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고등학생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과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이홍직,김광선,김광회,남길우,민경원,이삼순,정찬희,이현숙,박지현,Lee, Hong-Jik,Kim, Kwang-Sun,Kim, Kwang-Hoi,Nam, Gil-Woo,Min, Kyeong-Won,Lee, Sam-Soon,Jeong, Chan-Hee,Lee, Hyun-Sook,Park, Ji-Hyu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제 5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통해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과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제시하면,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중에서는 여학생의 경우에, 양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에, 가계의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전문계 학생인 경우에, 저학년일수록, 학업성적이 좋지 않을수록, 일탈행동 요인 중에서는 인터넷 중독인 경우에, 문제음주 성향을 지닌 경우에, 흡연하는 경우에, 약물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자살 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살예방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linquent behaviors affect the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35,668 senior high school student cases of 2009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it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Being female, living without parents, low economic status, poor academic record, technical school students, young students, poor academic record, internet addition, problem drinking, smoking cigarettes and experience of drug use significantly increased probability of their suicidal thoughts. Findings may be used for tackle the issues of suicidal thoughts among the Korea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인터넷 중독 수준과 흡연과의 관계

        이홍직,김광선,김광회,남길우,민경원,이삼순,정찬희,박소연,Lee, Hong-Jik,Kim, Kwang-Sun,Kim, Kwang-Hoi,Nam, Gil-Woo,Min, Kyeong-Won,Lee, Sam-Soon,Jeong, Chan-Hee,Park, So-You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제5차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활용해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인터넷 중독 요인에 따른 흡연정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각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대한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둘째, 각 독립변인의 하위집단별 흡연 정도의 차이를 카이자승 검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특성 요인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에, 가계의 경제수준이 낮은 경우에, 고등학생이, 성적이 저조한 경우에, 건강요인에 있어서는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에, 주관적으로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에,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경우에, 우울을 경험한 경우에, 인터넷 중독요인에 있어서는 인터넷 중독 증상이 있는 청소년이 흡연하는 경우가 더 많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흡연 대책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factors on smoking behavior among the Korean youth. The 2009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data was used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Gender, living with parents, economic status, school level, academic record,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well-being, level of stress, level of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smoking behavior. Findings may be used for developing promising strategies to cope with smoking behavior of adolescent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 영향요인 규명을 위한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분석

        이홍직,Lee, Hong-Jik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1

        This study explored the determinant variables of physical health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it explored how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ctor, school factor, delinquent behaviors factor of the students affect their physical health using the 2012 Korean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Using the case of 36,889,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test,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tot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gender, father's educational level, sibling(s), economic status, grade, academic record, problem drinking, drug 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eterminant variables of physical health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Also, it delivered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ir physical health. 본 연구는 정보화 시대를 사는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요인, 학교 요인, 문제행동 요인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제8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 중 고등학생 자료를 활용하여 각 관련변수에 대한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독립변인에 따른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 수준의 차이를 t-검증과 F-검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각 독립변인이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결과를 통합 회귀분석에 근거해 제시하면, 인구사회경제학적 요인 중에서는 남학생일수록, 아버지의 학력이 저조한 경우에, 형제가 있는 경우에, 가계의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학교 요인에서는 저학년일 경우에, 성적이 우수할수록, 문제행동 요인에서는 문제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에,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신체적 건강수준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하여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신체적 건강 증진을 위한 제언을 전달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장 내 괴롭힘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이홍직(Lee, Hongji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1 생명연구 Vol.62 No.-

        본 연구는 장애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인식 유형을 파악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에 의해 27개의 Q 표본으로, 장애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6명을 P 표본으로 선정하여, Q 분류를 진행하였다. Q 방법론에 의한 분석 결과, 장애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인식 유형은 ‘법적 기준형’, ‘자율성 통제 및 소통 부재형’, ‘업무 환경 통제형’의 세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장 내 괴롭힘에 관한 각 유형별 특성에 따른 직장 내 괴롭힘 문제 예방과 대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types of perception about the bullying in social service agenc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hrough Q methodology. 27 Q samples were derived from divers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workplace bullying. 26 P samples were invited from the employees in social service agenc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ypes of perception about the bullying in social service agenc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 1) legal standard, 2) denial of autonomy and communication, and 3) control of occupational conditions and environments. This study delivered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o solve the bully in social service agencie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 KCI등재후보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결정요인

