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성능측정을 통한 전송방식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

        임동선,이좌형,정인범,Lim, Dong-Sun,Lee, Joa-Hyoung,Jung, In-Bum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5

        주변환경에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네트워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정밀한 분석을 위하여 매우 짧은 주기로 정보를 수집할 필요가 있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의 수가 증가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주기가 짧아질수록 생성되는 데이터의 양도 증가하기 때문에 노드 간에 지연을 최소화하여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구성시 데이터 전송률에 영향을 미치는 전송주기와 센서 노드간의 거리, 전송 패킷의 크기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여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기적 전송 기법의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패킷 전송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전송 완료 이벤트를 이용하여 연속적인 패킷 전송시 지연을 줄여주는 SET(SendDone Eventbased Transmission Technique)기법을 제안한다. SET에서는 패킷 전송이 완료된 시점에 즉시 다음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패킷을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상관없이 패킷 전송간에 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대량의 패킷을 전송할 때 높은 전송율을 제공할 수 있다. Sensor network is used to obtain sensing data in various area. The interval to sense the events depends on the type of target application and the amounts of data generated by sensor nodes are not constant. Many applications exploit long sensing interval to enhance the life time of network but there are specific applications that requires very short interval to obtain fine-grained, high-precision sensing data. If the number of nodes in the network is increased and the interval to sense data is shortened, the amounts of generated data are greatly increased and this leads to increased amount of packets to transfer to the network. To transfer large amount of packets fast, it is necessary that the delay between successive packet transmissions should be minimized as possible. In this paper, we propose SET(SendDoneEventbasedTransmission Technique)which reduces the delay between successive packet transmissions by using SendDone Event which informs that a packet transmission has been completed. In SET, the delay between successive packet transmissions is shortened very much since the transmission of next packet starts at the time when the transmission of previous packet has completed, irrespective of the transmission time. Therefore SET could provide high packet transmission rate given large amount of packe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KBPR (Korean Brief Parent Report)과 작업기억 능력 간의 관계 : 음운루프, 일화적 완충기를 중심으로

        임동선(Dongsun Yim),신현지(Hyunji Shin),임나은(Naeun Lim),정예영(Yeyoung Jung),한지민(Jimin Han),양윤희(Yoonhee Y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Korean Brief Parent Report (KBPR)과 작업기억(음운루프, 언어 및 비언어적 일화적 완충기)의 상관관계와 아동의 언어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과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51-80개월(평균 63개월)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21명, 일반 아동 31명을 대상으로 KBPR과 작업기억 과제(비단어 따라말하기, 단어목록회상, 대칭-비대칭 매트릭스)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집단 간 KBPR 영역별 점수 및 총 점수에서 (b) 현재 언어 수준, (c) 행동 패턴 및 활동 선호도, 총 점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음운루프, 언어적 일화적 완충기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집단 간 KBPR의 각 영역 점수 결과와 작업기억 간 상관관계는 일반 아동 집단에서 언어적 일화적 완충기(문장어순)이 (a) 영역을 제외하고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에서는 (a) 영역은 음운루프, (b) 영역은 언어적 일화적 완충기(문장어순), (c) 영역은 비언어적 일화적 완충기(대칭, 비대칭)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KBPR 총 점수에 가장 유의한 예측요인은 일반 아동 집단은 언어적 일화적 완충기(문장어순),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음운루프였다. 논의 및 결론: 두 집단의 KBPR 점수 및 작업기억 과제는 영역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각 집단 간 KBPR 총 점수를 가장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 요인으로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은 음운루프, 일반 아동 집단은 언어적 일화적 완충기(문장어순)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Korean Brief Parent Report (KBPR) and Working Memory (phonological loop, episodic buffer); and investigated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children’s language ability. Methods: A total of 52 children from 4 to 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osed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and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Experimental tasks including KBPR, Non-Word Repetition (NWR), Word List Recall and a Symmetric-Asymmetric Matrix were used. One-way ANOVA, correlational,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section B (Current abilities) and C (Behavior patterns and activity preferences).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honological loop and linguistic episodic buffer (EB). 3)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ection score of KBPR and working memory in the TD group showed consistent linguistic sentential order in the EB task with all the other sections except for section A. In the SLI group, section A had correlation with phonological loop, section B had correlation with linguistic EB, and section C had correlation with non-linguistic EB 4)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KBPR total score in the TD group was linguistic sentential order EB, and in the SLI group was phonological loop. Conclusion: Both the KBPR score and working memory task competency of the SLI and TD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the meaningful predictor in the total score of KBPR in each group respectively was NWR in the SLI group and linguistic sentential order EB in the TD group.

