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품외식업계의 협업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이채은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2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collaboration in the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and the collaboration craze that has blown in the distribution and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targeting the MZ generation continu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big data analysis utilizing text mining to confirm consumers' perceptions of collaboration in the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To this end, keywords related to collaboration in the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were collected through Textom on portal sites such as Naver, Daum, and Google. The collection period of this study was set from January 2020 to June 2021, and unnecessary keywords were refined among 11,821 data. Through Textom, 80 major keywords frequently mentioned in the data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data's high keyword frequency and TF-IDF. In the top 80 keywords, ‘unique collaboration’,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brand’, ‘launch’, ‘product’, ‘marketing’, ‘goods’, ‘diversity’, ‘consumer’, ‘generation’ were included.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using UCINET 6 and NetDraw, seven clusters were formed, such as ‘collaborative products’, ‘collaborative marketing’, ‘collaboration craze’, ‘expansion of food service industry’, ‘utilization of dining out’, ‘franchise field’,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onsumers’ perceptions and issues of collaborations in the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were identified. Moreover, it is expected to present meaningful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when developing collaboratively in the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in the future. 최근 식품외식업계는 협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MZ세대를 겨냥해 유통과 식품외식업계에불었던 협업 열풍이 계속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외식업계의 협업에 대한 소비자의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 다음, 구글등 포털 사이트 등에서 텍스톰을 통해 식품외식업계의 협업에 관련한 키워드를 수집했다. 본 연구의 수집기간은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로 정하여 11,821개의 데이터 중 불필요한 키워드를 정제하는 과정을 거쳤다. 텍스톰을 통해 데이터 상위 키워드 빈도, TF-IDF 분석으로 데이터 내에서 많이 언급된 주요 키워드 80개를 도출하였다. 상위 80개의 키워드에는 ‘이색협업’, ‘식품외식업계’, ‘브랜드’, ‘출시’, ‘상품’, ‘마케팅’, ‘제품’, ‘다양’, ‘소비자’, ‘세대’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UCINET 6 및 NetDraw를 사용하여 CONCOR 분석을실시한 결과 ‘협업 상품’, ‘협업 마케팅’, ‘협업 열풍’, ‘외식업 확대’, ‘외식 활용’, ‘프랜차이즈 분야’, ‘협업개발’ 의 7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분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외식업계의 협업에 대한 소비자 인식, 이슈 등을 파악하였고, 향후 식품외식업계에서 협업 개발을 할 때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있어 의미 있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외식기업의 ESG경영에 관한 연구

        이채은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3 호텔경영학연구 Vol.32 No.2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big data by using text mining, to examine consumers’ perceptions of ESG management of food service corporations and social issues about it. Keywords regarding food service companies’ ESG management were collected, from portal sites such as Naver, Daum, Google, etc. A total of 15,651 keywords were extracted and a total of 80 keywords were selected at higher ranks, except for unnecessary ones. Analyses of consumers’ perceptions of food service companies’ ESG management by using UCINET 6 and NetDraw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degree centrality was highest for ‘food service industry’, followed by ‘global’, ‘business’, ‘activity’, ‘support’, ‘society’, ‘environment’, ‘Korea’, etc. Second, the eigenvector was highest for ‘global’, followed by ‘activity’, ‘food service industry’, ‘USA’, ‘chairman’, ‘business’, ‘Korea’, ‘group’, etc. Finally, the CONC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how that keyword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ESG management trend’, ‘non-financial attention’, ‘interest in restaurants’, ‘MSCI assessment’, ‘extension of franchises’ and ‘global activity’. Based on the findings, consumers’ perceptions of food service corporations’ ESG management and issues about it were understoo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food service corporations, by providing basic data about food service corporations’ ESG management. 본 연구는 외식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사회적 이슈를 확인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시행했다. 외식기업의 ESG경영에 관련한 키워드는 네이버, 다음, 구글등 포털 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였고, 텍스톰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총 15,651개의 키워드가 도출되었고, 불필요한 키워드는 정리하여 상위 총 80개의 키워드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외식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UCINET 6 및 NetDraw를 사용하여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 결과 ‘외식업체’, ‘글로벌’, ‘사업’, ‘활동’, ‘지원’, ‘사회’, ‘환경’, ‘한국’ 등의 순으로 중심도가 높았다. 둘째, 위세 중심성은 ‘글로벌’, ‘활동’, ‘외식업체’, ‘미국’, ‘회장’, ‘사업’, ‘한국’, ‘그룹’ 등의 순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CONCOR 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ESG경영 트렌드’, ‘비재무주목’, ‘외식업체 관심’, ‘MSCI 평가’, ‘프랜차이즈 확대’, ‘글로벌 활동’ 등으로 6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외식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이슈 등을 파악하였고, 향후 외식기업의 ESG경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외식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조선 후기 문학과 회화 속 ‘여협(女俠)’ 형상과 그 의미

