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취된 흰쥐 해마신경세포에서 Neurobiotin 이온주입으로 인한 신경세포의 생리적 특성의 변화

        이혜숙,이만기,김영진,최병주,Lee, Hye-Sook,Lee, Maan-Gee-G.,Kim, Young-Jin,Choi, Byung-Ju 대한소아치과학회 199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6 No.2

        Pyramidal cells in the hippocampal CA area were recorded from and filled with neurobiotin in anesthetized rats. The extent of their dendrites and the electro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membrane as well as the effect before and after neurobiotin injection were examined. Pyramidal cells had a high resting membrane potential, a low input resistance, and a large amplitude action potential. A afterhyperpolarization was followed a single action potential. Most pyramidal cells did not display a spontaneous firing. Pyramidal cell displayed weak inward rectification and anodal break excitation in response to negative current injection into the cell. Membrane properties of recorded neurons before and after neurobiotin injection with consecutive current injection were compared. Some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labelling(P>0.05); the duration and amplitude of sustained AHP, input resistance, and the number of action potentials for simultaneous intra- and extracellular stimulations. Neurobiotin-filled neurons showed pyramidal morphology. Cells were generally bipolar dendrite processes ramifying in stratum lacunosum-moleculare, radiatum, and oriens. 마취된 흰쥐를 사용하여 해마의 CA영역에 위치한 피라밋세포들의 세포막 특성을 in vivo의 세포내 기록법에 의해서 관찰한 후 2.5% neurobiotin을 세포내 기록용 미세전극에 채워 세포내로 충진시킨후 충진전과 동일한 실험순서로 반응을 다시 관찰하고 ABC kit를 이용하여 면역조직염색을 행하여 형태학적인 관찰을 하였다. 피라밋세포의 세포내 반응 특성은 높은 휴지막 세포막전위, 낮은 input resistance 그리고 큰 활동전위를 가졌다. neurobiotin 충진 전 후에 따른 세포막 특성의 변화는 sustained AHP의 duration과 amplitude, input resistance, 그리고 세포외 및 세포내 자극에 따른 AP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세포외 자극에 의한 억제는 주로 전반부에 나타났으며 CA3 영역에 위치한 이 세포의 형태학적 관찰 결과 세포체는 피라밋층에서 분명한 피라미드 형태를 띄고 있었고 기저 및 선단 가지가 각각 백색판층 및 섬유방-분자층까지 뻗어 있었으며 축삭은 겉질을 향해 기저가지돌기면에서 수직으로 뻗어 있었다. 해마의 주세포인 피라밋세포의 세포막 특성과 세포내 염색지시체(marker)로 주로 쓰이는 neurobiotin에 의해 세포막 특성중 일부가 변화됨을 알 수 있었고, 뇌내의 신경세포연결망이 완전히 보존되어 세포들 사이의 시냅스관계를 추측할 수 있는 in vivo 실험 모델이 응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이해조 소설에 나타난 가정 담론 연구

        이혜숙(Lee, Hye-Sook)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이 논문은 이해조의 신소설 작품 중『홍도화(紅桃花)』(1908), 『산천초목(山川草木)』(1913), 『여의귀 강명화실기(女의鬼 康明花實記)』(1925)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당대 몇 가지 가정 담론과 연관하여 여성의 새로운 욕망과 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홍도화』의 주인공 태희는 질서에 순응하는 대신 사회 진출을 열망한다는 점에서 여성에게 사회적 자아라는 새로운 내면성이 발생했음을 보여주지만, 후반부에 가서 고부 갈등에 매몰되고 심지어 구원자에 의지하는 협소한 결말을 맺고 만다. ??산천초목??의 강릉집은 행위를 결정하는 동기를 스스로에게 두고 욕망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거의 최초의 여성 인물이지만 자유로운 선택의 필요조건은 정작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결국 타율적 요소에 매몰되고 마는 불완전한 운명에 처한다. ??여의귀 강명화실기??의 명화는 정상적인 가족제도에서 용인하지 않는 외부인임에도 결혼을 통해 체제 내부로 진입하려고 시도하지만 욕망이 봉쇄되자 ‘여귀’가 된다는 극히 비현실적 해결로 마무리한다. 이해조는 당대 여성들의 요구를 포착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발전적인 해결 방법을 제시하는 서사적 능력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개혁과 변화를 열렬히 요구했지만 유교적 윤리관을 벗어나지 못했던 이해조는 서사의 공간에서도 스스로 거부했던 권위를 되돌려 사회를 봉합하는 보수적 안전주의에 머물렀다 하겠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the new desires and expressive patterns of women in relation to the home discourse of the times in Peach Blossoms, The mountain and streams, plants and grasses, and A True Story of Kang Myeong-Hwa, a Ghost of a Woman, which are new-style novels written by Lee Hae-jo. The three novels gave life to the new characteristics of female desire emerging in the changing times with specific circumstances and vitality of narration and depicted the contradictions and family conflicts within the discourse. In Peach Blossoms, Tae-hee exhibits a new internality called social ego but faces a small and narrow end, in which she is buried under conflicts. In The mountain and streams, plants and grasses, Gangneung-gyp actively expresses her desire, placing the motivation of her action decision in herself, but she ends up being buried under heteronomous elements by failing to figure out the necessary conditions of choice. In A True Story of Kang Myeong-Hwa, a Ghost of a Woman, Myeong-hwa reaches an unrealistic solution of becoming "a ghost of a woman" after her attempt to get into the system through a marriage not acceptable by the normal family system failed. The female characters showed the possibility of pulling in a new era, either returning back to the conventional values, not finding proper solutions, or failing at resistance and getting frustrated. Requesting reform and change but still remaining within the Confucian views of ethics, Lee Hae-jo stayed within the scope of conservative safety by restoring the authority he himself refused even in the space of narrative and suturing up the society.

