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日本の儒學における睡隱姜抗 の足跡 : 藤原惺窩와의 交流를 中心으로 藤源惺窩との交流を中心として

        林成哲 부산 외국어 대학교 1988 外大論叢 Vol.6 No.1

        日本에도 古代부터 外國思想이 輸入되어 4世記頃에는 儒敎가 들어가서 儒敎를 統一國家의 政治理想으로, 佛敎를 人間의 內面的 精神問題의 解決로 받아드렸다. 이러한 外國思想이 日本人의 精神生活을 支配하게 된것이 佛敎는 鎌倉時代, 儒敎는 江戶時代에 들어서이다. 特히 豊臣秀吉의 任辰. 丁酉亂後, 德川家康이 覇者가 되면서부터 自身이 내서운 支配體制의 根據를 儒敎에 두고 대대적으로 儒敎를 장려했다. 儒敎는 德川幕藩體制의 正當性을 理由로하여 儒敎倫理에 의한 日本의 統一을 企圖했다. 또한 德川支配體制의 精神的支柱로서 朱子學을 택하고 이르 官學으로 삼았다. 이와같이日本에 있어서 朱子學을 開拓한 사람이 所謂 「京學」의 始祖라고 불리우며 佛敎에서 還俗한 藤原?窩이다. 그러나 ?窩이 「四書新註」의 公表로 日本의 巨儒가된것은 바로 姜?의 도움에서 비롯된것이다. 姜沈은 丁酉倭亂때 日本軍에 捕虜가 되어 京都에 머무는 동안 ?窩와 交遊하면서 그에게 儒學의 講義와 學問精神의 討究로 直接 援助해 주었던 것이다. 本稿는 捕虜姜沈과 藤原?窩의 交流를 中心으로 日本에 있어서의 朱子學普及과 文敎復興을 이룩하는데 多大한 功獻을 한 姜沈의 事積에 對하여 論考해 보았다.

      • 2008 대한민국패키지디자인대전 대상수상 - 아이나비 K7, 최고급 디지털 컨버런스 패키지 디자인 선뵈

        임성철,Im, Seong-Cheol (사)한국포장협회 2009 包裝界 Vol.189 No.-

        제17회대한민국패키지디자인대전에서는 일반부문 대상으로 전자부문에 출품한 D&C의 팅크웨어 아이나비 K7이 선정되었다. 금번 2008년 대한민국패키지디자인대전에서는 외관을 구성하는 형상, 모양 및 색채 등의 요소가 종합적으로 아름답게 구성되고 독창성이 있으며 판매를 촉진 할 수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평가가 이뤄졌으며 특히 상품 목적에 적합한 기능, 사용상의 편리성 및 유지 관리의 용이성 등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작품을 높게 평가했다. D&C 임성철 국장에게 수상소감 및 아이나비 K7 디자인에 대한 설명을 들어보았다.

      • KCI등재

        디오게네스의 ‘인간다움’에 나타난 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임성철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9 지중해지역연구 Vol.21 No.3

        The ancient Greeks didn’t believe that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the Cynics was a true philosophy. Its philosophical thought paid attentions to merely dealing with a method of human life(DL VI, 103). Diogenes’ thought was searching for the philosophical basis for being-human or humanity. On his account, the value of philosophy at least “prepared one’s mind for human destiny”(DL VI, 63). Philosophy is required for one who is eager to “live well”(DL VI, 65). Diogenes was not a theoretical thinker but a practical one who did philosophy to pursue human happiness. For him, happiness was based on abstinence and self-sufficiency, which were the key notions of the Hellenistic era. From Diogenes’ point of view, the fulfillment of human freedom complete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human. Human freedom calls for self-control or self-restraint, which means freedom from desires or passions. In other words, human beings are free beings in the sense that they can control their own self. Therefore, human beings are not pessimistic ones who suffered from depression and resignation. For Diogenes, in particular, the function of philosophy is to eliminate anxieties or frustrations in life. Philosophy for him is a personal matter but not communal matters. It is not a theoretical argumentation but a practical ways of life based on human choices or performance. In that respect, his philosophy was an attempt to reintegrate Greek classical thoughts in light of a new way of thinking in the Hellenistic period. His philosophy differs from that of Antisthenes in that Diogenes regarded it as a duty to try to show up the state devoid of any desires publicly, whereas Antisthenes secured inner world for himself to keep uninterrupted state.

