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굿딜 바운드를 이용한 기업규모 및 장부가-시장가 비율 효과에 관한 연구

        이한경,김봉준 한국금융공학회 2012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12 No.-

        본 연구는 기업규모 및 장부가-시장가 비율 효과를 굿딜 바운드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기업규모 및 장부가-시장가 비율 효과를 주로 모수적 자산가격결정모형(CAPM)을 통해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실증 검정 결과 대부분의 모수적 모형들이 기각이 되며 이는 모형설정오류가 심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에 반해 비모수적 CAPM의 경우 대상자산(reference assets)의 시장가격으로부터 무차익거래 원칙을 통해 확률할인요소를 직접 추정함으로써 모형설정오류가 없는 포트폴리오의 성과평가가 가능해진다. 본 연구는 비모수적 확률할인모형을 사용하여 시장이상현상(market anomaly)의 하나인 기업규모효과와 장부가-시장가 비율 효과가 존재 유무를 진단하였다. 구체적으로 미완성시장(incomplete market) 가정 하에서 Lucas(1978)의 오일러등식에 Cochrane and Saa-Requejo(2000)가 제안한 굿딜 제약을 추가함으로써 보다 현실성이 있는비모수적 확률할인요소집합을 도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기업규모 모방포트폴리오와 장부가-시장가 비율 모방포트폴리오의 위험조정초과수익률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Ahn et al.(2009b)의 성과상한과 성과하한을 이용한 펀드평가 지배원리를 적용하여 시장이상효과를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기업규모가 작고 장부가-시장가 비율이 높은 기업으로 구성된 모방포트폴리오일수록 높은 위험조정 초과수익률이 발견되어 국내에서도 기업규모효과와 장부가-시장가 비율 효과가 존재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또한 소규모 모방포트폴리오일수록 그리고 고 장부가-시장가 비율 모방포트폴리오일수록 성과추정치의 범위가 크게 나타나 시장이상현상에 해당하는 포트폴리오일수록 대표적 개인의 위험선호도에 따라 상이한 성과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뫄한뭐루 운동이 척추 및 대퇴골의 골밀도에 미치는 효과

        이한경,문대응 龍仁大學校 武道硏究所 2003 武道硏究所誌 Vol.14 No.1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which vertebra and thighbone influence to bone- density by doing Mwahanmworu Exercise, conducted by facing with total 20 persons which consist of 10 men at age-ranged 35-45-year who had ever been trained by Mwahanmworu Exercise for 3-5 years, and the other 10 healthy men who aged between 3545-year that as Non-Excercised Group, thence came up to the following conclusion : 1. The Vertebra Bone Density of the Exercised Group showed more higher figure than that of the Non-Exercised Group, and such figure also appeared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statistical test between the two groups. 2. The Bone-Density in Thighbone of the Exercised Group showed more higher numerical value than that of the Non-Exercised Group, and such contents also turned up a remarkable difference in statistical test between the two groups. Consequently, Mwahanmworu Exercise of those impetuous motion while its specific motion-training by mere-hands which does not giving any of unnaturalness to body, and the same training against iron, stone, tree, also the training using of spear, sword, stick, rope is considered as effectively functioned to strengthen of vertebra bone and thighbone, and also deemed that the effectiveness is same for not only Men but also Women.

      • 애수시렁이의 모든 발육 단계에 대한 포스핀과 카보닐설파이드의 훈증활성

        이한경,석승주,전종찬,구현나,김현경,김길하 한국농약과학회 2021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애수시렁이(Attagenus unicolor)의 모든 발육단계를 대상으로 12L 데시케이터, 중규모(0.5m³), 그리고 대규모(10m³)에서 phosphine(PH₃)과 carbonyl Sulfide (COS) 훈증제에 대한 감수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PH₃의 경우, 애수시렁이를 12L 데시케이터에서 24시간 노출 시에 유충, 번데기와 성충은 낮은 농도인 PH3 1.0 mg/L에서 100% 훈증활성을 보였으나 알에서는 80.4%의 훈증활성을 보였다. 알을 포함한 모든 발육단계는 2.0mg/L로 48시간 처리 시에 100% 훈증활성을 보였고, 중, 대규모에서도 100% 훈증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12L 데시케이터에서 COS 15.2mg/L로 24시간 처리 시 알을 제외한 모든 발육 단계에서 100% 훈증활성을 보였고, 알에서는 40.0%의 훈증활성을 보였다. 12L 데시케이터에서 COS 40.2mg/L로 48시간 처리 시, 모든 발육단계에서 100% 훈증활성을 보였고 중, 대규모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이익공시에 대한 시장 반응에 관한 연구

