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료 발생 기법을 활용한 저수지 최소유입량 예측 기법 개발 : 섬진강댐을 대상으로

        이철희,이선미,이은경,지정원,윤정인,이재응,Lee, Chulhee,Lee, Seonmi,Lee, Eunkyung,Ji, Jungwon,Yoon, Jeongin,Yi, Jaeeung 한국수자원학회 202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7 No.5

        Climate change has been intensifying drought frequency and severity. Such prolonged droughts reduce reservoir levels, thereby exacerbating drought impacts. While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optimizing reservoir operations using historical data to mitigate these impacts, their scope is limited to analyzing past events, highlighting the need for predictive methods for future droughts. This research introduces a novel approach for predicting minimum inflow at the Seomjingang dam which has experienced significant droughts. This study utilized the Stochastic Analysis Modeling and Simulation (SAMS) 2007 to generate inflow sequences for the same period of observed inflow. Then we simulate reservoir operations to assess firm yield and predict minimum inflow through synthetic inflow analysis. Minimum inflow is defined as the inflow where firm yield is less than 95% of the synthetic inflow in many sequences during periods matching observed inflow. The results for each case indicated the firm yield for the minimum inflow is on average 9.44 m<sup>3</sup>/s, approximately 1.07 m<sup>3</sup>/s lower than the observed inflow's firm yield of 10.51 m<sup>3</sup>/s. The minimum inflow estimation can inform reservoir operation standards, facilitate multi-reservoir system reviews, and assess supplementary capabilities. Estimating minimum inflow emerges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enhancing water supply reliability and mitigating shortages. 최근 국내에서는 이상기후로 인해 가뭄의 빈도 및 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장기간의 가뭄으로 인한 저수지의 저수량 감소로 전국적인 가뭄 피해가 발생하였다. 가뭄 기간 동안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측자료를 이용한 최적의 저수지 운영 방법을 제안하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실측 자료만을 활용할 경우 과거 가뭄 사상에 대해서만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극심한 가뭄을 예측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가뭄피해가 발생한 섬진강 유역에 위치한 섬진강댐을 대상으로 최소유입량 예측 기법을 제시하였다. 수문 분석 모형인 Stochastic Analysis Modeling and Simulation (SAMS) 2007을 이용하여 섬진강댐의 관측자료와 통계적 특성이 유사한 동일한 길이의 유입량을 다수 발생시키고, 저수지 모의운영에 따른 보장공급량 산정 결과를 활용하여 최소유입량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소유입량을 대상 저수지의 관측자료와 동일한 기간을 갖는 다수의 발생유입량 중 보장공급량을 기준으로 95%는 이보다 작지 않은 값을 갖는 유입량으로 정의하였다. Case별 저수지 모의운영 분석 결과 섬진강댐 최소유입량의 보장공급량은 관측자료의 보장공급량인 10.51 m<sup>3</sup>/s 대비 평균 1.07 m<sup>3</sup>/s 낮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산정한 최소유입량은 가뭄 시 저수지 운영 기준을 마련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최소유입량을 활용하여 댐 연계운영, 추가 확보 가능한 용수공급량 등을 검토할 수 있다. 이는 가뭄 시 용수공급 안정성 확보 및 하류 물부족 문제 해소 등을 위한 대안 마련 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터널의 비접촉 이동식 상태점검 장비: 리뷰

        이철희,김동규,Chulhee Lee,Donggyou Kim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23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ost recent tunnel scanning systems to obtain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non-contact mobile inspection system. Tunnel scanning systems are mostly being developed by adapting two main technologies, namely laser scanning and image scanning systems. Laser scanning system has the advantage of accurately recreating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unnel linings from point cloud. On the other hand, image scanning system employs computer vision to effortlessly identify damage, such as fine cracks and leaks on the tunnel lining surface. The analysis suggests that image scanning system is more suitable for detecting damage on tunnel linings. A camera-based tunnel scanning system under development should include components such as lighting, data storage, power supply, and image-capturing controller synchronized with vehicle speed.

