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묘에서 발굴된 사람뼈로 추정한 조선시대 성인 남성의 키에 대한 연구

        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4

        이 연구에서는 서울과 충남, 전북 등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서 발굴된 사람뼈를 이용하여 조선시대 성인 남성의 평균 키를 추정하였다. 이 연구의 저자에 의해 성인 남성으로 추정된 조선시대 사람뼈 85개체에서 나온 141개의 넙다리뼈 최대길이를 측정한 후 이 측정치에 Trotter와 Gleser(1958)의 몽골로이드 남성 키 추정식을 적용하였다. 먼저 개체별 키 추정치를 얻은 후 개체 추정치 중앙값들의 평균을 연구집단의 추정 평균 키로 채택하였다. 연구대상 집단의 넙다리뼈 최대길이 측정치의 평균은 좌측이 427.05 mm, 우측이 427.91 mm였으며, 평균 키는 164.49 cm로 추정되었다. 분묘형식에 따라 피장자들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달랐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대부 묘제로 추정되고 있는 회묘 출토자와 평민의 묘제로 추정되고 있는 토광묘 출토자를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전체 토광묘 출토자들의 평균 키 추정치는 164.09 cm였고 은평지역 토광묘 출토자들의 평균 키 추정치는 163.19 cm 였다. 토광묘 출토자들은 사회경제적으로 평민에 속했으므로 이 추정치가 조선시대 평민 젊은이들의 평균 키에 가까웠을 것으로 일단 생각해 볼 수 있다. 전체 회묘 출토자들의 평균 키 추정치는 164.55 cm였고 은평지역 회묘 출토자 평균 키 추정치는 164.71 cm로서 해당 토광묘 출토자 집단에 비해 각기 0.46 cm와 1.52 cm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추정된 조선 중남부 지방 출신(대개가 중부지방 출신) 전체 성인 남성 평균 키 164.49 cm(모든 묘제 출토자) 그리고 평민 성인 남성의 평균 키 163.19 cm(은평 토광묘 출토자) 또는 164.09 cm (전체 토광묘 출토자)를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보고된 중부 조선인의 키와 비교했을 때 조선시대 사람뼈로 추정한 키가 작지 않거나 다소 큰 경향이 있었다. An average height of adult males of Joseon period was estimated by utilizing excavated skeletal remains of the era. The height estimation formula for Mongoloid males by Trotter and Gleser (1958) was applied to the maximum femur lengths from 85 individuals" skeletal remains identified as grown-up males by the author of this paper. Individual estimations were obtained first, and then the mean of the central numbers of the individual estimations was taken as the group average. The average height of the 85 individuals was estimated 164.49 cm. When the sample was divided by the burial type, a presumed indicator of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buried, those buried in the lime-mortar type burials were generally taller than those buried in the earth-pit type burials. When the Eunpyeong site was examined separately, those excavated from the earth-pit type burials were shorter about 1.5 cm than those excavated from the lime-mortar type burials. Because it is presumed that the earth-pit type burials were mostly used by commoners during the Joseon period, the mean height of the adult males from the earth-pit type burials can be considered as a mean height of adult male commoners of the era. The mean height of those from the earth-pit type burials was 164.09 cm when the total sample was analyzed and l63.19 cm when only those from Eunpyeong were analyzed. When estimated from skeletal remains, the adult Korean male commoners from middle and southern Korea of Joseon period were as tall as or a little taller than those adult Korean males from middle Korea measured by Westerners or Japanese in the late 19<SUP>th</SUP> and early 20<SUP>th</SUP> centuries.