      • KCI등재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동아리 활동과 그 의미

        이혜숙 ( Hye Sook Lee ) 한국교육인류학회 2007 교육인류학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원격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습동아리 활동과 그것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방송대의 학습동아리 ‘창공’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하였으며, 학습동아리 구성원을 제보자로 선정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창공의 학습동아리 활동은 스타디와 문화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스타디는 구성원들이 담당교과를 돌아가며 맡는 품앗이 방식으로 운영되며, 스타디에서 구성원들은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한다. 제보자들은 스타디를 위해 자료를 생산하며, 자료를 다른 카페에서 퍼 오는 등 다른 구성원의 학습에 도움을 주려고 한다. 또한 이들은 답사를 기획하여 구성원간에 유대를 강화시켜 나가며, 다양한 문화모임을 통해 문화체험의 기회를 가질 뿐 아니라 다른 구성원들과 체험을 공유하고자 노력한다. 학습동아리는 이들에게 세 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학습동아리는 ‘학교’이다. 이들은 스타디를 하면서 학생의 신분을 느낀다. 둘째, 학습동아리는 ‘관계형성의 장’이다. 이들은 학습동아리를 기반으로 학내의 다른 학생들과 관계를 형성해 나가며, 사회적 관계를 학교 밖으로 확장시켜 나가기도 한다. 셋째, 학습동아리는 ‘학습 코뮤니타스’이다. 학습동아리에서 이들은 동질감을 느끼고, 서로 배려하면서 학습의 기쁨을 공유해 나간다. It is difficult for an adult learner to learn successfully in a distance-study class for higher education. Adult learners in a study circle face difficulties in copying materials in distance-study class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 adult learner`s activities on the study circle and interpret their meaning. To achieve these aims, I performed participant observation at one of the study circles in KNOU and interviewed its members. Some of the major activities on the study circle include learning-centered activities and cultural activities. Learning-centered activities are run by the person who teaches the contents of the subject. They take their turns. The members freely exchange their view points with each other. Some of the members not only develop learning materials but also bring these developed materials and post them on the web-sites for the other study members. They make plans on visiting historical relics and reinforce the solidarity among members. The findings show that (1) the members feel they belong to a school community, (2) they create social relations with members of the study circle and try to extend it outside, (3) the study circle is interpreted by `the learning communities`. They feel a sense of belonging and share with the learning pleasure.

      • KCI등재

        아동ㆍ청소년대상의 사회ㆍ정서발달프로그램 연구의 메타분석

        이혜숙(Lee, Hye-Sook),최인숙(Choi, In-Suk),임신일(Im, Shin-Il)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9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1년 3월까지의 아동 및 청소년 대상의 사회정서발달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국내 석ㆍ박사 학위논문 99편을 대상으로 전체적인 동향을 살펴보고 메타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분석결과, 전체 아동ㆍ청소년 대상의 사회정서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는 0.472로 중간정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평균효과크기를 나타낸 결과로 연구대상에서는 장애아동, 대상기관에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가정유형에서는 공동생활가정, 연령 및 학년에서는 중ㆍ고등통합과 만 3∼5세 아동, 종속변수영역에 있어서는 부적정서조절의 감소와 친사회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남아가 효과가 높았다. 지역별로는 광역시, 처치변인별 평균효과크기에서는 주 4회 이상, 1~4주 기간, 1회 40∼50분 정도 실시하는 것과 프로그램 내용별 효과크기로 가장 높은 것은 미술, 체육, 치료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다. The research shows the results of meta-analysis of social and emotional program for children and teenagers based on 99 master’s and doctor’s dissertations from 2000 to 2011 March. The average effectiveness level of static program in social-emotional development for children and teenagers was middle-level, 0.472. The research showed high-level average effectivenes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s target group,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as target institution, cohabitation family as family type, the combined middle and high school as grade, 3~5 years old as age. Also, the average effectiveness was high in reduction of inappropriate emotional response, pro-social behavior and boys who were participated in program as dependent variable part. In addition, it was high in megalopolis by regional group, conducting more than 4 times, 1~4 week period, 40~50 minutes per 1 time as treatment variable average effectiveness level. The effectiveness level of contents was high in art, physical education and therapeutic program.

