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erspectives of Futuristic Sustainable Eco-city Inspired by Nature

        Lee, Cheolho(이철호)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Living organisms have implemented optimal functions for survival in the 3.8 billion years of evolution. Animals and plants have already their optimized structure for survival. As shown in termites or honeybees, it is widely known that they build the most optimized residential space for their survival. The urban architectures as a future residential space should be a `closed system` which can play its roles independently. In other words, each building is capable of producing food, generating energy, and treating wastes self-sufficiently, and has the network system to connect with other independent buildings organically. The architecture inspired by nature puts coexistence with nature in top priority. In nature, the mechanism which can make requirements for the futuristic sustainable eco-city come true already exists universally. That is the reason why futuristic urban architecture should be associated with biomimicry. Biomimetic architecture is able to not only provides aesthetic factors, but present a creative and new paradigm for human permanence. The convergence already begins, and is expected to be expanded to the diverse areas.

      • KCI등재

        2020 여름 섬진강 대홍수시 하안식생과 수리 특성의 상호관계

        이철호(Cheolho Lee),이건학(Keonhak Lee),김휘래(Hwirae Kim),백동해(Donghae Baek),김원(Won Kim),김대현(Daehyun Kim),이현재(Hyunjae Lee),우효섭(Hyoseop Woo),조강현(Kang-Hyun Cho) 응용생태공학회 2021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8 No.2

        하천의 하안 생태계에서 식생, 수문 및 지형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하다. 이들 중 하나의 요인의 작은 변화가 다른 두 요인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여름 극심한 홍수로 큰 피해를 입은 섬진강의 선정된 조사지 (가정 2 개 및 하한 2 개)에서 이러한 아이디어를 평가하였다. 특히 원격탐사, 수리 모의, 현장 조사를 결합하여 대홍수시 하안식생과 수리 특성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섬진강 조사구간에 위치한 예성교 수위관측소 (영점표고 EL. 27.4 m)에서의 수위는 2020년 8월에 극심한 강우에 의하여 표고 43.1 m까지 상승하였다. 최대 홍수위에서 가정과 하한 조사지의 전단응력은 가정보다 하한에서 4 배 더 높았다. 또한 하안식생이 없을 조건보다 식생이 있는 경우에 대홍수시 수위가 수위가 지점에 따라 최대 1m 정도 상승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조사구간 두 곳 모두에서 대홍수에 의하여 식생 분포면적의 78-80%가 나지로 바뀌면서 광범위한 생물학적 피해를 입었다. 상수리나무와 수고가 낮은 버드나무에 비하여 수고가 높은 버드나무류가 심한 피해를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하안식물종이 극심한 홍수에 대해 동일한 취약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교란에 대해 동일한 종류의 피드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안식생의 수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동시에 의도하지 않게 야기할 수 있는 홍수위험을 최소화하기위한 하천관리 계획이 요청된다. Because active interactions occur among vegetation, hydrology, and geomorphology in riparian systems, any changes in one of these factors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other two.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se interactions at four sites (two in Gajeong and two in Hahan) along the Seomjin-gang River that was substantially devastated by an extreme flood in 2020.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parian vegetation and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flood using remote sensing, hydraulic modeling, and field surveys combined.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floods caused a record-breaking rise of up to 43.1 m above sea level at the Yeseong-bridge stage gauge station (zero elevation 27.4 m) located between the Gajeong and Hahan sites, with the shear stress being four times higher in Hahan than in Gajeong. Additionally, the water level during the flood was estimated to be a maximum of 1 m higher depending on the location in the presence of riparian plants. Furthermore, both sites underwent extensive biological damage due to the flood, with 78-80% loss in vegetation, with preferential damage observed in large willow species, compared to Quercus acutissima. The above findings imply that all plant species exhibit different vulnerabilities towards extreme floods and do not induce similar behavior towards events causing a disturbance. In conclusion, we developed strategies for effectively managing riparian trees by minimizing flood hazards that could inevitably cause damage.

      • KCI등재

        비 자율적 노드 위치 결정을 통한 DHT 네트워크 ID 매핑 공격 방지

        이철호(Cheolho Lee),최경희(Kyunghee Choi),정기현(Kihyun Chung),김종명(Jongmyung Kim),윤영태(Youngtae Yu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3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3 No.4