      • KCI등재

        출생아 수 변화요인 분석과 장래전망

        이철희(논평) ( Chulhee Lee ) 한국금융연구원 2019 韓國經濟의 分析 Vol.25 No.1

        장기적인 유배우 여성 비율의 감소는 출생아 감소의 가장 주된 요인이었고, 가임기 여성인구의 감소도 출생아 수가 떨어지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이 기간 동안 나타난 유배우 출산율의 증가는 다른 두 요인의 효과를 부분적으로 상쇄하여 출생아 수 감소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 2년(2015년~2017년) 동안에는 유배우 출산율이 빠르게 감소하여 출생아 수를 떨어뜨리는 가장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향후 출생아 수는 통계청 장래인구전망의 중위추계는 물론 가장 비관적인 저위추계보다 더 빠른 속도로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10년 동안의 추세에 따라 앞으로 10년 동안 연령별 유배우 여성 비율이 감소하고 지난 5년 동안의 추세에 따라 유배우 출산율이 감소한다면 불과 2년 후인 2020년에 출생아 수가 30만명 선 아래로 내려가 284,000명을 기록하고, 8년 후인 2026년 출생아 수 20만명 선이 무너지며 197,000명으로 떨어진 후 2042년까지 135,000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결과는 인구변화가 우리 사회와 경제에 미치는 충격이 그 동안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secular decline in the proportion of females currently marrie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reduced the total number of births in Korea from 2000 to 2017. The shrinkage of the female population at child-bearing ages also contributed to the fall in the number of the newly-born. On the other hand, the increase in the marital fertility rates during the period slowed down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birth by countervailing the effects of the aforementioned two factors. However, the marital fertility rates rapidly dropped in recent years, accounting for 60% of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births between 2015 and 2017. It is likely that the number of births in Korea will decline more rapidly than predicted by the lower-bound official projection. Suppose that the proportion of females currently married continue to fall for another 10 years according to the pace observed during the last decade, and that the marital fertility rates in the next 5 years follow the trends of the last 5 years. Under the hypothetical scenario, the number of total births will fall below 300,000 in 2020 (284,000), will drop under 200,000 in 2026 (197,000), and will have declined to 135,000 by 2042.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population changes could be more pronounced than previously anticipated.

      • KCI등재

        18세기 백탑동인과 청조문사 교유의 공감정서 - 유득공의 백탑청연시절 시를 중심으로 -

        李澈熙 ( Lee Chulhee ) 진단학회 2021 진단학보 Vol.- No.136

        한중 지식층의 교유는 18세기 중반 홍대용이 세 명의 항주출신 거인과 ‘천애지기’로 칭해지는 교유를 이루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한다.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등 백탑동인은 적극적으로 중국 문사와 의 교유를 열망하였고, 이들의 시를 선집한 『한객건연집』을 청나라로 보내 마침내 홍대용의 뒤를 이어 ‘천애지기’의 교유가 확산되어갔다. 기존연구에서는 이들이 ‘並世의식’을 통하여 국적과 신분을 뛰어넘어 동시대 지식층과의 연대를 추구하였다고 파악하였다던 바, 이글에서는 서로를 지기로 칭하였던 인간적 면모의 공감이 어떤 정서적 소통을 통해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유득공과 한족 관료 이조원 사이에 주고받은 시를 통하여 서로가 정치사회적으로 불우한 처지로서 시작품과 저술로만 이름을 남길 수밖에 없다는 ‘窮愁’의 정서에 공감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궁수’는 사마천이 ‘發憤著書’와는 달리 사회적 신분의 곤궁이 저술의 계기가 되었음을 밝혔고, 19세기 실학자 최한기는 저술의 목적과 계기를 5가지로 분류하면서 첫째로 ‘궁수’를 거론하기도 하였다. 한중 지식층이 ‘궁수’의 공감대를 형성한 것은 홍대용의 교유로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당시 함께 교유하였던 홍대용과 김재행, 그리고 엄성, 반정균, 육비는 모두 과거에 합격하지 못하여 관료진출의 난관에 봉착하여 있었고, 당시 부사 金善行이 반정균의 과거합격을 기원하자 그가 흘린 눈물은 신분제 사회의 질곡과 과거제도의 굴레 속에서 고통을 감내했던 전근대 지식층의 ‘궁수’를 대변하는 것이었다. 백탑동인이 이들의 교유기록을 읽으며 눈물을 흘리며 감동하고, 교우와 궁핍의 문제를 즐겨 작품으로 다루었던 것은 바로 ‘궁수’의 공감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onsensus felt by intellectuals of the Joseon and Qing dynasties in the 18th century as they became friends. The poetries written by the Joseon intellectuals, Yoo Deuk-gong and Baegtab coterie, that were exchanged with the Qing intellectuals confirms that there was a shared sense of ‘Qiongchou(窮愁: the agony of failure)’. According to Sima Qian, a person of low social status attempts to make himself known to the world by writing. Baegtab coterie had limits in their ability to move up in the world due social status and so were Han Chinese intellectuals under the Manchu, which enabled them to sympathize with each other. Pan Tingyun was touched and shed tears when his friend Hong Dae-young wished him luck for his state-examination. All members of the Baegtab coterie were able to sympathize and shed tears together which eventually led them to passionately create work on the issue of friends and poverty.

