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이산 웨이브렛변환에 의한 부분방전패턴 분석

        이현동(Hyun-Dong Lee),김충년(Chung-Nyun Kim),지승옥(Seung-Wook Jee),박광서(Kwang-Seo Park),이광식(Kwang-Sik Lee),이동인(Dong-In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0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0 No.-

        This paper deals with multiresolution analysis of wavelet transform for partial discharge(PD), both corona and surface discharge. Multiresolution analysis was used for performing discrete wavelet transform. PD signals was decomposed into "approximation" and "detail" components until 4 levels by using discrete wavelet analysis. In this paper, daubechies family is adopted for the research of the characteristics of PD signals. The results show that in corona discharge the segment 7, 8, 9, 10, 11 values of defined variable is increased with discharge process, so phase distribution is characterized by 210~330 ranges. In case surface discharge in expoxy insulator inserted, defined variable values is fairly symmetric discharge pattern because coupled both corona and dielectric bounded discharges. We can confirmly discriminate the type of PD source.

      • KCI등재후보

        SANAA가 설계한 미술관에 나타나는 공간구성요소의 특성 연구

        이현서 ( Hyun Seo Lee ),허범팔 ( Bum Pall Hur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2

        (연구배경 및 목적)오늘날의 미술관은 전시만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이 아닌 도시 디자인 및 기능에서도 전문적인 요구사항들이 충족되어야 하는 공간으로 발전되었다. 급변하고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단순한 물리적 경계를 넘어서 다양하고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의 영역을 건축과 사회, 건축과 공간의 관계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건축하는 SANAA의 미술관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대 미술관 건축의 흐름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 논문을 통해 미술관의 개념과 공간구성요소를 구분하여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SANAA가 설계한 미술관 공간을 분석한다. (결과)SANAA가 설계한 미술관 건축의 공간구성요소의 특성은 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상호 교류를 통해 만들어지는 관계성에 주목하고 단순화된 공간에서 내·외부의 경계를 통한 시각적 연속성이 보여지며 관람객이 주체가 되어 경험에 의해 만들어지는 공간을 형성하고 자연의 유입으로 자연과 건축물이 동화되는 일본 전통건축의 특성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특성은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지고 경험되어지는 새로운 공간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art museum building products of SANAA, which builds structures with a deep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rchitecture and society.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rchitecture and space in variously and organically changing spatial domains, moving beyond simple physical borders in a rapidly changing and diversified modern society. Finally,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the flow and direction of modern art museum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ly, this research classifies concepts related to art museums and spatial elements into advanced research theses. Based on this method, it analyzes art museum spaces designed by SANAA.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elements in art museums designed by SANAA reveal attention to relationships created by mutual exchanges between building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They show visual continuity through internal/external borders in simplified spaces and then form spaces made by the experiences of audiences as subjects.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in which nature and buildings become assimilated through the inflow of nature, are revealed. Such characteristics make it possible to create new spaces made and experienced by users.

      • KCI등재

        공기 살균 장치 적용 팽이버섯 재배사의 Listeria Innocua 저감 효과

        이현,유병기,서다솜,김세리,이찬중,곽강수,Lee, Hyun-Dong,Yu, Byeong-Kee,Seo, Da-Som,Kim, Se-Ri,Lee, Chan-Jung,Kwak, Kang-Su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3

        팽이버섯 재배사의 Listera속 미생물 살균을 위하여 공기 살균 장치가 부착된 파일럿 버섯 재배사를 개발하여 물리적, 화학적 살균처리에 대한 살균 효과 검증실험을 수행하였다. 파일럿 버섯 재배사의 내부 온도는 상부 6.62℃±0.30, 중간 6.46℃±0.24, 하부 6.48℃±0.25, 습도는 79.97%±4.42, 79.43%±4.06, 79.94±4.30%로 설정 온도 6.5℃, 상대습도 75%에 근사하게 제어되었다. 공기 살균 장치 적용에 적합한 팽이버섯 재배단계는 생육단계 조건인 온도 6.5~8.5℃, 습도 70~80% 범위였고 유사 조건에서 이온 클러스터 발생기의 오존 발생농도는 160 ppb 수준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살균처리 후 Listeria innocua의 생존율은 이온클러스터 살균의 경우 0.1~0.9%, UV공기 살균은 9.3~10.6%로 나타났고, 화학적 살균처리인 75% 에탄올과 3% 유기산 수용액 처리구에서는 모두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재에 대한 Listeria innocua 생존율은 금속시편의 경우 9.3~10.6%, 플라스틱 권지 9.9~16.2%로 나타났는데, 특히 권지의 거친면에서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버섯 재배사의 Listeria균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금속 소재로 구성된 재배사 벽면과 재배 선반에 대해서는 이온클러스터 공기 살균처리가 노동력을 절감하면서 살균 가능한 방법이며, 플라스틱 재질의 권지의 경우 화학적 살균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For sterilization of microorganisms of the Listeria genus contaminating enoki mushroom, pilot mushroom grower equipped with air sterilization devices were developed. Steriliz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controlled, maintaining 6.62℃±0.30 in the upper shelves, 6.46℃±0.24 in the middle shelves, and 6.48℃±0.25 in the lower shelves. Humidities were 79.97%±4.42, 79.43%±4.06, and 79.94±4.30%, respectively, with a temperature setting of 6.5℃, and a relative humidity of 75%. A suitable enoki mushroom cultivation stage for air sterilizer application was during the growth stage, with temperature in the 6.5~8.5℃ range, and humidity of 70~80%. At these same internal conditions, the ozone concentration in the mushroom cultivator was found to be 160 ppb during ion-cluster generator operation. After physical sterilization, the Listeria innocua survival rate was 0.1 to 0.9% using ion cluster sterilization, and 9.3 to 10.6% using UV air sterilization. The Listeria innocua survival rates on different materials were 9.3~10.6% on the metal specimen, and 9.9~16.2% on the plastic wrapper. The survival rate was particularly high on the rough side of the plastic wrapper. Ion cluster air sterilization is a labor-saving and effective method for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Listeria bacteria on mushroom growers walls and shelves. For the plastic wrapper, chemical sterilization is more effective than physical sterilization.