      • KCI등재

        고대 희랍 철학에 나타난 ‘관상적 생활’ : 이상(理想)의 기원과 의미에 관한 연구

        임성철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7 철학탐구 Vol.21 No.-

        잘 알려져 있다시피, 아리스토텔레스는 일찍이 희랍의 생활이상을 향락적 생활, 정치적 생활, 관상적 생활로 구분한다. 하지만 그는 이러한 구분이 그보다 이전 시대에 논의된 사실로 인정한다. 관상적 생활의 기원에 관하여 헤라클레이데스는 피타고라스가 그러한 생활 이상의 제창자라고 밝힌다. 그러나 피타고라스가 정치적, 종교적, 철학적 성향을 나타내는 조화의 철학자라는 점과 그의 교단에 속한 자들의 정치 참여를 감안할 때, 그를 단순히 자연을 관상하는 철학자로 단정지울 수는 없다. 관상적 생활의 문헌상의 기원을 피타고라스에게 둔다할지라도, 정신적 기원은 그보다 더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호메로스, 헤로도토스, 에우리피데스, 아리스토파네스, 그리고 플라톤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관상적 생활은 실천적 생활과 혼재된 혹은 대립적 모습을 보여준다. 관상적 생활에 관한 Franz Boll의 심도 깊은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그의 테오리아에 대한 어원적 의미 분석은 학계에 논란의 여지가 없이 받아들여지지만, 탈레스 이래로 철학자의 삶의 이상이 관상적이었는가 그리고 관상적 생활은 실천적 생활과 언제나 상극관계이었는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든다. 아울러 후대에 정형화된 관상적 생활이 고대로 소급되어 그 독자적 권위를 갖게 되지 않았는가 하는 점이 의문시된다. 그 까닭은 이와 관련한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와 아리스토텔레스가 전하는 철학자의 삶이 관상적 생활과 실천적 생활의 조화를 추구한 삶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관상적 생활은 특히 소크라테스에게서 실천적 생활의 존재 이유로서 관상적 생활의 가치가 드러나면서 실천적 생활과 분리되기 시작한다. 아울러 사유가 자연이 아니라 인간에게 향해지면서 실천적 생활이성의 통제자로서의 관상적 생활이 인정받는다. 이러한 의미에서 소크라테스는 관상적 생활과 실천적 생활이상의 통일을 성취한 최초의 인간이라 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6권, 7장에서 관상적 생활의 기본 원리로 소피아를, 실천적 생활의 원리로 프로네시스 개념을 분석한다. 이 분석에 따르면, 테크네의 본질은 아레테에 있고, 소피아, 아레테 그리고 테크네는 같다는 등식이 성립한다. 하지만 아레테는 정신적ㆍ윤리적 의미를 갖게 됨으로써, 테크네에서 떨어져 나와 소피아와 아레테가 같게 되고, 결국 이론과 윤리적 의미의 실천과의 통일이 이뤄진다. 결국 아리스토텔레스는 프로네시스 개념을 윤리적 지식으로, 이해 반해 소피아 개념을 형이상학적 지식으로 한정시킨다. 플라톤은 인간이 로고스적인 동물이자 동시에 뛰어난 폴리스적 동물임을 인정하면서, 철인왕 사상과 관상적 생활이상의 연관성을 논의한다. 관상적 생활의 형이상학적ㆍ윤리학적 의미에서 관상적 생활은 플라톤의 경우 종교적 영감에 의하여 초월적 세계를 관상한다는 형이상학적 비전으로 이해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경우는 순수한 지성의 활동으로 지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들로부터 실천적 영역에서 모든 의무를 감면해 주게 된다. 이후 관상적 생활은 여러 학파로 계승되며, 고대 후기에는 관상과 실천이 혼합된 삶이 두드러진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에서 확인되는 바는 관상적 생활이 희랍인의 철학적 생활이상으로서 초기 자연 철학자들에 의해서 창시되고 실천되었다기보다는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이론적으로 정립되었다는 점이다. 고전 시대 희랍인의 의식에게 관상적 생활은 실천적 생활과 조화되기 어려운 두 세계로 구분되지는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플라톤에게서는 '관상하는 실천'이,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는 '실천하는 관상'이 우위(優位)를 점유했다고 할 수 있다. Es ist wohl bekannt, dass Aristoteles das griechische Lebensideal unter drei Lebensformen, nämlich das apolaustische Leben, das politische Leben und das theoretische Leben unterscheidet. Er weist aber darauf hin, dass diese Unterscheidung schon vor ihm verbreitet und von manchen viel gesprochen worden ist. Über den Ursprung vom bios theoretikos spricht Herakleides, Pythagoras sei Urheber dieses Lebensideals. Unter dem Gesichtspunkt, dass Pythagoras als Philosoph der hamonia war, mit der er politischen, religiösen und philosophischen Charakter zusammenverbindet, und dass die Pythagoreer das politische Engagement haben, darf man nicht behaupten, dass er ein Philosoph war, der nur die Natur betrachtet. Obwohl der doxographische Ursprung des bios theoretikos Pythagoras zuschreibt, scheint es zu sein, dass der geistige Ursprung vor ihm gewesen war. Die Angaben von Homer, Herodot, Euripides, Aristophanes