      • KCI등재

        조선 중ㆍ후기 사람들의 연령별, 분묘형식별, 사망연령별 치아 선형 에나멜 형성부전증 발생 양상

        박순영(Sunyoung Pak),우은진(Eun Jin Woo),정양승(Yang Seung Jeong),조길환(Gil Hwan Cho) 대한체질인류학회 2011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은평지역 분묘군 인골집단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발달 스트레스 지표로서 많은 연구에서 이용되어온 영구치 선형 에나멜 형성부전증(LEH)의 발생 양상을 조사하여, 조선시대 중기에서 후기 사이에 서울에 거주했던 사람들이 유아기에 경험한 발달 스트레스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은평 뉴타운 건설을 계기로 발굴된 은평 분묘군 출토 인골개체 가운데서 영구치의 앞니부위 치아 중 최소한 한 개 이상이 남아 있으면서 LEH의 발생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160개체를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분묘군의 조성연대, 개체별 성, 사망연령, 분묘형식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각 치아별로 LEH의 발생유무, 발생개수를 조사하여 치아유형별 LEH의 발생률과 발생개수, 성별 LEH 발생개수, 분묘형식별 LEH 발생개수, 사망연령과 LEH 발생개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치아별로는 아래턱 좌ㆍ우 송곳니, 위턱 좌ㆍ우 송곳니, 위턱 좌ㆍ우 안쪽앞니의 순서로 LEH의 발생률이 높고 치아당 발생개수도 많았다. 성별차이는 일관성이 없었고 뚜렷하지도 않았다. 분묘형식별 LEH 발생 양상의 차이는 뚜렷하지는 않았으나 대체적으로 토광묘 피장자들이 회묘 피장자들에 비해 높은 빈도의 LEH를 보여주는 경향이 있었다. 사망연령과 LEH 발생개수 사이에는 분명한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유일하게 아래턱 좌측 가쪽앞니에서만 LEH 발생개수와 사망연령 사이에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LEH를 많이 가진 개체일수록 조기 사망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세계 각 곳에서 조사된 연구 결과들과 비교하여 고찰하고 본 연구 결과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고인골을 대상으로 치아에서 나타나는 성장기의 발달 스트레스 지표를 분석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ental linear enamel hypoplasia (LEH) is probably one of the most widely used developmental stress indicators among all known skeletal stress indicators. This research examined LEH on the permanent anterior teeth of 160 human skeletal remains from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stresses experienced by the people of the Joseon period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LEH incidences. The skeletal remains analyzed for this research were excavated during an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at a construction site in Eunpyeong-gu, Seoul, South Korea. Eunpyeong site is estimated to date from the late 15<SUP>th</SUP> century to the late 19<SUP>th</SUP> century based on the burial type and goods discovered within the graves. Of all the skeletal remains found at this site, 160 individual specimens with at least one of the permanent anterior teeth constituted the sample of the study. Information regarding each individual specimen’s sex, age at death, and burial type was collected by the standardized methods. The prevalence and number of LEH by tooth type, and the number of LEH by sex, by burial type, and by age at death were analyzed. Mandibular canines were the most frequently affected teeth, maxillary canines coming next in the occurrence of LEH, and the third turned out to be the maxillary incisors. This result generally agrees with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When number of LEH by sex was compared, there was no consistent difference by sex which also agrees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Although specimens from lime-mortar burials tended to have less number of LEH then those from earth-pit burials, a probable indication of the socioeconomic status effect on the formation of LEH, the result was not very pronounced. No obvious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LEH and age at death was found, either. Finally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ose reported by other researches on LEH worldwide. Although preliminary in its level of analysis,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of the patterns of LEH of a skeletal population of Korea. With more studies of human skeletal remains from the past, it is hoped, physical anthropology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ast life of the Korean people.

      • KCI등재

        영양 수준의 향상에 따른 신장 성적이형성의 변화 : 탈북자 자료를 이용한 남북한 비교연구

        박순영(Pak,Sunyoung)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2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an improved nutritional environment increases the size of stature sexual dimorphism (SSD) by comparing mean height changes in North and South Korean adults. For the first round of sampling, those North Korean refugees who had reached the age of 20 years before leaving North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n, two birth-year cohorts born between 1955 and 1959 and between 1980 and 1984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analysis (383 males and 529 females). North Korean refugee mean height data were compared to the mean height of the comparable South Korean population derived from 2004 Korean size results (373 males and 429 fema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increase in mean height among the refugees, either in males or females, between the two birthyear cohorts. As a result, no change in SSD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birth-year cohorts. In contrast, South Koreans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in height, with males having a greater increase during the corresponding 25 years. Consequently, South Korean SSD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ime. These results support the hypothesis that improved nutritional quality increases SSD. (Korean J Nutr 2011; 44(2): 162 ~ 170)

