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화대응 전문인력양성에 관한 교육 현황 분석: 정부출연연구소의 대학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하영(Lee, Hayoung),박미숙(Park, Misook),김지예(Kim, Jiye) 한국기후변화학회 2024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15 No.2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limate change experts is emphasized in international agreements like UNFCCC and SDGs, as well as in domestic legislation such as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or Coping with Climate Crisis and Act on Promo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Coping with Climate Change. Also, it is important for climate change experts who can immediately engage in research and industries to contribute to climate change response and cooperation.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UST”) based on the climate technology classification and the Keywords of Article 2 of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or Coping with Climate Crisis. The UST curriculum related to climate change was classified into three fields: technology,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ost of the UST curriculum belonged to the technology field(90.4%),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being dominant(67.7% of the technology field), such as power storage, photovoltaic power, and fuel cells. Policy-related curricula mainly focused on studying policy trends, while curricula on designing policy for climate change response were insufficient. Additionally, the field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comprised only 0.6%, or 1 out of 167, curricula. Furthermore, similar courses were offered at several institutions. Therefore, not only mitigation, but also adaptation and convergence technology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as the curriculum for climate change response technology. In addition, the curriculum in the fields of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hould be expanded, and it is important to foster experts with integrated knowledge in the fields of technology, polic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사회불안 증상과 얼굴 군집의 평균 정서 추론

        이하영(Lee, Hayoung),남종호(Nam, Jongho),양재원(Yang, Jae-Wo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4

        사회불안을 설명하는 인지 모형은 해석 편향이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한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사회불안 증상이 얼굴 군집의 평균 정서를 추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7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사회불안과 우울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후 진행된 실험에서는 연구 참여자에게 열 개의 정서 얼굴을 100ms씩 순차적으로 제시한 후 군집의 평균 정서가 부정적인지 긍정적인지 평정하게 하였다. 정서 얼굴은 기쁨과 분노였으며, 얼굴 군집에 제시되는 각 정서 얼굴의 비율을 달리하여 부정 대 긍정의 비율은 총 7 수준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누적정규분포함수에 모형 맞춤을 실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부정과 긍정 응답이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주관적 동등점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사회불안의 정도와 주관적 동등점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불안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우울의 효과를 제거하고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불안의 증상이 높을수록 군집의 평균정서를 부정적이라고 판단하는 해석편향이 있으며, 이것이 사회불안 특정적임을 시사한다. The cognitive model of social anxiety disorder assumes that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biases influence on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social anxiety symptoms. Based on this assump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symptoms on the ensemble coding of crowd emotion. Seventy-seve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self-report scales, measuring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the experiment, they were sequentially presented with 10 faces, and were asked to rate the average emotion as negative or positive. Each facial emotion was angry or happy, and they were presented in seven ratios (2:8, 3:7, 4:6, 5:5, 6:4, 7:3, 8:2). We used a a cumulative normal distribution function to calculate the point of subjective equality (PSE)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The result of a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ocial anxiety symptoms and PSE. Moreover, it was still significant when controlling the effect of depression symptoms. It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anxiety, the greater tendency to judge the average crowd emotion is negative.

      • KCI등재

        사회계층이 국민의 희망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계층상승 가능성과 정부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하영 ( Hayoung Lee ),이수영 ( Sooyoung Lee ) 한국정책학회 2016 韓國政策學會報 Vol.25 No.3