      • KCI등재

        고지방식이와 STZ 유도 제2형 당뇨 마우스에서 새싹의 항당뇨 효과

        이현서(Hyun-Seo Lee),강현주(Hyun Ju Kang),전인화(In Hwa Jeon),염정호(Jung Ho Youm),장선일(Seon Il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1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와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제2형 당뇨 마우스에서 새싹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살펴보았다. 제2형 당뇨 유도 후 4주 동안의 체중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새싹추출물군과 메트포민군에서 유의한 체중 감소 변화가 나타났으며, 식이섭취량에 따른 변화는 모든 실험군 간의 차이가 없었다. 공복혈당은 고지방식이군의 경우 실험종료일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고, 이와 대조적으로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의 경우 실험 2주째부터 감소하여 실험 종료 4주째에서는 고지방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경구 내당능 검사는 포도당 섭취 후 60분, 90분, 120분에서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이 고지방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인슐린 내성 검사는 120분에서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이 고지방식이군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혈중 지질 농도 변화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L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에서 증가하였다. 간독성의 지표인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와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효소 활성도는 메트포민투여군과 고지방식이군을 제외한 실험군들 간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혈중 인슐린과 렙틴 농도는 고지방식이군에 비해 새싹추출물과 메트포민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싹추출물은 제2형 당뇨 마우스에서 체중을 감소시키고 혈중지질 대사 이상을 조절하면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켜 혈당을 개선하므로 항당뇨 효과가 있는 우수한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Sprout vegetables containing various types of polyphenols and flavonoids, are known to have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cholesterol-lowering, and anti-obesity activitie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reports on the anti-diabetic efficacy of sprout vegetables. Here,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sprout extract obtained from buckwheat, beet, rape, broccoli, kohlrabi, red young radish, and dachai, in high fat diet (HFD) and streptozotocin (STZ)-induced type Ⅱ diabetes mellitus mice. The mice were fed a HFD (60% calories as fat) for 8 weeks prior to intraperitoneal injection with STZ (75 mg/kg). The diabetic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standard diet (STD, 10% calories fat), HFD, HFD with sprout extract (SPE) and HFD with metformin (MET). After 4 weeks, body weight gain was much lower in both SPE and MET groups than in HFD group. In contrast, there was no difference experiment groups regarding food intake ratio. The level of fasting blood gluco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PE and MET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Oral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tolerance in the SPE and MET groups were significantly ameliorated in comparison to the HFD group. The concentrations of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LDL cholesterol in the SPE and MET groups were remarkably reduced in comparison to the HFD group, and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SPE and MET groups than in the HFD group.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nd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levels were between SPE and HFD groups. The serum insulin and lepti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the SPE and MET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prout extract could improve insulin resistance and attenuate blood glucose level in HFD/STZ-induced type Ⅱ diabetes mellitus mice. We conclude that this study may provide positive insights into sprout extract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for treatment of type Ⅱ diabetes mellitus.

      • KCI등재
      • KCI등재

        29세 남자에서 다발성 낭종성 병변으로 진행한 폐선암 1예

        이현성 ( Hyun Seong Lee ),전재완 ( Jae Wan Jeon ),김재희 ( Jae Hee Kim ),주형욱 ( Hyeong Uk Ju ),배중기 ( Joong Gi Bae ),민영주 ( Young Ju Min ),안종준 ( Jong Joon Ahn ),서광원 ( Kwang Won Seo ),제갈양진 ( Yangjin Jegal ),권운정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72 No.2

        Cystic lesions or progressive cystic changes in adenocarcinoma of the lung have rarely been reported. We report a case of lung adenocarcinoma that progressed from ground-glass opacities (GGOs) and consolidations or nodules to extensive cystic lesions during 12 months in a young adult patient. A 29-year-old male was initially diagnosed with primary lung adenocarcinoma by transbronchial lung biopsy of the right lower lobe and lung to lung metastasis in both lungs according to imaging findings. The initial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showed multifocal GGOs, consolidations, and nodules in both lungs. Despite treatment with palliative chemotherapy, the patient`s follow-up CT scans showed multiple, cystic changes in both lungs and that the lesions had progressed more extensively. He died of hypoxic respiratory failure one year after his dia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