      • KCI우수등재

        현금지원이 유배우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 강원도 육아기본수당 지급 사례로부터의 증거

        이철희 ( Chulhee Lee ),이소영 ( So-young Lee ) 한국경제학회 2022 經濟學硏究 Vol.70 No.2

        이 연구는 현금지원이 유배우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군구별 패널고정효과모형 추정결과는 출산지원금 지급이 유배우 출산율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보여준다. 2019년 강원도의 육아기본수당 지급은 지자체 출산지원금이 갑작스럽게 큰 폭으로 증가한 사례를 제공해준다. 출생아 수 변화 요인 분석 결과는 육아기본수당 지급 이후 강원도의 유배우 출산율(특히 무자녀 유배우 여성의 첫 자녀 출산율이)이 크게 증가하여 출생아 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기초지자체별 자료를 이용한 이중차분 회귀분석 결과는 육아기본수당 지급이 강원도의 유배우 출산율을 분석기간 평균 대비 14~20% 더 높였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ash benefit on marital fertility. The results of county panel fixed model estimation shows that pro-natal cash benefits of local governments significantly increased marital fertility. The Basic Child Care Allowance (BCCA) in Gangwon Province offers a unique opportunity to examine the effect of a large-scale increase in pronatal cash benefit. A decomposition of change in the number of births suggests that marital fertility (especially the probability of having first child among married women with no child) sharply rose after the provision of the BCCA, playing a rol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births. The results of difference-in-difference estimations based on county-level data suggest that the BCCA increased the marital fertility rates by 15~20% of the average rate during the sample period.

      • 한국 병적기록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

        이철희(Chulhee Lee),도민영(Minyoung Do),박순영(Sunyoung Pak),홍두승(DooSeung Hong)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6 經濟論集 Vol.55 No.1

        이 논문은 병무청 병적기록표 자료의 성격과 최근 이루어진 이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이 자료의 활용 및 유사한 자료의 수집과 관련된 시사 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이 데이터에 포함된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1946년부터 1957 년까지 출생한 남성의 개인적인 특성을 개관하고 자료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한국의 병무기록은 장기간에 걸쳐 축적된 행정자료로서 정확성과 대표성이 높으며, 특히 개인별 마이크로 자료가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이전 시기의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후생상태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유용성이 큰 자료로 평가된다. 이번 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 제외된 1957년 이후 출생자 표본을 추가하고 군복무 기록에 대한 전산입력이 이루어지면 자료의 유용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primary features of Korean military records kept in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and the database recently constructed from the records, which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the data and collections of similar sources.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s secular chang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ale cohorts born between 1946 and 1957 using a number of key variables contained in the data, which demonstrates how the data can be utilized. As government administrative data accumulated over a prolonged period, the Korean military records are relatively accurate and representative. These sources are particularly useful for study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wellbeing of individuals in the periods for which individual-level micro data are available. Collecting samples of the cohorts born after 1957 and inputting service records into machine-readable form are expected to enhance the value of the data.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대응 아동돌봄쿠폰 지급이 가구소비지출에 미친 효과

        이철희 ( Chulhee Lee ),이수진 ( Sujin Lee ) 한국경제학회 2021 經濟學硏究 Vol.69 No.3

        이 논문은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을 겪는 가구를 지원하기 위해 지급된 아동돌봄쿠폰이 가구소비지출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중차분 회귀분석 결과는 아동돌봄쿠폰 지급으로 인해 가구소비지출이 10주 동안 주 평균 22,355원(지원가구 분석기간 평균 지출액의 8.8%)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아동돌봄쿠폰 지급은 아동에 대한 지원과 영세 상인 보호라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아동돌봄쿠폰 지급은 저소득층의 소비지출증가에 더 큰 효과가 있었으며, 상위 20% 가구의 소비지출에는 다소 약한 영향을 미쳤다. 아동돌봄쿠폰 사용은 지원이 없었을 경우 이루어졌을 가구소비지출의 일부분을 대체하였고, 순 소비진작 효과의 규모(10주 기준 주 평균 22,355원)는 돌봄포인트 사용액(57,620원)과 대체효과의 규모(35,256원)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었다. 지급 후 10주를 기준으로 볼 때 아동돌봄쿠폰의 순 소비진작 효과는 포인트 사용액의 약 39%로 추정되었다. 논문의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가 정부지원금의 기대효과 및 설계 방향에 대해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household spending effects of child support payment coupons in South Korea, which were granted to subsidize households suffering from COVID-19. The results of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ion suggest that child support payment coupons increased household spending by a weekly average of 22,355 South Korean Won (KRW) over 10 weeks, which is 8.8% of the treatment group’s average consumption for the period of analysis. Child support payment coupons have positive impacts on supporting both children and small-scale business-owners. The effect on household spending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larger for low-income households, compared to that of the top 20% of households. We find that coupon redemption replaces some of the household spending that would occur if there was no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he size of the net effect (weekly average of 22,355 KRW over 10 weeks) is determ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coupon redemption (57,620 KRW) and the size of the substitution effect (35,256 KRW).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net effect of the coupons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39% of the coupon redemption for 10 weeks. We als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on the effects and design of government subsi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