      • KCI등재
      • SCOPUS

        읽기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및 읽기재인간 비교 연구

        이혜숙(Hye Sook Lee),박현숙(Hyun Sook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99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4 No.-

        읽기 재인에 심한 어려움을 갖는 읽기장애 아동의 경우 언어와 관련된 음운처리과정에서의 문제가 읽기 실패를 가져오는 원인이라는 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장애 아동들이 생활연령(8세) 및 읽기수준(6세)을 일치시킨 비장애 아동들과 비교했을 때, 음운처리과정과 읽기재인에서 차이가 있는지와 음운처리 능력이 의미/ 무의미 단어 읽기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60명(각 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과 음성재부호화, 음운재부호화 과제를 사용하여 공분산분석에 의한 집단간 차이검증과 음운처리 하위요인과 읽기재인간의 상관분석 및 중 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읽기장애 아동이 생활연령이 같은 비장애 아동보다 사물 이름말하기를 제외한 모든 실험과제(음절탈락, 음소탈락, 음소변별, 음성재부호화, 철자- 숫자-색 이름말하기, 의미단어 읽기, 무의미단어 읽기) 수행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읽기수준이 같은 비장애 아동에 비해 음소탈락, 음소변별, 음성재부호화 과제에서는 유의하게 낮았으나, 음절인식과 철자- 숫자- 색 이름말하기, 의미단어 읽기와 무의미단어 읽기에서는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음운처리과정 하위요인과 읽기 재인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철자- 숫자- 색 이름 말하기와 음소탈락 수행이 가장 유력한 읽기재인 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identify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reading disabled, reading level matched, and age matched children) in the abilities of phonological processing and reading real and nonsense words, and whether specific reading disabilities are related to the deficit in those abilities. This information could be utilized for assessing specific reading disabilities and for plann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hem. For theses purposes, 20 third- grade student s with reading disabilities were matched to 20 normal 6-year - old fir st - grader s on word recognition skills and 20 normal third- grader s on chronological age.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were measured by testing phonological awareness (syllable deletion, phoneme deletion, & sound categorization), phonetic recoding, and phonological recoding (rapid letter - number - color naming & rapid object naming) tasks, and word recognition skills by both real and nonsence wor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ANCOVA with IQ and age as covariates, Pear son ' s simple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AS software package. The result s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ere significantly more impaired than age matched normal reader s on all measures except for the rapid object naming and than reading level matched younger readers on phoneme deletion, sound categorizations, and phonetic recoding measures. However, the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performed significantly better than reading level match younger reader s on syllable deletion, phonological recoding, and word recognition task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on rapid object naming skill. A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appeared to exist between word recognition and phonological processing.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could predict 64 % of real word reading skill and 69 % of nonsense word decoding skill. Among the phonological processing subskill factor s, phoneme deletion and letter -number - color naming were identified as major significant predictor s, yielding 61 % for real word read recognition and 64 % for nonsense word decoding.

      • 거주환경의 차이가 제주지역 소아의 흡입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률 및 알레르기질환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이혜숙 ( Hye Sook Lee ),홍성철 ( Sung Chul Hong ),김수영 ( Su Young Kim ),이근화 ( Keun Hwa Lee ),김재왕 ( Jae Wang Kim ),김정홍 ( Jeong Hong Kim ),최승효 ( Seung Hyo Choi ),임길채 ( Gil Chai Lim ),이재천 ( Jae Chun Lee ),신경수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1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1 No.3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n the sensitization rates to aeroallergens and the prevalences of atopic disorders in the school children. Methods: Two elementary schools in Jeju, Korea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distinctive residential environment, one located in the area surrounded by the tangerine farms and Japanese cedar forests (tangerine farming community) and the other rarely with them (non-tangerine farming community). All the school children (1,550 students) from the two schoo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Under their parents` informed consent, surveys based on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questionnaire were answered by the parents and skin prick tests with 16 common aeroallergens were performed. Results: The questionnaire is responded from 1,290 parents (83.2%) and the skin test was done in 1,284 students (82.8%). The sensitization rates to more than one aeroallergen was 41.9%, increasing by age. The children residing in the tangerine farming communit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nsitization rates than those from non-farming one (47.5% vs. 38.4%, P=0.004). The former were sensitized more frequently to house dust mite, citrus red mite and Japanese cedar pollen, while the others to outdoor moulds. However, the prevalence of atopic disorders ha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ight influence the sensitization rates to prevalent aeroallergens in the environment among school children,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the atopic disorders.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176-185]