      • KCI등재

        역학적 스트레스 반영 뼈대지표를 이용한 연구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재고

        우은진(Eun Jin Woo),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2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5 No.3

        생물인류학자들은 역학적 스트레스에 대해 반응하고 적응하는 뼈의 형태를 통해 과거 집단의 삶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에서 자주 이용되는 지표는 퇴행성 관절 질환과 근부착부위 뼈대변형으로, 1960년대부터 두 지표의 발현양상을 중심으로 특정 행위유형에 대한 유추 및 생계경제 패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사회 복잡성과 역사적 경험, 불평등 구조 등 사회적 맥락 안에서 지표의 발현양상을 해석하고자 하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각각의 지표 자체는 개체의 성과 나이와 같은 생물적 속성뿐 아니라 집단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해서도 다르게 발현되기 때문에 해석상의 주의가 요구된다. 즉 이러한 지표를 행위복원 연구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과거 사회의 노동 및 일상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과 더불어, 지표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다양하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행위와 뼈대 변형의 특징을 보다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임상 의학과 운동역학 분야의 연구결과를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이며 다른 뼈대지표들을 함께 사용하는 것도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이 된다. 그러나 보다 신뢰할만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표에서 나타나는 형태적 특징이 특정 행위와 관련되었음을 입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 집단의 행위복원 연구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퇴행성 관절 질환과 근부착부위 뼈대변형의 형태적 특징이 신체 행위와 관련된 역학적 스트레스의 결과인지 검증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뼈대의 형태적 특징과 역학적 스트레스의 관계를 이해하고 집단 차원의 행위복원 연구에서 이러한 지표들을 어떻게 이용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다. The reconstruction of activity and of work patterns has been approached by examinations of activityrelated skeletal markers. Among several different methods, in particular, a number of anthropologists have widely applied the patterns of enthesopathies and degenerative joint disease in studies of past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and use these indicators in reconstructing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ies of past populations. This review will provide information on the most recent anthropological research on the behavioral interpretation on degenerative joint disease and enthesopathies, to better use these indicators in understanding past populations. There are obvious limitations in using these markers,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m. Firstly, it is uncertain as to whether there are certain activities that are performed repetitively throughout their lives of those who lived in past civilizations. A second limitation involves the etiology of skeletal markers related to mechanical stress. There are multiple-factors, including genetic predisposition, sex, the aging process, and diet that may affect the way people practice a specific activity. Accordingly, this makes it difficult to evaluate the underlying etiological factors and their roles in activity-related skeletal changes. In conclusion, to circumvent these limitations, the use of multiple skeletal markers together in studies of the activities of past populations may enable to more reliable interpretations. However, to ensure more reliable interpretations, the validity of such combinations of makers should be challenged. Therefore, more work on the validity of activity-related markers is needed to clarify the activiti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in life of the features observable in skeletal populations. This type of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the use of activity-related skeletal markers in studies of behavioral interpretations with more certainty regarding whic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responses to physical activity and mechanical loading as the pathogenesis of such characteristics.

      • KCI등재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한 조선시대 사람뼈 집단의 눈확과 코의 좌우 비대칭 양상 연구

        정현우(Hyunwoo Jung),우은진(Eun Jin Woo),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6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9 No.4