und Platon zeigen sich, dass das theoretische Leben und das praktische Leben gemischt oder gegenseitig waren. In Betracht der richtungsweisenden Forschungsarbeit von F. Boll über den bios theoretikos wird zwar seine etymologische Analyse der theoria unter Mitforschern zweilsohne akzeptiert. Aber es ist fraglich, dass seit Thales das Lebensideal der Philosophen theoretiscb war, und der bios theoretikos immer mit dem praktischen Leben konfrontierte. Dazu noch ist es umstritten, dass der bios theoretikos, der im späteren Zeitraum charakterisiert und danach zum früheren Zeitraum zurückgeführt wird, seine absolute Autorität bekam. Weil nach Diogenes Laertios und Aristoteles die griechischen Philosophen auftreten, die das theoretische Leben und das praktische Leben harmonisieren. Insbesondere bei Sokrates fängt die Spaltung von beiden Lebensformen an, wobei die Wert des theoretischen Lebens als Daseinsgrund des praktischen Lebens erhoben wird. Es hat allmählich begonnen, dass das theoretische Leben für die Kontrolle des praktischen Lebens anerkannt wird, indem sich das Denken nicht nach der Natur, sondern nach dem Menschen richtet. In diesem Sinne kann Sokrates zum ersten Denker gewürdigt werden, der das theoretische Leben und das praktische Leben einheitlich zusammenbindet. Aristoteles erhellt in seiner Nichomachischen Ethik(Buch 6, Kap. 7), dass sophia für das Grundprinzip des bios theoretikos, und phronesis für das Grundprinzip des praktischen Lebens gekennzeichnet wird. Nach diesem Verständnis besteht die techne in der Arete. Demzufolge stellt Aristoteles sophia, arete und phronesis gleich. Die arete enthält aber den geistigen und ethischen Sinn. Dadurch ist sie getrennt von der techne. Folgerichtig wird die sophia zur arete. Konsequenterweise werden die theoria und die die ethische Bedeutung in sich habende praxis einig. Letzten Endes wird die phronesis als das ethische Wissen bei Aristoteles betrachtet, und demgegenüber die sophia als das metaphysische Wissen beschränkt. Bei Platon ist der Zusammenhang zwischen dem Philosophen-König und dem bios theoretikos die Rede, wobei er die Menschen nicht nur für zoon logon, sondern auch für zoon politikon hält. In metaphysischer und ethischer Hinsicht ist der bios theoretikos bei Platon eine metaphysische Vision in dem Sinne, dass man die transzendente Welt durch die religiöse Inspiration schaut. Im Vergleich dazu ist der bios theoretikos bei Aristoteles die intellektuelle Tätigkeit des reinen Geistes. In dieser Tätigkeit sind die Philosophen von allen praktischen Verpflichtungen befreit. In den folgenden Jahrhunderten war der bios theoretikos in verschiedenen Schulen überliefert worden. Und in der späten Antike war die gemischte Lebensform von der theoria und der praxis von besonderer Bedeutung. Zusammenfassend lässt sich sagen, dass bei den Griechen der bios theoretikos als das philosophische Lebensideal nicht von Vorsokratikern gesprochen und praktisiert wird, und jedoch vielmehr seit Aristoteles an Bedeutung gewinnt. Unter dem Bewusstsein der Griechen ist der bios theoretikos vom bios praktikos nie getrennt. Daher haben die beiden Lebensideale keine Schwierigkeit, miteinander harmonisiert zu werden. Kurzum: Bei Platon spielt die schauende Praxis erste Geige, und bei Aristoteles die praktisierende Theoria.