        Kademlia와 같은 DHT(Distributed Hash Table) 네트워크는 참여노드들이 네트워크 토폴로지 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악용한 ID 매핑 공격에 매우 취약하다. 그 결과 DHT 네트워크에서는 eclipse, DRDoS, 봇넷 은닉통신 등의 보안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D 매핑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비 자율적 노드 위치 결정 방법을 제안하고 NAT 호환성, 공격 저항성, 네트워크 다양성의 세 가지 측면의 분석을 통해 타 방어기법들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제안된 방법은 타 방어기법과 동등한 수준의 공격 저항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타 방어기법이 갖는 단점인 NAT 호환성과 네트워크 다양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DHT(Distributed Hash Table) networks such as Kademlia are vulnerable to the ID mapping attack caused by the voluntary DHT mapping structure where the location of a node is solely determined by itself on the network topology. This causes security problems such as eclipse, DRDoS and botnet C&C on DHT networks. To prevent ID mapping attacks, we propose a non-voluntary DHT mapping scheme and perform analysis on NAT compatibility, attack resistance, and network dynamicity. Analysis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may have an equivalent level of attack resistance comparing with other defense mechanisms and overcome their limitations including NAT compatibility and network dynamicity.

      • KCI등재후보

        고령화 사회와 간병범죄

        이철호(CheolHo Lee) 한국민간경비학회 2016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5 No.1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의 단편소설《변신》은 가족 이야기라 할 수 있다.《변신》이라는 작품을 통해 카프카가 보여주는 무서운 진실은 세상에서 가장 순수하고 아름다운 사랑, 곧 가족간의 사랑조차경제적인 관계에 토대를 두고 있다는 통찰이다. 우리 사회의 가정에서는 일어나서는 안되는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다.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살인 등의 범죄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료기술의 진전은 대한민국이 전세계적으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1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이 11.4%이며,향후 고령화 속도가 더욱 빨라져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고령화사회는 기대수명의 연장이라는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치매환자의 증가로 치매환자 등의 간병으로 인한 ‘간병 살인’, ‘간병 자살’ 등의 가족간 범죄가 발생하는 부정적인 부분이 있다. 간병살인이나 간병자살 등 간병범죄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식물인간 아들을 25년 돌본 아버지, 아내 병 수발 26년 들던 노인이 극단적 선택을 했다는 소식이 잇따랐다. 얼마 전엔 아이돌 스타 아버지가 치매 앓던 부모와 함께 세상을 등졌다. '간병 살인'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다. 본고에서는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간병범죄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연구로서 법사회학적 방법으로 고찰한다.간병범죄에 대한 사회적 대응방안으로 첫째, 간병가족의 자살 및 살인사건 현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둘째, 간병 문제를 개인의 문제, 한 가족의 문제로 접근해서는 해결할 수 없고,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시범 실시되고 있는 포괄간호서비스제도에 대한 확대가 필요하다. 아울러 ‘생명보험전매제도(lifesettlement)’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The Metamorphosis (Die Verwandlung), a short novel written by FranzKafka is a story about a family. The scary truth that Kafka revealed through The Metamorphosis is an insight that even the purest and beautiful form of love, that is, love of family members is based on economic relations. Some awful cases that should not happen have occurred in a home of our society. Crimes including homicide have occurred targeting family members. We can read news articles ‘very frequently’ about children abusing their parents, and in worst cases, killing them, or vice versa. Owing to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and advanced medical technology,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rapidest population aging.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UN, when population aged 65 and over take more than 7% of the gross population, the society is defined to have population aging. Due to rapid decrease in birth rate and improvement in medical technology and quality of life, average life expectancy is extended and as a result, population aging emerged. As for Korea, population aged 65 and over take 11.4%. It is anticipated that population aging speeds up further, which leads to‘ultra-aging society’ in 2026.Population aging has negative aspects including family crime such as‘caregiving homicide’, care giving suicide’ due to caregiving for patients with dementia or in vegetative state who are unable to move, while it has a positive aspect of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Care giving crimes such ascaregiving homicide or caregiving suicide emerge as a serious social problem. We have heard news about a father who had taken care of his son for 25 years or an elderly man who had cared for his ill wife for 26 years did executed the drastic option one after another. A few months ago, the father of an idol star committed suicide with his grandparents suffering from dementia. The term of 'caregiving homicide' is no longer strange to us.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study of caregiving crime which has been a social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sociology of law.

      • KCI등재

        Fractals as a New Analysis Tool for the Diagnosis of Human Diseases

        Lee, Cheolho(이철호)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0 No.-

        The self-similarity and recursiveness, characteristics of fractal, can be said to be the basic principle of life phenomena which can be defined as organizing the order or pattern internally by exchanging energy with external environment. A bio-organism is a chaos itself where the self-similarity of the microstructure and the amorphous fractal of the macrostructure are mixed. The structural difference are discussed at micro and macroscopic level. Self-similarity of subcellular organisms such as virus, viroid and prion is also discussed. The hierarchical structures of biomacromolecules such as DNA, RNA and protein are also reviewed. Extensive researches on the diagnosis and prevention of diseases by fractal dimension analysis are carried out. Some cases of fractal dimension analysis related to human disease such as Parkinson’s disease, Alzheimer’s dementia, heart failure, and cancer, etc are discussed. Cases of fractal dimension analysis related to apoptosis are also discussed. Whether information about morphogenesis of a bio-organism is included in the genome or not is in controversy up to now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information about morphogenesis is very complex and seems to have limitations in analyzing complete patterns by existing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s. Fractal dimension analysis is, based on recent researches, considered to be useful enough to complement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s as a quantitative analysis tool for various life phenomena including human disease diagnosis in post genome era.