        이채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4

        This study explored how Women's chivalry[女俠]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embodied in literature and painting with men as the main group, and examined thei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 yearning for Women's chivalry was a cultural phenomenon among 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Ahn Seok-kyung's ‘The Sword Girl[劍女]’ and Im mae's ‘The female chivalrous[女俠]’, the main characters of the women's chivalry were prominent, and at the same time, they were painted repeatedly by Yoon Doo-seo, Lee Jae-kwan, Kim Hong-do, and Baek Eun-bae. Literature describing Women's chivalry represent women's bodies practicing chivalrous in time, with women's male attire, revenge, and polishing processes revealed in grammar, but paintings are fantastically captured with women's aesthetic bodies lightly flying in the air. This means that while women's chivalry is woven in a way that resonates with the actual women's association of the time and acquires sufficient ideological justification and probability in literature, while painting is freely created from it in a fantastic direction. This difference when the same theme of Women's chivalry is embodied in literature and painting, and two art genres clearly stems from the qualities of the two media. In common in literature and painting, the existence of female chivalry exist as objects of men's gaze, but such gaze is expressed in a more starkly different direction depending on the medium. In addition, in both literature and painting, the swords were appeared as the main weapon. The women's chivalry and the swords have the similarity, because both of them can recognizing the owner's true value, and only can be worked for their owners. therefore it is in line with the nature of the women's chivalry who collaborate for male owners. 이 연구는 조선 후기 여성 협객 인물이 남성들을 주 향유층으로 하는 문학과 회화에서 각각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며, 그 공통점과 차이점에 관해 짚어본 것이다. 여협(女俠)에 대한 동경은 조선 후기 남성들 사이에서의 하나의 문화적 현상이었다. 안석경의 <검녀>나 임매의 <여협>과 같은 한문 단편 뿐 아니라 <구운몽>과 같은 소설 속에서도 여협적 기질을 지닌 주인공들의 활약이 두드러졌고, 비슷한 시기에 이러한 여협 인물은 윤두서, 이재관, 김홍도, 백은배 등에 의해 회화로도 그려졌다. 그러나 문학과 회화에서의 여협은 형상화 방식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여협 문학은 여성의 남장, 복수, 검술의 연마과정 등이 문법화되어 드러나며 협행을 실천하는 여성의 몸을 시간 속에서 기록하지만 회화는 그러한 서사적 문법이 삭제된 채 공중에 사뿐히 날아오르는 여성의 미학적인 몸을 환상적으로 포착한다. 이는 여협 문학이 당대 실제 여성 협객들이 활동한 사건과 공명하며 이념적 명분과 개연성을 충분히 획득하는 방향으로 직조되는 반면 여협 회화는 그것으로부터 자유롭게 환상적인 방향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런가 하면 문학과 회화 모두 여성 협객의 존재와 협행을 남성들의 응시를 통해 그려낸다는 점에서는 공통되며, 또한 두 매체 모두 ‘도검’을 주 무기로 활용하는 여성들을 등장시킨다는 특징을 공유한다. 이러한 사실은 ‘도검’이 그 주인의 진가를 알아보는 자질을 갖추고 있다고 여겨져 당대 문인 남성들에게 특별히 애호되었다는 점과 연관된다. 특히 문학 작품 속의 주인공 여협들은 주변적 인물인 남성들과 서로 존재의 가치를 알아봐주고 인정하는 관계를 맺고 있다. 본고의 작업은 크게는 조선 후기 문학과 회화의 상호매체적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구체적으로 여협 문학과 여협 회화의 관계성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여협 예술’을 향유하던 남성들이 지닌 다양한 욕망들-여성들에 대한 이중적 시선과 인정욕망까지-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사랑가’ 대목의 현대적 각색 양상과 그 의미 - 2000년대 이후 대중음악 작품을 중심으로-