        이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하여 조선시대 사람뼈 집단의 눈확과 코의 좌우 비대칭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세기에서 20세기 초반의 조선시대 고고학 유적에서 출토된 사람뼈 집단 (성인 남성 38, 여성 38개체)이 이용되었다.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분석에 적용하기 위해 좌우 눈확에서 10개, 코에서 7개의 삼차원 좌표를 추출하였고 그 좌표들에서 형태 변이를 분석하였다. 통계적으로, 부분 최소 제곱 점수를 이용하여 다변량분산분석 (M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눈확과 코의 좌우 비대칭은 정중면이 아니라 가쪽의 계측점들에 의해 발생하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눈확과 코 모두 오른쪽이 왼쪽보다 더 큰 비대칭의 형태를 띄었다. 하지만 눈확과 코의 좌우 비대칭 방향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눈확의 계측점들은 주로 오른쪽, 코의 계측점들은 주로 왼쪽으로 치우쳐 있었다. 이러한 눈확과 코의 좌우 비대칭의 양상과 정도는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여 주었다 (p<0.01).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한 이 연구의 결과는 눈확과 코의 좌우 비대칭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눈확과 코를 이용한 한국인 머리뼈 좌우 비대칭의 대한 연구를 보충하고 좌우 비대칭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pattern of bilateral asymmetry in the eye orbit and nose of the Joseon Dynasty skeletal group was analyzed using geometric morphometrics. For this, 38 adult males and 38 adult females from the Joseon Dynasty skeletal group belonging to the 15th to early 20th centuries were examined. For geometric morphometric analysis, Procrustes superimposition was performed on 10 landmarks in both eye orbits and 7 nasal landmarks. The data were analyzed b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ith partial least square scores. In results, the lateral landmarks had more impact on the bilateral asymmetry in the eye orbit and nose than the center landmarks. The eye orbit and nose on the right side of the face seemed bigger than those of the left side, while the direction of asymmetry in the eye orbit and nose was different. The correlation between asymmetry patterns in the eye orbit and no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examining causes of bilateral asymmetry in the eye orbits and noses of the Korean population.

      • 한국 병적기록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활용

        이철희(Chulhee Lee),도민영(Minyoung Do),박순영(Sunyoung Pak),홍두승(DooSeung Hong)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6 經濟論集 Vol.55 No.1

        이 논문은 병무청 병적기록표 자료의 성격과 최근 이루어진 이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이 자료의 활용 및 유사한 자료의 수집과 관련된 시사 점을 제공하였다. 또한 이 데이터에 포함된 주요 변수를 이용하여 1946년부터 1957 년까지 출생한 남성의 개인적인 특성을 개관하고 자료의 활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한국의 병무기록은 장기간에 걸쳐 축적된 행정자료로서 정확성과 대표성이 높으며, 특히 개인별 마이크로 자료가 본격적으로 생산되기 이전 시기의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후생상태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유용성이 큰 자료로 평가된다. 이번 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 제외된 1957년 이후 출생자 표본을 추가하고 군복무 기록에 대한 전산입력이 이루어지면 자료의 유용성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primary features of Korean military records kept in th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and the database recently constructed from the records, which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the data and collections of similar sources.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s secular chang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ale cohorts born between 1946 and 1957 using a number of key variables contained in the data, which demonstrates how the data can be utilized. As government administrative data accumulated over a prolonged period, the Korean military records are relatively accurate and representative. These sources are particularly useful for study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wellbeing of individuals in the periods for which individual-level micro data are available. Collecting samples of the cohorts born after 1957 and inputting service records into machine-readable form are expected to enhance the value of the data.

      • KCI등재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한 조선시대 머리뼈 형태의 변이 양상 연구

        정현우(Hyunwoo Jung),우은진(EunJin Woo),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1