      • KCI등재

        과학과 예술의 교차점에 있는 나노아트에 대한 연구

        이철호(Lee, Cheolho),홍성엽(Hong, Sungyeap)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예술의 새로운 분야로서 인식되고 있는 나노 아트는 과학과 예술의 교차점에 있다. 나노 아트의 작품은 나노 공간의 풍경이나 조형물들이 예술가의 미학적인 창조 과정을 거쳐 일반인의 눈으로 볼 수 있는 크기로 확대된 창조물이다. 본 논문의 주요한 내용은 다음의 순서로 기술되었다. 첫째, 나노 아트의 개념의 내용으로서 나노 아트 이미지의 생성 방법과 종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나노 아트의 이미지들은 나노 공간의 물체들을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들을 예술가들의 창조적인 작업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그 종류로는 도식도 (schematics), 공상(fantasy), 미술(fine art), 혼성체(hybrid)들이 있다. 둘째, 나노 아트를 이해하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나노기술과 전자 현미경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나노 기술은 2000년 미국 대통령인 클린톤의 국가나노기술구상(NNI: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으로부터 시작하여 짧은 기간 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발전된 나노 기술의 결과로서 나노 크기의 조형물들의 제작이 가능하였으며,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나노 공간에 대한 촬영이 가능하였다. 셋째, 나노 아트 갤러리들의 현 상황을 검토하였다. 나노 아트 전시회인 NANO, 예술로서의 과학, 그리고 NanoArt 21에 특징과 그 작품들에 대한 기술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나노 아트는 과학과 예술의 융합형 분야이며, 과학자와 예술인들의 나노 기술에 대한 가치관을 발표하는 방법이며, 또한 나노 아트는 나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인 발전을 할 것이다. Nanoart which is recognized as a new discipline of art is perceived at the intersection of art and science. A work of nanoart is a creative product to be magnified to see with human’s naked eye through aesthetic processes about nanolandscapes or nanosculpture in nanospace by artists.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ly, the producing methods and classification of the image of nanoart in the parts of the concept of nanoart are described. The images of nanoart are obtained by creative work by artist with pictured images of the objects in nanospace by electron microscopes. The image’s of nanoart are classified as schematic art, fantasy art, fine art, and hybrid art. Secondly, the general aspect of nanotechnology and electron microscope is described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nanoart. Nanotechnology was ignited the development from NNI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by U.S.A. president Clinton at 2000. Nanotechnology influenced a lot society even though it is very short period of the technology’s day. The manufacturing and the photographing of the nano-sized objects in nanospace are possible by the result of developed nanotechnology. Thirdly, the current situation of nanoart gallery is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works are discussed in NANO, Science as art, and NanoArt 21 which are representative exhibitions in the area of nanoart. In conclusion, nanoart is a crossover discipline of science and art, a method to express the creator’s values for the nanotechnology, and will be advanced with the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 KCI등재

        경비업법 개정(안)의 문제점과 개정 방안에 관한 연구

        이철호(Lee, cheolho),김명재(Kim, meongdae) 한국민간경비학회 2008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2 No.-