      • KCI등재

        일개 섬 지역 주민의 알레르기질환 유병률 전수조사

        이혜숙 ( Hye Sook Lee ),홍성철 ( Sung Chul Hong ),김정홍 ( Jeong Hong Kim ),김재왕 ( Jae Wang Kim ),이근화 ( Keun Hwa Lee ),이재천 ( Jae Chun Lee ),정진호 ( Jin Ho Jeong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 2013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 No.2

        Purpose: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 for the entire inhabitants living in Udo Isle, one of the islands of Jeju. Methods: The complete enumeration using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group was applied to the 1,090 people residing in the Isle. This survey was performed for 2 months from June to July, 2012. For children, their parents`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for adults, their self-reports and interview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Of the 1,003 questionnaires (92.0%) were collected, 925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those of insufficient responses for questionnaires and inhabitants residing in Udo Isle less than one year. Results: For asthma, the prevalence of “wheeze, last 12 months” was 6.6%.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last 12 months” was 17.9%. The prevalence of “itchy eczema, last 12 months” was 8.1%. The prevalence of “allergic conjunctivitis, last 12 months” was 8.1%.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y, last 12 months” was 2.3%. The prevalence of “drug allergy, last 12 months” was 0.8%. Conclusion: The inhabitants of Udo Isle had lower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than that of in the entire Jeju Island. However, compared with other regions, it showed higher prevalence, and it tended to be decreased with aging. The prevalence of asthma, allergic rhinitis, allergic conjunctivitis, food allergy and drug allergy, presented no difference by age.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3;1:116- 122)

      • KCI등재

        해방이후 시민사회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성격(1945-1953)

        이혜숙 ( Hye Sook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2

        시민사회 형성의 과정과 그 구체적인 모습은 국가마다 다르며 한국의 시민사회도 독특한 역사적 경로를 거치면서 발전되어 왔다.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전개과정과 특성에 대한 이해는 시민사회의 성장과 민주화를 위한 출발점이다. 이글은 해방이후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형성된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의 역사적 구조화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시민사회의 재편과 저발전과 관련지어 보았다. 해방직후 팽창되었던 시민사회는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급속히 위축, 재편되었고 한국전쟁은 시민사회의 저발전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미쳤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사회의 제도화 면에서 미군정기는 자유민주주의가 제도화됨으로써 시민사회 형성의 법적·제도적 기반을 이룬 시기였으나 시민사회 형성에 외부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으며 제도와 시민사회적 기반의 괴리를 가져왔고 시민사회가 재편되었다. 정부수립 이후에는 국가주의의 바탕 속에서 ‘국민’ 형성이 강조됨으로써 개별 ‘시민’으로서의 권리는 무시되었다. 둘째, 시민의식과 시민문화 면에서 한국전쟁은 가족주의와 연고주의, 편법주의와 기회주의, 물질만능주의, 반공이데올로기의 내면화를 가져옴으로써 시민사회적 기반이 되는 시민의식 및 시민문화의 위축을 가져왔다. 셋째, 조직적 기반과 활동 면에서 한국 시민사회는 분단국가 형성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 및 반공에 기반한 관변단체들에 의한 동원과 감시·통제 현상이 많아지고 다양한 자율적 조직 기반이 파괴되었다. 따라서 해방이후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는 구조적 불균형을 드러내었는데 무엇보다도 한국의 국가가 전쟁을 통해 대폭 강화된 것에 비해 한국의 시민사회는 자율성과 다양성의 기반이 약해진 것이다.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한국에서의 국가의 우위현상과 권위주의 국가, 시민사회의 저발전, 한국 시민사회의 성격은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형성된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 특수성과 관련된다. The formation process of civil society goes through a unique historical path. It is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ivil society in order to foresee the growth of civil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historical formation of civil society in connection with the rule of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liberal democracy was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occupation. But the explosion of civil societ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weakened in the collapse of civil society. Besides, Korean War led to the underdevelopment of civil society. ‘Nation’ was emphasized and individual ‘citizenship’ was ignored. Second, Korean war has brought familism, opportunism, materialism and anticommunism. So it was difficult to form civic consciousness and civic culture. Third, mobilization and social control were enhanced by Korean state and pro-governmental organizations. Various voluntary organizations were destroyed. With structural imbalance i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Korea came to have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vulnerable to the rise of authoritarian state. The strong state over weak civil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experience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