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non-face-to-face adult nursing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