        Private Security is an individual, party and commercial company that do service related Security and safety to a client as mush as reward from people to protect private profit or life and property from many hazard. Private Security began to daielop as complement or atternation way socially settle doon for suit of safety desire of citizen and police power replation based on social crime and society apprehension, Especially mordern society that added society apprehension trend increase of depend on Private Security that protect individual safety by private inclusively society security and regularity keeping. A point as demand sufficiency for private investigation of people that national authority such as police can not sufficient and when consider that foreign private inverstigation business come into our country, it is time that positively induce regalization of private investigation business system. Security business law amendment which represent suggestion by Lee, ingi congress man, even if people need fact relationship investigation, because owing to the limitation specialty and time, people can not investigate, to national authority expert private inverstigator leave these and protect privacy violation and contrive business propriety and can know coming out the menaning of relation regalization to bring up healthily private investigation business. The recognition of our soclety member for private investigate system accept necessity and still do negative appraisal with specialty defficiency of private investigator and temperament. But to resolve this specialty defficiency of private investigator and temperament, private investigation field must positive disposition, simultaneously induct expert quality system which is national certificate. And, to bring up excellent private investigators, must establish 4 years college school course and back up education. 민간경비(Private Security)란 여러 가지 위해로부터 개인의 이익이나 생명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특정한 의뢰자에게 경비 및 안전에 관련된 서비스를 사람들로부터 받은 보수만큼 행하는 개인 및 단체 그리고 영리기업을 말한다. 민간경비는 사회범죄와 사회불안 요인에 근거하여 시민의 안위욕구에 대한 부응과 경찰력의 보완 또는 대체방법으로서 사회적으로 정착하며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사회불안요인이 가중되어 나타나는 현대사회에서는 포괄적인 사회치안 및 질서유지를 담당하는 경찰력보다는 사적(私的)인 계약관계에 의해 개인의 안전이 보호되는 민간경비에 대한 의존현상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경찰을 비롯한 국가공권력이 충족시길 수 없는 국민들의 민간조사에 대한 수요충족이라고 하는 관점과 외국계 민간조사업계의 국내 진출 등을 고려할 때 민간조사업 제도의 도입 입법화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때라고 본다. 이인기 의원이 대표발의한 경비업법 개정안은 국민들이 사실관계 조사가 필요하더라도 전문성과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한계 등 본인들이 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일들을 국가자격을 취득한 전문가인 민간조사관에게 사실 조사서비스를 맡겨서 사생활 침해도 방지하고 영업의 적정성도 도모하고 민간조사업을 건전하게 육성시키기 위해서는 관련입법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민간조사제도에 대한 우리 사회구성원의 인식은 민간조사제도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민간조사원의 전문성 결여와 자질 문제를 들며 아직도 부정적 평가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민간조사인력의 전문성 결여와 자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간조사 분야를 양성화함과 동시에 국가가 공인하는 전문자격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본다. 아울러 우수한 민간조사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4년제 대학교 단위의 관련학과 설치 및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KCI등재

        2020년 여름 섬진강 대홍수 이후 하천 수목 분포에 대한 공간 점 패턴 분석

        이건학(Keonhak Lee),조은숙(Eunsuk Cho),조종훈(Jonghun Cho),이철호(Cheolho Lee),김휘래(Hwirae Kim),백동해(Donghae Baek),김원(Won Kim),조강현(Kang-Hyun Cho),김대현(Daehyun Kim) 응용생태공학회 2022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9 No.2

        2020년 여름, 한반도 남부를 강타한 대홍수는 섬진강 하천 생태계를 크게 교란시켰다. 홍수의 피해를 입은 하천 수목 중 일부는 고사하였고, 또 다른 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느 정도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 홍수 후 새로 자라난 수목도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란된 하천 생태계가 회복하는 과정을 서로 다른 특성의 수목 간 공간적 인접성을 통해 설명하였다. 공간 점 패턴 분석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결과, 새로 발생한 수목과 홍수 이전부터 존재하였던 수목은 서로 공간적으로 군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보다 세밀한 분석을 통해 새로 발생한 수목은 기존 수목 중 회복한 수목보다 회복되지 않은 수목과 더 강하게 군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를 통해 촉진적 (facilitative) 상호작용 속에 가려진 경쟁적(competitive) 상호작용을 포착할 수 있었다. 기존 수목에 의한 서식처 개선 효과는 새로 발생한 수목의 생장에 긍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나, “살아 있는” 기존 수목은 새로 발생한 수목과 한정된 자원을 두고 경쟁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결과는 전지구적인 기후변화의 맥락 속에서 국내 하천 생태계가 마주할 강하고 빈번한 자연적 교란에 대비할 새로운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학계에서는 환경 요인을 설명 변수로 하는 생태 모델링이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수목 개체들 간 상대적 위치관계로 대표될 수 있는 개체 간 상호작용 역시 생태계 변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The 2020 summer extreme flood severely disturbed the riparian ecosystem of the Seomjin River. Some trees were killed by the flood impact, whereas others have recovered through epicormic regeneration after the disturbance. At the same time, several tree individuals newly germinated. This research aimed to explain the recovery of the riparian ecosystem by spatial proximity between each tree individual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dead”, “recovered”, and “newly germinated”. A spatial point pattern analysis based on K and g-functions revealed that the newly germinated trees and the existing trees were distributed in the spatially clumping patterns. However, further detailed analysis revealed that the new trees were statistically less attracted to the recovered trees than the dead trees, implying competitive interactions hidden in the facilitative interactions. Habitat amelioration by the existing trees positively affected the growth of the new trees, while “living” existing trees were competing with the new trees for resourc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new knowledge in this era of rapid climate change, which likely induces stronger and more frequent natural disturbance than before. Environmental factors have been widely used for ecosystem modeling, but species interactions, represented by the relative spatial distribution of plant individuals, are also valuable factors explaining ecosystem dynam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