        최근 ‘헬(hell)조선 증후군’이라는 말이 등장할 정도로 국가에 대한 절망과 혐오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고, 학계 안팎에서 희망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있다. 그러나 정작 ‘국민’의 시선에서 바라본 국가의 미래에 주목하여 희망에 대해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거의 부재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공백을 보완할 필요가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하위계층을 중심으로 자신의 계층상승에 대한 비관과 정부불신이 맞물리며 국가에 대한 절망을 더욱 가속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미래에 대한 희망마저 현재 속해 있는 사회계층에 따라 결정되는 ‘희망의 계층화’가 존재하는지 여부와 이 과정에서 주관적 계층상승가능성과 정부신뢰를 통한 매개가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직접효과의 분석결과, 현재 속해 있는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자신의 계층상승가능성을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정부신뢰는 저조한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계층상승가능성은 정부신뢰와 국가에 대한 희망에, 정부신뢰는 국가에 대한 희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계층과 국가에 대한 희망 간에는 직접적인 정(+)의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계층은 ‘사회계층→주관적 계층상승가능성→국가에 대한 희망’의 경로와 ‘사회계층→주관적 계층상승가능성→정부신뢰→국가에 대한 희망’의 경로를 통해 국가에 대한 희망에 정(+)의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간접적인 희망의 계층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하위계층이 인식하는 계층상승가능성을 높여 정부에 대한 신뢰를 제고함으로써 국가에 대한 희망을 회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계층이동의 사다리를 재건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조치를 통해 국민 누구든 자신의, 혹은 국가의 미래를 꿈 꿀 수 있도록 희망의 탈계층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반면, 예상과 달리 ‘사회계층→정부신뢰→국가에 대한 희망’의 경로에서는 사회계층이 정부신뢰를 통해 국가에 대한 희망에 부(-)의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계층이 높을수록 정부신뢰가 저조한 데 기인한 것으로 국가에 대한 희망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상위계층의 정부불신을 완화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기대불일치 이론에 따르면 상위계층의 정부불신이 정부에 대한 지나친 기대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정부의 역량과 도덕성을 강화하는 노력과 더불어 국민들 또한 정부에 대한 지나친 요구와 기대를 절제할 수 있는 시민의식을 함양해 나갈때 보다 큰 폭의 정부신뢰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하위계층의 정부신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 또한 정부에 대한 기대 수준이 현저하게 낮은 데 기인했을 가능성이존재하므로 하위계층의 정부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동시에 높여 진정한 의미의 정부신뢰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abhorrence and despair over the state of Korean society have worsen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term ¨Hell Joseon syndrome,〃 referring to negative public sentiment, has been coined and received widespread media coverage. In this context, the importance of hope in society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and out of academia. However, there are few empirical studies on ¨hope〃 for the country…s future in the eyes of the ¨public〃 which suggests that research on this topic is required. Given that the widespread pessimism among Koreans긏especially members of the lower class긏 about the possibility of climbing up the social ladder, along with distrust in government, could rapidly aggravate public despair, the present study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discern the existence of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hope,〃 the concept that even one…s prospects for the future are determined by one…s social class,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ubjective prospect of upward mobility and public trust in governmen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an individual…s social class, the brighter prospect of upward mobility, and the lower his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In addition, the subjective prospect of ascending the social ladde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and the level of hope for the country, while the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hope for the country. As for the existence of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hope, its direct effect on the country is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it has an indirect effect on hope for the country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subjective prospect of climbing the social ladder and trust in government, which implies the existence of the indirect social stratification of hope.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Koreans… subjective prospects of upward mobility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enhance public trust in government and restore the public…s hope for the country…s future, which in turn suggests that active policy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rebuild the social ladder, helping give Koreans high hopes for the bright future of their life and country, regardless of their social status. Moreover, the fact that the level of trust in government varies depending on social class reflects the discrepancies between each social class…s levels of expectation of the government. This means a clear policy direction should be set towards improving the public’s evaluation and expectation to build strong public trust in government. In short,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every effort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lower class’s expectation of government by ensuring that the benefits of policy are equally distributed across social classes, in tandem with other measures strengthening government capability and morality.

      • SCOPUSKCI등재
      • Pix2Pix 기반 색상 외곽선 데이터를 활용한 패션 이미지 생성 학습모델

        이하영(Hayoung Lee),손봉기(Bong-Ki Son),허권(Huh Kwon),이재호(Jaeho Lee)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최근 패션 분야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업무를 위한 레퍼런스 디자인 생성을 위해 GAN 기반 인공지능 기술 도입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GAN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의도한 디자인 생성이 어렵다. 따라서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GAN의 대표적인 모델 중 하나인 Pix2Pix를 활용한다. 그러나 Pix2Pix 또한 생성한 이미지의 색상이 사용자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Pix2Pix와 사용자 의도 색상 외곽선을 활용한 패션 이미지 생성모델을 제안한다. 색상 외곽선으로 학습한 Pix2Pix 모델을 사용한다면 사용자 의도 색상과 디자인이 통합된 패션 이미지로 생성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패션 이미지에 Canny edge detection과 k-means clustering을 통해 생성한 색상 외곽선으로 Pix2Pix 학습을 진행하였다.

      • KCI등재

        상상력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유형 재탐색

        이하영(Lee, HaYoung),진영은(Chin, Yo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는 2009개정 초등교육과정에서 창의적인 인간을 기르기 위해 상상력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총괄 목표에 따라 교육 전반에 적정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상상력의 개념과 유형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문제의식 아래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에서 연구되는 상상력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국어과에서는 문학적·시적 상상력, 도덕과에서는 도덕적 상상력, 역사과에서는 역사적 상상력, 과학과에서는 과학적 상상력, 예술과 관련해서는 예술적 상상력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각 상상력의 특성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비슷한 성질의 상상력이 명칭만 달리하여 각각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을 교육적 실천 전반에 적용 및 확장하기 위한 그 선행적 토대로서 상상력의 유 형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재분류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의 유형을 크게 개인의 감정 및 심상에 의한 것과 실재에 기반 한 상상력으로 구분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감각적 상상력, 공감 및 감정적 상상력, 상상적 공상, 종합적 상 상력, 지적 및 전략적 상상력, 창조적 상상력, 비판적 상상력의 7가지로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primary curriculum, revised in 2009, this study addresses the necessity of the imagination that can be applied across subject. For this purpose, the domestic researches had been reviewed in terms of imagination so that it turns out that each field is considering the imagination limited on its own boundary; the language associated is only focusing literary, poetic imagination. Furthermore, as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each imagination, it also observed that similar properties are named differently in different fields. In this study, imagination is analyzed in two ways: emotional one which is associated with emotion and mentality, and cognitive one is relevant to the ability to configure the real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seven educationally efficacious imagination types and educational factors connected to each type are suggested.