        전통적인 형태계측학에서는 머리뼈지수, 위얼굴지수와 같은 측정치들의 비율을 이용하여 머리뼈의 형태를 분석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율들은 좌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이 정보들만으로는 3차원 공간에서 전체의 형태를 구현할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적인 형태계측학으로는 머리뼈를 구성하는 각 부위의 형태들이 갖는 유기적인 관계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형태계측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하여, 조선시대 집단의 머리뼈 형태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양상들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15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해당하는 서울·경기 지역의 고고학 유적들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사람뼈 57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머리뼈 형태에 대한 좌표는 MicroScribe G2X (Immersion Corporation, USA)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머리뼈 부위의 형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은 머리뼈 너비 및 길이, 정수리점 위치, 머리뼈뒤면 형태, 얼굴뼈 길이에서, 남성은 머리뼈 길이, 너비, 높이, 꼭지돌기 크기, 얼굴뼈 길이에서 집단 내 변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 전체의 머리뼈 길이가 짧아지는 동시에 너비는 넓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머리뼈 높이와 얼굴뼈 길이의 변화 양상 및 상대성장과의 유사성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조선시대 머리뼈 형태에 변이를 일으키는 주요 부위들과 그에 따른 변이 패턴은 향후 한국인의 머리뼈 형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morphometrics uses ratios between measured values such as the cranial index and the upper facial index. However, with these ratios alone,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the shape of the entire cranium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ecause ratio does not express coordinate data. This methodological limitation of traditional morphometrics makes it difficult to evaluate relations between cranial parts. However, it is important to assess relations between cranial parts because cranial parts change their shapes in an integrated way.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geometric morphometric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morphometrics and provide a more enhanced visual analysis of the cranial shape. Using geometric morphometrics, this study focused on variations of cranial shapes in a population from Joseon Dynasty to obtain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variations of cranial shapes in 57 individuals from Seoul·Gyeonggi province who lived in the 15th to the early 20<SUP>th</SUP> centuries. The coordinates of the crania were collected by MicroScribe G2X (Immersion Corporation, USA)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tions in cranial shapes of females were reflected mostly in width, length of cranium, position of bregma, shape of posterior part of cranium, and length of facial bone. The cranial shapes of the males varied mostly in length, width, height of cranium, size of mastoid process, and length of facial bones. The cranial length became shorter when the cranial width became broader in both sexes. However, cranial height and facial length showed different variations between the two sexes. In addition, the variation in females only showed evidence of static allomet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ranial shapes in a population from Joseon Dynasty and will be useful in future studies such as analysis on between-group differences. By identifying within-group variations first, researchers focusing on between-group differences will likely avoid erroneous conclusions.

      • KCI등재

        넙다리뼈 몸통 가로단면의 크기를 이용한 조선시대 은평유적 출토 인골집단의 생물역학적 특성 연구

        우은진(Eun Jin Woo),정양승(Yangseung Jeong),정현우(Hyunwoo Jung),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1

        팔다리뼈 몸통의 생물역학적 속성(biomechanical properties)은 뼈에 부과되는 역학적 스트레스의 수준을 가장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생물인류학 분야의 연구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특히 다리뼈 몸통의 가로단면 속성(cross-sectional properties 또는 geometry)은 주로 이동성 또는 이동 패턴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제한된 범위의 행위 수준을 복원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사람뼈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에서 많이 이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단일 유적으로는 최대 규모의 사람뼈 집단이라 할 수 있는 은평 집단의 넙다리뼈 몸통의 가로단면 형태를 분석함으로써 은평 유적에 묻힌 사람들의 생물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조선시대 중ㆍ후기 서울과 그 주변 지역에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신체 행위 수준을 복원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 결과, 은평 유적의 넙다리뼈 편평지수(platymeric index) 값은 84.9 이하로 납작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납작한 유형이며 편평지수 값의 평균에서도 남녀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분석된 편평지수 값의 평균을 보면, 은평집단의 여성 넙다리뼈는 다른 지역의 사람뼈 집단에 비해 비교적 더 편평하다. 뼈몸통중간(midshaft)의 뼈몸통지수(pilasteric index) 값에서도 남녀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 편평지수보다 뼈몸통지수 평균 값의 남녀 간 차이가 더 컸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가 당시 집단의 생태적 환경과 생계패턴의 성격을 반영하는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향후 다른 종류의 생물역학적 스트레스 지표를 이용하거나 연구자료의 수를 더 늘려서 해석한 후에 평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Long bone diaphyseal cross-sectional shape as a primary measure of biomechanical loading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in physical anthropology. Especially, lower limb bones have been widely used to reconstruct the mobility pattern of the past population. In this research, 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femoral shaft was investigated for the human skeletal remains excavated from the Eunpyeong site, dating the period spanning from the mid-15th to the early 20th centur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report the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st populations living during Joseon Dynasty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Eunpyeong population was grouped into the ‘platymeric category (i.e., platymeric index below 84.9). Females were more platymeric (i.e., more laterally flattened) than males and the sexual dimorphis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samples of Eunpyeong site showed a relatively lower pilasteric index (i.e., more round) compared to the populations reported in other stud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an insight to shed light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s, subsistence strategies, and life styles of the past populations. Yet, for more detailed interpretation, it appear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other types of indicators for biomechanical stresses and accumulate more archaeological evidences.