        이홍직(Hongjik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한국어능력, 사회적 지지 요인을 통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있어서는 성별과 주관적 건강상태, 한국내 거주 가족 여부가, 사회적 지지 요인에 있어서는 만남의 빈도, 교수의 지지, 동료 중국 학생의 지지, 가족의 지지, 경제 및 도구적 지지, 정서 및 평가적 지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수준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어 능력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회귀 모형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한국어 능력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남의 빈도, 교수의 지지, 동료 중국학생의 지지, 가족의 지지, 경제 및 도구적지지, 정서 및 평가적 지지 등의 사회적 지지 요인만이 여전히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완화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the chinese students in Korea. Especially, it aimed to explore how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students and the language skills and social support they had affected thei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2 chines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5 colleges in the Seoul-Gyeonggi metropolitan area. The levels of acculturative stress was measured by the 7 sub-factors item questionnaire of perceived discrimination, homesickness, perceived hate, fear, stress due to change/cultural shock, guilt, and nonspecific factors. Als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korean language skills and social support factors were introduced as predi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acculturative stress among the chinese students in Korea. Although acculturative stress of the chinese students were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variou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factors, only social support factors, such as frequency of meeting, professors" support, fellow chinese friends" support, family members" support and economic/instrumental support and emotional/evaluation support, were still remain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to the acculturative stress in the total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us that chinese students who had meeting with others more frequently, had more supports from professors, chinese friends, and family members, and had more economic/instrumental and emotional/evaluative supports enjoyed lowe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an their counterparts. Therefore, more policy and program considerations should be took for chinese students to utilize their social supports in order to relive their acculturative stress in Korea. (Korean J Str Res 2011;19:183∼194)

      • KCI등재

        A Review of Child Maltreatment in the U.S. from a Multicultural Perspective

        이홍직(Lee Hong Jik),송기범(Song Ki Bu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2 No.-

        This study examines child maltreatment issues in the U.S. in a cultural context. To do so, it presents demographic transitions, reviews previous studies on child maltreatment in the U.S., and illustrates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factors and child maltreatment. Related legal issues are also introduced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U.S. society recognizes culture in terms of child maltreatment.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delivers recommendations for defining child maltreatment in a cross-cultural perspective and implications for child policy and clinical practice in social work arena. 본 연구는 다문화적 관점에서 미국의 아동학대 문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미국사회의 인구학적 변화과정을 소개하며, 선행된 아동 학대 관련 연구의 문헌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적 특성요인과 아동학대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아동학대와 관련된 미국의 제도와 법령에 대한 논의를 통해, 미국 사회가 아동학대와 관련해 문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본 연구는 다양한 하위문화들이 공존하는 미국사회에 있어서, 새로운 관점에 근거한 아동학대에 대한 개념 정립을 도모하고, 이를 기초로 한 사회복지분야에서의 아동학대 문제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전달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고3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홍직(Hongjik Lee) 대한스트레스학회 2012 스트레스硏究 Vol.20 No.3

        본 연구는 고3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특성 요인, 유대 요인, 정서적 요인, 스트레스 요인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인 개인적 특성 요인, 유대 요인, 정서적 요인, 스트레스요인과 종속변인인 자살충동 수준을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분석을 통해 파악 하였으며, 각 독립변인별 자살충동에 대한 차이를 t-검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 활용한 변수간 상관관계와 다중공선성의 정도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특성 요인에서는 전교 등수가 낮을수록, 유대 요인에 있어서는 부모 유대가 낮을수록, 지역사회 유대가 높을수록, 정서적 요인에서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할수록,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부모 스트레스, 친구 스트레스, 외모 스트레스, 경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충동 수준이 상승하는 반면, 성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충동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 이에 따르는 제언을 전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youth. Specially, it tried to find out how personal traits, attachment characteristics, emotional factors and stress factors influence on their level of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used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KYPS), which was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KIYD). It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2,887 cases. It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though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d on their level of suicidal ideation, academic record, parents attachment, community attachment, emotion, parent stress, academic stress, friend stress, physical stress and economic stress were key determinants of their level of suicidal ideation in Korean Youth. Findings may be used for realizing the risk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nd developing new promising strategies to relieve the problems of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youth. (Korean J Str Res 2012;20:139∼148)

      • KCI등재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홍직(Lee Hongji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신뢰, 집단 내 협력, 정보공유, 지역사회 참여 요인 등의 사회자본 특성과 개인특성, 가족특성, 인적자본 특성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도권의 10여개 노인복지관을 거점으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수거된 272명분의 설문지를 기초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평균비교,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자본 특성모형에서는 신뢰, 지역 사회 내 협력, 정보공유, 지역사회 참여 수준 등 네 가지 변수 모두가 노인의 정신건강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자본 특성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회귀분석에 있어서는 신뢰, 배우자와의 동거여부, 주관적인 건강상태만이 여전히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사회자본 확충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lderly's mental health. Especially, it attempted to explore how the social capit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affect their mental health. Data on the 272 elderly who were at the age of 65 or over and liv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level of mental health was measured by the GDSSF-K(Gene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and the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rust, partnership in community, information sharing,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Also, personal, familial, and human capital traits were measured as socioeconomic natures of the respondents.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Although the level of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wa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ir diverse socioeconomic as welalys social capital natures, only trust, level of educa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to the level of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in the total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us that elderly who experienced more trust and who were highly educated and who lived with their spouses, and who felt healthier subjectively enjoyed better mental health than their counterparts. Therefore, more policy and program considerations should be needed for elderly to strengthen their social capital in order to enhance their levels of mental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