        이채은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5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s and types of Pansori “Sarang-ga(Love Song)” in Chunhyang-ga adaptation into popular music works since the 2000s, and what adaptation could mean. The adaptation of Pansori “Love Song”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based on the response of the adaptation to the original story world. First, there was a type of adaptation that elicited dependent changes to the existing story world through “retelling.” Second, there was a type that extended the existing story world while “revising” the original and ezamining it reflectively. Lastly, there was a type of creation of an alternative narrative that deviated from the existing story world by “expansion” of the original. All three types are “repeated and not reproduced” in terms of the original. There is a power struggle between traditional norms, cultural ideologies, and symbols, and the desire to create new things by raising or dismantling problems. This also occurs while the audience appreciates the work while exchanging or comparing the original and the adaptation. In the dual perception of having to perceive the original and the adaptation at the same time, Pansori’s popular music adaptation provieds novelty in familiarity as a recombinant tradition and reinterprets classics in a way that meets the expectations and needs of the modern public as a present-day past. In addition, listeners who do not have extensive knowledge of Pansori can enjoy interactive play and enjoy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Pansori elements used in music. The tradition that the public takes over through the popular musical adaptation of Pansori may be an imaginary element that has been selected and recombined and created, that is, a recombined tradition from the current viewpoint. However, the positive side can be found in that today’s pop music audiences independently accept the contents of traditional Pansori and attract them into their lives and savor them. On the other hand, the adaptations that preserve Pansori have the potential to induce reactions and curiosity about Pansori and make it more prosperous. As such, the popular music adaptation of Pansori exhibits a multi-layered orientation and three-dimensionality as much as the adaptation of video content or narrative that has been widely dealt with in academia. Considering that popular music has a strong influence on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the popular music adaptation of Pansori and analyze it from a delicate perspective. 이 글에서는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 대목이 2000년대 이후 한국 대중음악 작품으로 각색된 사례와 그 유형을 살펴보며, 판소리의 대중음악적 각색이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사랑가’의 대중음악적 각색은, 원본이 되는 스토리세계에 대해 각색물이 보여주는 반응을 기준으로 세 유형으로구분할 수 있었다. 먼저 원본을 ‘다시 말하기(retelling)’를 통해 기존의 스토리세계에 종속적인 변화를 도출하는 각색의 유형이 있었고, 두 번째는 원본을 ‘개정(revision)’하면서 기존의 스토리세계를 연장시키고 또 그것을 반성적으로 바라보며 논평하는 유형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원본을 ‘확장(expansion)’하여 기존의 스토리세계에서 벗어난 대안적 서사를 창작한 유형이 있었다. 이 세 유형의 각색 모두 원본에 대한 ‘복제 아닌 반복’이다. 그 속에는 전통적규범과 문화적 이데올로기와 상징을 보존하고 지켜내려는 지향과, 그것에 문제를 제기하거나 해체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지향 간의 권력다툼이존재한다. 이것은 수용자들이 원본과 각색본을 오가거나 비교하면서 작품을감상하는 동안에도 일어나는 일이다. 원본과 각색본을 동시에 지각해야만 하는이중적 인식 속에서 판소리의 대중음악적 각색은 재조합된 전통으로서 친숙함속 기발함을 주고, 현재화된 과거로서 현대사회 대중들의 기대와 요구에 맞는방식으로 고전을 재해석하게 만들어준다. 또 원본이 되는 판소리에 대해 해박한지식이 없는 청자들도 음악 속에 활용된 판소리적 요소들을 찾아나가는 과정그 자체를 통해 상호작용적 유희를 즐기며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판소리의 대중음악적 각색을 통해 대중들이 간취하게 되는 전통이란 취사선택되며 재조합되고 만들어진 ‘상상의 것’, 다시 말해 현재의 관점에서 재조합된전통일 수 있다는 점은 한계로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동시에 오늘날의 대중음악 수용자들은 전통 판소리의 내용을 주체적으로 수용하며 자신들의 삶 속으로끌여들어 재음미하기도 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일면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런한편 판소리를 덜 보존하고 있는 각색들이 오히려 판소리에 대한 반응과 궁금증을 이끌어내며 그것을 더 번성하게끔 하는 잠재력을 지녔다는 점 역시 확인할 수가 있었다. 이처럼 판소리의 대중음악적 각색은 이제까지 학계에서 많이 다루어져 온영상콘텐츠 또는 서사물로의 각색만큼이나 다층적인 지향과 입체성을 보여준다. 대중음악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막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생각해 볼 때, 앞으로도 판소리의 대중음악적 각색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갖고 그것을 섬세한 시각으로 분석하는 일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해외여행 관광객의 소비성향이 여행 상품속성 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채은 대한관광경영학회 2009 觀光硏究 Vol.24 No.2