      • KCI등재

        전염성 질병에 대한 고병리학적 접근

        우은진(Eun Jin Woo),김재현(Jae-Hyun Kim),전채린(Chae Lin Jeon),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1

        전염성 질병은 일시에 많은 사람들을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기 때문에 인류 사회 전반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미치는 질병 범주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염병에 대한 연구는 의학적 차원뿐 아니라 인문학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염성 질병에 대한 고병리학적 접근은 과거 집단이 병원체에 저항하고 적응했던 생물학적 흔적과 그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게 한다. 오늘날 옛 사람 뼈를 이용한 전염성 질병에 대한 연구는 관련된 병변을 차별적으로 진단하는 것뿐 아니라 전염성 질병의 기원과 진화, 전파에 대한 연구로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뼈에 병변을 남기는 대표적인 전염성 질병인 매독과 결핵, 나병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옛 질병을 진단하고 해석하는 기법들이 최근까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를 주요 저널에 발표된 논문을 검토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고병리 연구의 흐름과 최근 연구의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한반도 내 전염성 질환의 양상과 질병 상태에 대한 객관적 정보들이 어떤 절차로 확보되고 연구되어야 할지에 대한 기준이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onstructing the impact of infectious disease on past populations is one of the main fields in paleopathological studies. The initial phase of paleopathology was descriptive, focusing on the identification and presence of disease in the past. However, currently paleopathological studies are moving toward probing questions about the larger picture of origin and transmission of disease agents. In this study, paleopathological studies of major infectious disease (i.e., tubuerculosis, treponemal disease and leprosy) were reviewed through osteoarcheological work published in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archaeolog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Journal of Paleopathology from 1981 to 2017. A basic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many types of research in paleopathology and to characterize research trend in this field. As paleopathological studies becomes more abundant, the approaches to infectious disease have been increasingly specialized and interdisciplinary from 1980. Also, methodology used in paleopathology continues to evolve through the holistic approaches of molecular analysis, radiology and histopathology. Ultimately, this study reinforces the importance for retention of large-scale skeletal collections for paleopathological study in population perspective. In the near future, Korean paleopathology can contribute in the reconstructions of the history of disease and its effect on past human populations.

      • KCI등재

        중국 체류 북한 어린이의 성장발육 상태 연구

        박순영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0 비교문화연구 Vol.6 No.2

        This paper is an assessment of the growth status of 55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3 to 18 years old residing in Sino-North Korean border area.They were measured during the visits made from July 26, 1999 to August 5, 1999 and from January 21, 2000 to January 28, 2000.The growth status was assessed by comparing refugee children's height and weight to both NCHS reference curve and South Korean means.The raw data on weights and heights were converted into anthropometric indices(Z-scores of weight-for-age, height-for-age, and Weight-for height) relative to NCHS reference values.Most of the children have Z-scores of below -2 for height(mean HAZ : -2.63) and between -2 and -1 for weight(mean WAZ : -1.81).The percentage of the children who are retarded in height(% < -2 HAZ : 70.9)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ose retarded in weight(% < -2 WAZ : 27.3).These children are more stunted than underweighted.The height and weight of the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are compared to the means of the South Korean children of 1997 report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The subjected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 are 3.6cm to 24.2cm shorter and weigh 0.1kg to 18.9kg less than the South Korean peer.The difference in height has a tendency to increase in adolesc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