      • KCI등재

        ART :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능동객체 실행시간 지원 시스템의 구현

        박윤용,임동선,정부금,이경오,박정호,Park, Yoon-Young,Lim, Dong-Sun,Jung, Bu-Geum,Lee, Kyung-Oh,Park, Jung-H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0 No.4

        능동객체는 스레드와 같은 독립적인 실행단위로서 객체가 생성될 때 CPU의 스케줄을 받아 실행되어지는 개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능동객체론 정의하고, 능동객체의 생성 및 실행을 제어하는 능동객체 실행시간 지원시스템(Active object Run Time support systems ; ART)을 제시하였다. 또한 ART는 분산 환경에서 사용자들에게 위치 투명성이 보장되고, 편리한 방식으로 분산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능동객체 사이에 메소드 호출을 지원할 수 있고, 이를 위한 통신 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ART를 임베디드 시스템과 같이 시스템 자원이 제한되어 있고, 분산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Active object is an Independent runnable unit which is scheduled by CPU in creation time. In this paper, we define the active object and suggest ART(Active object RunTime support systems) which controls creation and execution of the active object. ART can Provide users locational transparency and support easy method call mechanism. We also designed a communication model among active objects and implemented a communication method to make the distributed programing possible. The implementation target platform of ART is an embedded system which has only limited resources and runs in th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 조선해양산업과 정보통신기술 융합 동향에 따른 표준화 현황

        김재명,임동선,김도현,Kim, JaeMyoung,Lim, Dong-sun,Kim, DoHyu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0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5 No.3

        In the maritime industry,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occurs in two areas. The first one is the convergence of e-navigation technology to apply ICT to the maritime domain. This was led by EU's initiative and is also being promoted in our country. The other one is the convergence of autonomous ship technology to apply various ICT technologies for commercial purposes. This initiative is being led by maritime industries. In this paper, we describe trends of e-navigation and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technology convergence. Subsequently, we explain the standardization status of performance and technical standard bodies,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s, and related standard-developing organizations to provide the interoperability of these technologies. Finally, we examine ongoing projects in Korea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their R&D and standardization.

      • KCI등재

        이동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상호배제 기반 위치인식 기법

        이좌형,임동선,정인범,Lee, Joa-Hyoung,Lim, Dong-Sun,Jung, In-Bum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6

        이동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인식서비스는 센서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이다. 그동안 이동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법들은 단일 사용자인 경우만 고려하여 연구되어 이를 다중 사용자인 경우로 확장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여러 이동 사용자들이 한 지역에서 동시에 위치인식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센서노드들이 발생시키는 라디오 주파수나 초음파 등이 서로 간에 간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이동 사용자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위치확인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발생 가능한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는 LME기법을 제안한다. LME기법은 센서노드가 위치인식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주위에 있는 앵커노드를 선점하여 점유함으로써 노드간의 간섭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IEEE 802.11에 정의된 CTS패킷을 자원 선점을 요청하는데 사용하며 RTS패킷을 자원 선점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반대로 이미 앵커노드가 다른 노드에 의해 선점하여 위치인식 작업을 방해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 해당 앵커노드들을 임계영역으로 정의한다. 임계영역 처리를 위한 NTS 패킷을 새로이 정의하여 노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거리측정 작업시 앵커노드간 동기화를 위한 STS패킷을 새로이 정의한다. 실험을 통하여 이동 사용자가 다수일 경우 노드 간에 간섭이 많이 발생함을 보이며 제안하는 LME기법이 위치인식 작업시 간섭을 방지함을 보인다. The localization service which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user, is one of important service provided by sensor network. Many methods to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user have been proposed. However, these methods were developed for only one mobile user so that it is hard to extend for multiple mobile users. If multiple mobile users start the localization process concurrently, there could be interference of beacon or ultrasound that each mobile user transmits. In the paper, we propose LME, the localization technique for multiple mobile nodes in mobile wireless sensor networks. In LME, collision of localization between sensor nodes is prevented by forcing the mobile node to get the permission of localization from anchor nodes. For this, we use CTS packet type for localization initiation by mobile node and RTS packet type for localization grant by anchor node. NTS packet type is uevento reject localization by anchor node for interference avoidance.nghe experimental result shows that the number of interference between nodes a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mobile nodes and LME provides efficient loc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