      • 기관지내 섬유종

        임성철,이용,김동출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0 No.1

        A 61-year-old man with dyspnea and wheezing depending on recumbent posture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because of a tracheal mass, which was found on a routine check done by health care unit of the another hospital. Computed tomography of the chest revealed a polypoid endobronchial mass in the left bronchus. Bronchoscopy revealed a 2cm-sized polypoid mass at 7cm below the carina. The tumor was successfully removed without dropping any tumor fragments to obstruct the distal bronchus. A biopsy taken from the tumor was fibroma histologically. Endobronchial fibroma is a rare benign lung tumor. The patient had an uneventful postoperative recovery course. No adjuvant therapy was deemed necessary or given. Follow-up bronchoscopies done 1 day and 4 months after the polypectomy did not demonstrate any sign of recurrence or residue of the tumor, respectively.

      • KCI등재

        3개 침제조회사 침구에 대한 침감지표 비교 -이중 맹검 무작위 배정법-

        임성철,서보명,서정철,김경운,김성웅,이세연,정태영,한상원,윤종석 대한침구의학회 2004 대한침구의학회지 Vol.17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acupuncture sensation index among three different acupuncture devices. Methods : A, B and C acupuncture devices were inserted into Quchi(LI 11) of the subjects. After 5 minutes the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rating the intensity of 21 kinds of acupuncture sensation; hurting, penetrating, sharp, aching, intense, spreading, radiating, tingling, pricking, stinging, pulling, heavy, dull, numb, electric, shocking, hot, burning, cool, pulsing, and throbbing. We compared subjective evaluations of acupuncture sensation among the groups. Results : The acupuncture sensation index when administrated among three different acupuncture devices(A, B and C)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acupuncture sensation of B acupuncture devic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an A or C in Spreading, Dull, Numb item. But, the other items of acupuncture sens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acupuncture devices. Conclusion: We found that acupuncture sensation index when administrated among three different acupuncture devices. Further study is needed to know different acupuncture sensation among acupuncture devices.

      • KCI등재후보

        헤라클레이토스의 비유에 나타난수학적 비례의 의미로서의 로고스 개념에 대한 소고

        임성철 범한철학회 2003 汎韓哲學 Vol.28 No.-

        Zur Beobachtung des Logos-Begriffsals die mathematische Proportion im Gleichnis Heraklits 문】이 소 논문은 헤라클레이토스의 단편에 담긴 Logos에 관한 비유들이 아주 엄밀한 관점에서 ‘비례’라는 의미로 이해되며, 또한 그 비유들은 ‘수학적 유추’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동시에 우리는 헤라클레이토스의 Logos 개념에 관한 이러한 이해를 통해서 유추적인 의미에서의 Logos 개념이 대립적이자 반대적인 것들을 통일적으로 이해하도록 만드는 과학적 사고의 희랍적 출발점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헤라클레이토스는 ‘변화하는’ 것에서 일정한 법칙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특히 ‘대립적인’ 것들 가운데 일종의 상호 관계가 성립한다는 사실을 토대로 단일성, 달리 표현한다면 통일성을 강조한다. 헤라클레이토스가 이율배반적인 것들을 아주 근본적으로 고찰하고 있으며 자신의 Logos 개념을 통해 그러한 것들을 극복하고자 노력을 했다는 사실을 우리는 분명히 알 수 있다.

      • KCI등재

        MDL-12330A potentiates TRAIL-induced apoptosis in gastric cancer cells through CHOP-mediated DR5 upregulation

        임성철,한송이 대한약리학회 2017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21 No.4

        MDL-12330A is a widely used adenylyl cyclase (AC) inhibitor that blocks AC/cAMP signaling.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a novel antitumor activity of this drug in gastric carcinoma (GC) cell lines. In these GC cells, MDL-12330A reduced cell viability and induced cell death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t a moderate concentration (~20 μM), MDL-12330A mainly induced apoptotic death whereas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20 μM, it increased non-apoptotic cell death. The induction of apoptosis was at least partially regulated by CHOP-mediated DR5 upregulation, as detected by immunoblotting and gene interference assays. More importantly, low concentrations of MDL-12330A effectively enhanced recombinant human tumor necrosis factor (TNF)-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rhTRAIL)- induced apoptosis and clonogenicity in these gastric cancer cells. This study demonstrates a possible role of MDL-12330A as a potential sensitizer to TRAIL, and suggests a novel therapeutic strategy targeting gastric cancer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