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유형과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빈곤청소년과 일반청소년 집단비교를 중심으로

        임성옥,박민정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10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income and average-level income families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attitud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both group adolescents. Respondents were 777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low income and average-level income families in Pohang.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Multiple Linar Regression(MLR)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In specific, peer support moderated the link between intimate-reasonble attitud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Teacher support moderated the link between neglect attitud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for developing the counceling and education program to assist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ies.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이 빈곤 및 일반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포항의 초․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빈곤청소년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학생과 중식지원자 및 교사 추천 저소득층 자녀를 대상으로 하였고, 일반청소년은 이러한 기준에서 제외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연구 대상은 총 777명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선형회귀(Mltiple Linear Regression, MLR)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빈곤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모두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 중 친밀·합리형이 그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빈곤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청소년의 경우, 부모의 양육태도와 이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빈곤청소년의 경우에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청소년의 경우, 친밀․합리적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 친구의 지지가 조절효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임적 양육태도와 심리사회적 적응 간에는 교사지지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빈곤청소년들의 심리사회적 적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특히 친구와 교사의 지지가 유용한 개입지점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빈곤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차이는 청소년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해주고 있다.

      • KCI등재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 증례보고

        임성옥,이상호,이난영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7 No.4

        치외치는 교합면에 법랑질이 원추형으로 돌출되어 결절을 형성한 치아로서, 치아발육 중 법랑기의 내측법랑상피가 외부로 과증식되거나 치수 간엽조직이 국소적으로 과증식되어 나타난다.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 또는 마모되기 쉬우며 따라서 이로 인하여 치수노출에 의한 감염이 야기될 수 있다. 상악 전치부 설면에도 원추형으로 돌출된 결절이 관찰되기도 하는데 이 를 탈론 교두(talon cusp)라 한다. 치내치는 치아 발육 중 설측의 법랑상피가 일부 함입되어 설측에 깊은 소와가 형성된 형태로서 크기나 전체적인 모양은 정 상이다. 방사선 사진상에서 치경부의 법랑질 일부가 함입되어 함입강을 형성하고 그 기저부는 치수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어 치수와 개통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다. 탈론 교두(talon cusp)와 치내치는 비교적 흔한 형태 이상이지만, 한 치아에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환자에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교합력이나 저작에 의해 파절되거나, 교두 사이 열구가 우식에 이환되어 치수치료가 시행 될 때, 치내치의 복잡한 근관 형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교합조정, 치면열구전색술 등의 예방적 처치와 주기적 인 검진이 필요하고, 치수치료시 정확한 방사선학적 진단을 통한 치내치의 근관 형태 파악이 필요하다.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10세 남아(하악 좌측 중절치)와 8세 여아(상악 우측 중절치) 그리고 7세 남아(상 악 우측 중절치)에서 치내치를 동반한 탈론 교두(talon cusp)가 관찰되어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9세 남아와 8세 여아 는 치수 병변으로 인해 치수 치료 중이고, 7세 남아는 병적 소견 없이 교합조정 후 관찰 중이다. Dens evaginatus is a tooth with cylindrical enamel projection which forms a nodule on occlusal surface. It could be explained as outward overgrowth of inner enamel epithelium or localized hyperplasia of pulpal mesenchymal tissue during tooth development. A problem is that it is likely to be worn out or fractured by mastication ensuing pulpal inflammation. It is occasionally found on the lingual surface of upper anterior teeth as well, called talon cusp. Dens invaginatus is a tooth with deep lingual pit made by invagination of lingual enamel epithelium during tooth development while it is considered normal in terms of size and shape. Radiographically, a part of cervical enamel shows inward growth forming cavity and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base is possibly open to pulpal cavity since they are very close. Talon cusp and dens invaginatus are relatively common abnormality of shape. However it becomes the opposite if the two exist in the same tooth. Once the talon cusp is broken by occlusal force or fissure between cusps is decayed,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canals makes the pulpal treatment difficult. Preventive treatments such as occlusal equilibrium and sealant, and regular oral examination should be preceded and thorough understanding of canal shape, using radiography, is required when pulpal treatment is necessary. This report is about a 9- year-old boy(lower left central incisor), a 8-year-old girl(upper right central incisor), and a 7-year-old boy(upper right central incisor), who have dens invaginatus and talon cusp in the same teeth. The first and the second patients are under pulpal treatments, and the last one is being observed showing no pathologic impress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갈등지각수준 및 갈등관리방법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임성옥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05 정부학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conflict level and conflict management method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get th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the researcher made a survey. The total 1,082 samples of survey are distributed to social work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public organization in Daegu and Gyungbook, from which 350 samples are collected.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variables were employed in the model : social workers' conflict level, conflict management style(avoidance, accommodation, competition, compromise, collabor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workers' conflict was 3.31 in 5 Likert Scale. And they used 'accommodation' and 'compromise' mostly. Second, there was th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workers' conflict leve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except 'avoidance‘, between conflict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correlated positively. Thir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affected by age, career, the level of conflict, type of organization and 'accommodation' in the conflict management. And the level of conflic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sults show that social workers' conflict affected to low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조직 내에서 느끼는 갈등수준과 그들이 주로 사용하는 갈등관리방법을 알아내고, 이들과 조직효과성과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사회복지조직의 인적 자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종합사회복지관과 공공행정조직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사의 갈등지각수준은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3.31점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들이 주로 많이 사용하는 갈등관리 방법으로는 ‘적응’과 ‘타협’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갈등지각수준과 조직효과성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개인특성 중 연령과 경력 변인, 그리고 조직유형, 갈등지각수준, 갈등관리방법 중 ‘적응’이 통계적으로 조직효과성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이 중 갈등지각수준이 조직효과성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들의 갈등관리 전략 방안을 개인적, 조직 차원에서 모색하였다