        이한경,김진수 한국금융공학회 2017 금융공학연구 Vol.16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n the stock price based on the event study methodology and examines trading behavior by investor types classified as foreigners,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around quarterly earnings announcements.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al effects of quarterly earnings announcements are found positive abnormal return. Second, informational effects of 1, 2, and 3 quarters earnings announcements are found positive abnormal return whereas the effects of 4 quarters are found negative. Third, earnings announcements of Construction, Machinery, Non-metallic Mineral, Transport Equipment, Paper & Wood, Iron & Metal and Chemical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ir industry group. Fourth, foreign investors buy before earnings announcements with positive net income and sell after earnings announcements. Also, foreign investors are net sellers of earnings announcements with negative net incom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arket reaction on quarterly earnings announcement differs from the time of announcement, net profit, and industry classification in KOSPI. The findings suggest that foreign investors have an advantage on trading behaviors prior to earnings announcements in comparison with other investor types. 본 연구는 사건연구를 통해 분기이익공시에 대한 시장반응을 분기별(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당기순이익별(흑자, 적자), 업종별(코스피 산업지수 업종 분류체계, 17업종)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별종목의 투자체별(외국인, 개인, 기관) 평균순매수도율을 이용하여 이익공시에 대한 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대상 표본은 2003년부터 2015년까지 분기이익공시를 실시한 12월에 결산을 실시하는 비금융 코스피 상장 기업들로 선정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기간의 이익공시는 사건일 당일과 전일 크게 상승하여 유의미하게 주주부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기별 비교분석 결과 1분기(연간실적), 2분기, 3분기(반기실적)의 이익공시에서 유의미하게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으나 4분기 이익공시에서는 음(-)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다. 셋째, 건설업, 기계, 비금속, 운수장비, 종이목재, 철강, 화학 업종에서 실적발표 당일 유의미하게 주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투자주체별 거래행태를 살펴보면 이익공시일 기준으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사건당일과 +1일에 순매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당기순이익이 흑자인 경우 외국인은 공시이전에 순매수한 후 공시일에 순매도하고 적자인 상황에서는 전체 기간 동안 순매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기이익공시 시점의 시장반응이 발표시점, 당기순이익, 업종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투자주체별 거래행태는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 우위를 확인하였다.

      • 어닝서프라이즈와 어닝쇼크가 공매도 거래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한경,김진수 한국재무학회 2019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05

        본 연구는 분기이익시점의 SUE, 전기대비 이익(당기순이익, 영업이익)의 증감에 따라 집단 을 세분하여 분기이익시점의 시장반응과 공매도 거래행태를 사건연구 방법론으로 비교 분석하 였다. 특히, 어닝서프라이즈를 SUE가 1이상이면서 전년동기대비 및 전분기 대비 이익이 증가 한 집단(ESUR: S1+ ΔYQ+)으로 설정하고 어닝 쇼크를 SUE가 –1이하면서 전년동기대비 및 전분기대비 이익이 감소한 집단(ESHO: S1- ΔYQ-)으로 설정하여 해당사건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분기이익공시 이후의 공매도 거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을 2009년부터 2016년까지로 설정하고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업종을 대상으로 표본 을 선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기이익발표 시점에서 SUE가 양(+)인 지 음(-)인지에 따라 시장반응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ESUR 집단에서 가장 높은 AAR 과 CAR이 나타났으며 ESHO 집단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닝서프라이즈와 어닝쇼크 발생의 선행요인을 분석한 결과 분기이익공시 이전의 누적초과수익율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으로 SUE를 추정한 결과 어닝서프라이즈 표본 에서 분기이익공시일 D+1일부터 D+5일간의 누적초과공매도 거래비중(CASR(1,5))이 당기순이익 으로 구분한 ESUR 집단을 제외한 모든 분석대상 집단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ESUR가 CASR(2,5)에 음(-)의 관계를 보이는 반면 ESHO는 CASR(2,5)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무차익 거래 원칙을 이용한 시장이례현상 연구

        이한경,김봉준 한국재무학회 2014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08

        시장이례현상(market anomalies)으로 알려진 기업규모효과, 유동성효과, 주당순이익 대비 주가(E/P) 비율 효 과, 자기자본의 장부가 대비 시장가(B/M) 비율 효과는 CAPM 등 이론적 자산 가격 결정 모형을 근거로 하 고 있다. 이는 시장이례현상의 진단이 모형설정오류(bad model problem)의 위험을 내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준 자산에 대한 가격 오차 위험이 없는 비모수적 확률할인모형을 사용하여 국내 시장에 시장 이례현상이 존재하는 지를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B/M 비율이 클수록 비정상 초과수익률이 증가하여 시장 이례 현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E/P 비율 효과도 존재하지만 선행 연구와 달리 특징적인 V자형 형태를 발견하였다. 셋째, 유동성 효과의 경우 모방 포트폴리오의 비정상 초과수익률이 주로 –3%~3% 대에 분포하고 추세적 현상이 발견되지 않아 한국 시장에서 유동성 효과는 존재하지 않거나 미약하 게 존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