        본 연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해진 관광객들의 소비욕구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해외여행 관광객들이 여행상품을 선택할 때, 관광객들이 가지고 있는 각기 다른 소비성향이 해외여행 속성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해외여행 관광객의 소비성향과 여행 상품속성 선택의 회귀분석의 경우의 세부가설 검정결과를 살펴보면, 교통ㆍ숙박시설의 경우에는 과시소비성향, 충동구매성향, 타인의식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고, 여행서비스의 경우에는 계획구매성향, 과시소비성향, 타인의식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쇼핑의 경우에는 과시소비성향과 타인의식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고, 관광매력물의 경우에는 계획구매성향과 자원절약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리고 식사의 경우에는 계획구매성향과 자원절약과 타인의식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오락의 경우에는 계획구매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different consumption propensities of tourists affect the selection of overseas travel attributes when they select travel products, focusing on changes in the desire for consumption of consumers,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s for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nsumption propensity of overseas tourists and the selection of travel product attributes, the test results of detailed hypotheses are shown as follows: As regards transportation ?accommodation facilities, a conspicuous consumption propensity, a impulsive consumption propensity, and a social-awareness propensity were significantly affective. As for travel service, a planned purchase propensity, a conspicuous consumption propensity, and a social-awareness propensity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With regard to shopping, a conspicuous consumption and a social-awareness propensity were significantly affective, and concerning tourist attractions, a planned purchase propensity and a resources saving propens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Also, regarding meals, a planned purchase propensity, a resources saving propensity and a social-awareness propensity were significantly affective, and regarding entertainment, a planned purchase propensity was significantly influential.

      • KCI등재

        식용곤충식품 현황과 패키지 디자인 현황에 관한 조사 연구

        이채은,최인규,백진경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5

        As a way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accelerating global warming,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is paying attention to edible insects. However, consumption of edible insects is still not increasing.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revitalize the consumption of edible insect food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s future food we will conduct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edible insect food in Ko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package design of domestic and foreign edible insect food, and based on this, we will derive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package design of edible insect food.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study was described. Information on edible insect food, such as the rise of the edible insect food industry and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type of edible insect food was described.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edible insect food and the food package design were described. An analysis of the package design of 14 highly recognizable edible insect foods was conducted, and the strategy to simplify and minimize insect images that cause rejection was given priority. In addition, it was investigated as a way to approach consumers on the official sites of representative edible insect foods abroad. Thir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 design plan was proposed to revitalize the domestic edible insect food industry, which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s a product.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rejection of edible insect food through design as a medium and to meet consumers' needs for choosing edible insect food such as "health interest aspect" and "environmental value consumption aspect." 지구온난화의 가속화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해줄 방안으로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는 식용곤충을 주목하고있다. 그러나 식용곤충에 대한 소비는 쉽사리 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래먹거리로주목받고 있는 식용곤충식품의 소비 활성화를 위해, 국내의 식용곤충식품 현황과 국내외 식용곤충식품의 패키지 디자인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식용곤충식품 소비 활성화를 위해 패키지디자인 개선 방향을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배경으로 식용곤충식품 산업이 부상하게 된 계기와 식용곤충식품의 정의 및 분류 유형 등식용곤충식품에 대한 정보를 기술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식용곤충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하였다. 둘째, 식용곤충식품 현황과 식품 패키지디자인에 대해 기술하였다. 인지도가 높은 식용곤충식품 14종의패키지디자인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거부감을일으키는 곤충이미지를 단순화 및 최소화하는 전략이우선 시 됨을 기술하였다. 또한 국외의 대표적 식용곤충식품의 공식 웹 사이트들에서 소비자들에게 접근하는 방안을 조사 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상품으로서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국내 식용곤충식품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디자인방안을 제안하였다. 디자인을 매개체로 식용곤충식품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는 방안과 ‘건강 관심적 측면’과 ‘환경적 가치 소비 측면’ 등 소비자들의 식용곤충식품을 선택하는 니즈에 맞춘 접근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