      • KCI우수등재

        세대유형별 1인가구의 주거빈곤과 정신건강

        임성옥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on mental health in single-person households. Using the 15th KoreanWelfare Panel research data,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classified into young,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analyzed using Heyes'process macro model 6. The sample size was 2,092 househol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23.8% of young single-personhouseholds, 28.6% of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and 28.2% of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found to be housing poverty. Single-person households for young people were the most influenced by the overload of housing cost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for oldpeople were the most influenced by falling short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For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the simplemediating path to housing poverty→self-esteem→subjective happiness and the double mediating path to housing poverty→self-esteem→depression→subjective happin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both the simple mediating path to housingpoverty→self-esteem→subjective happiness and the simple mediating path to housing poverty→ depression→subjective happiness were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ouble mediating path to housing poverty→self-esteem→depression→subjectivehappiness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on housing policy wer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빈곤이 세대유형별 1인 가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제15차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 가구를 청년, 중장년, 노년층으로 분류하고, Heyes의 프로세스 매크로 모델 6을 이용해 분석했다. 표본은 1인가구 2,092가구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년 1인 가구의 23.8%, 중장년 1인 가구의 28.6%, 노년 1인 가구의  8.2%가 주거빈곤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청년 1인 가구의 주거빈곤은 정신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장년 1인 가구의 경우 주거빈곤→자아존중감→주관적 행복의 단순 매개 경로와 주거빈곤→자아존중감→우울→주관적 행복의 이중 매개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노년 1인 가구의 경우 주거빈곤→자아존중감→주관적 행복의 단순 매개 경로와 주거빈곤→우울→주관적 행복의 단순 매개 경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또한 주거빈곤→자아존중감→우울→주관적 행복의 이중매개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거복지정책 및 향후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Intraductal Ultrasonography without Radiocontrast Cholangiogram in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iary Disease

        임성옥,박창환,기원주,이정현,류수정,박선영,김현수,최성규,유종선 거트앤리버 소화기연관학회협의회 2015 Gut and Liver Vol.9 No.4

        Background/Aims: Intraductal ultrasonography (IDUS) has been performed as an adjunct to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graphy (ERC) during radiocontrast cholangiography (RC). Radiation exposure during RC poses a health risk to both patients and examiners. We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IDUS without RC in various extrahepatic biliary diseases. Methods: IDUS was performed with the insertion of an IDUS probe from the papilla of Vater to the confluent portion of the common hepatic duct without fluoroscopy. The technical success rate and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Results: Wire-guided IDUS without RC was performed in 105 patients. The mean age was 66.5 years, and 50 (47.6%) were male. The IDUS diagnoses included choledocholithiasis (73, 69.5%), benign biliary stricture (11, 10.5%), choledocholithiasis with biliary pancreatitis (9, 8.6%), bile duct cancer (5, 4.8%), pancreatic cancer (1, 0.9%), and others (6, 5.7%). After IDUS, 66 (62.8%) underwent stone removal, 19 (18.1%) underwent biliary drainage, and 7 (6.6%) underwent brush cytology and biopsy. No significant complications such as perforation or severe pancreatitis occurred. Conclusions: IDUS without RC was a feasible and safe approach in patients with various extrahepatic biliary diseases. We anticipate a potentially important role of IDUS in various ERC procedures because it lacks the hazards of R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