      • KCI우수등재

        정부신뢰 제고를 위한 새로운 접근: 분위회귀를 통한 신뢰수준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이하영 ( Lee Hayoung ),강혜진 ( Kang Hyejin ) 한국행정학회 2020 韓國行政學報 Vol.54 No.4

        본 연구는 분위 회귀분석을 통해 정부에 대한 현재 신뢰수준에 따라 정부의 능력과 도덕성이 정부신뢰를 제고하는 효과가 달라지는지, 즉 정부를 신뢰하는 국민과 신뢰하지 않는 국민의 정부신뢰가 제고되는 핵심 메커니즘이 상이한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정부의 능력(효과성, 대응성)이 정부신뢰를 제고하는 효과는 신뢰수준이 높은 국민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난 반면, 정부의 도덕성(청렴성)이 정부신뢰를 제고하는 효과는 신뢰수준이 낮은 국민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는 이미 정부를 신뢰하는 국민의 신뢰수준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고, 정부를 신뢰하지 않는 국민의 불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실망을 회복하는 것이 특히 중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주로 조건부 평균 접근을 취하는 기존연구에서 간과되어온 신뢰수준에 따른 차이를 포착함으로써 정부가 국민의 불신을 극복하고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 어떤 전략적 접근을 취하여야 할지 판단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 effects of a government’s ability and morality in enhancing government trust depends on the current level of government trust; that is, whether the key mechanisms for increasing the government trust of those who trust the government and the key mechanisms for increasing the government trust of those who do not trust the government are differen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ability (effectiveness, responsiveness) to enhance government trust was greater in the people with already high confidence level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the government's morality (integrity) on enhancing government trust was greater in the people with low confidence levels. This suggests tha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meet expectations for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government to further raise the confidence level of those who already trust the government, and to overcome the distrust of those who do not trust the government,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avoid disappointment over the ethical aspects of the government. This study captured differences according to confidence levels,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mainly taking a conditional average approach, which provides useful implications for determining what strategic approaches the government should take to overcome public distrust and enhance trust.

      • KCI등재

        정부 지식관리의 성과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기술과 조직적 맥락 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하영 ( Lee Hayoung ),엄석진 ( Eom Seok-ji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8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5 No.1

        본 연구는 기술적 체계와 사회적 체계 간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사회-기술적 관점(socio-technological perspective)을 바탕으로 ⅰ) 정보시스템이 지식관리의 매개를 통하여 조직성과에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 ⅱ) 이 과정에서 조직적 맥락(집권성, 혁신문화)에 따라 정보시스템 품질이 지식관리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달라지는 조절효과 및 ⅲ) 정보시스템 품질이 지식관리의 매개를 통해 조직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달라지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시스템 품질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지식관리의 매개를 통한 정(+)의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집권성과 혁신문화 중 혁신문화에 한하여 유의한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정보시스템 그 자체만으로 조직성과의 향상을 담보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기술이 조직의 지식관리에 기여하는 유용한 기술적 도구로 발현되는 경우에는 조직성과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고, 이러한 기술발현을 촉진하는 조직적 맥락으로서 혁신문화가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지금까지 한국 정부의 지식관리는 기술결정론적인 시각에서 정보시스템의 구축 그 자체에 초점을 두고 단순히 높은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 왔을 뿐, 기술의 발현을 촉진할 수 있는 조직적 맥락을 조성하려는 노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본 연구결과는 지식관리의 궁극적 목표인 조직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정보기술뿐만 아니라 이를 발현시킬 수 있는 조직적 맥락이 함께 뒷받침 되어야 함을 보여주며, 특히 지식친화적인 문화적 맥락으로서 혁신문화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stimat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rom 'Information system quality→ Knowledge management→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echnology enactment framework that emphasizes interactions between technology and organization(centrality, innovation cul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formation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and the positive influence of information system on knowledge management is more significant in organizations with high innovation cultur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innovation culture is significant but moderation effect of the centrality is not significant. This result shows the importance of the innovation culture as a catalyst of the knowledge government. Although knowledge management has been strongly promoted with a technologically high level of information system, the fact that the knowledge 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public sector in Korea has not appeared as expected is because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catalyst has been overlook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structural and cultural effort in order to activate the knowledge management of the public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