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채은,편재훈,이우훈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현대인들은 매일 디지털 매체를 통해 실재하지 않는 텍스트와 그래픽들을 가볍게 소비한다. 우리는 디지털 텍스트의 홍수 속에서 자신이 보고 듣고 하는 말의 무게와 진정성에 대해 되돌아보기를 제안한다. DOTS 는 디지털 텍스트를 피지컬 픽셀로 출력하여, 텍스트 자체의 존재적 무게감을 표현하는 피지컬 픽셀 디스플레이이다. DOTS 의 픽셀로 사용된 쇠구슬은 고유의 묵직한 재질감을 가진다. 관람객이 디지털로 전송한 텍스트를 실재화하고 파괴하기를 반복한다. 관람객은 스스로 만들어낸 텍스트가 DOTS 안에서 순환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그간 당연하게 써왔던 디지털 텍스트의 존재감을 확인한다. 텍스트가 출력될 때의 강한 기계적인 청각적 자극은 관람객이 피지컬라이즈(Physicalize) 된 텍스트에 기대감을 가지게 한다. 또한, 쇠구슬의 정돈되고 차분한 움직임은 텍스트의 무게감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우리는 DOTS 가 관람객에게 전하는 다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관람객들은 일상 속에서 자신이 흘려보내는 무수한 디지털 텍스트에 대하여 되짚어 볼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이채은,전상훈 한국융합보안학회 2024 융합보안 논문지 Vol.24 No.4
웹 환경이 급속히 확장되면서 사용자들은 다양한 웹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인터넷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도용하는 등의 피싱 수법이 발생하고 있다.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보안 기술을 충분히 알고 적용해야 하며 이를 위해 안전한 인증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HMAC, RSA와 같은 토큰 서명 알고리즘 중 HS256과 RS256을 사용한 웹 페이지 보안을 비교 분석한다. HS256 알고리즘은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대칭 키를 관리하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 RS256은 공개키와 개인키를 사용하여 더 높은 보안성을 제공하지만, 키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키 생성 및 암호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한다. 무차별 대입 공격에 대한 두 알고리즘의 보안 성능을 비교한 결과, RS256이 HS256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웹 보안을 위해 토큰 서명 알고리즘의 처리 성능과 보안 성능을 고려한 적절한 선택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 연구가 웹 보안을 강화하고 사용자 인증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알고리즘 선택에 중요한 지침이 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rapid expansion of the web environment, users are using various web services. As Internet users increase, phishing techniques such as stealing user IDs and passwords are occurring. In order to provide a safe environment, security technologies must be fully known and applied, and a secure authentication method is required for thi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web page security using token signing algorithms such as HMAC and RSA, specifically HS256 and RS256. The HS256 algorithm is fast and efficient but has difficulties in managing symmetric keys. In contrast, RS256 uses a public and private key, offering higher security, although longer key lengths increase the time required for key generation and encryption. Evaluation of the security performance of the two algorithms against brute force attacks show that RS256 is relatively safer than HS256.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need for an appropriate selection of token signing algorithms, considering both processing performance and security performance, to ensure web security. We hope this study will be an important guideline for selecting algorithms to enhance web security and protect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환상과 현실의 담화적 착종과 그 효과-<심청가> 노정기를 중심으로-
이채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2 고전과 해석 Vol.38 No.-
많은 판소리 작품 속에서 눈대목으로 꼽히는 장면 중 하나가 바로 노정기(路程記)이다. 판소리 속 노정기는 등장인물이 길을 떠나 이동하는 체험을 전경화한 대목을 통칭한다. <춘향가>, <흥보가>, <심청가>, <수궁가>, <변강쇠가>, <배비장전> 등에서 모두 노정기 대목이 등장한다. 그간 판소리 노정기는 주로 등장인물이 이동하는 여로가 실제 현실 속 여로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의 문제에 큰 관심을 두고 연구되어 왔다. 그 결과 대체로 노정기는 지리적인 사실에 바탕한 현실적 여로와 중국의 문학적 전통에 기반한 환상적 여로의 양극화된 두 층위를 담아내고 있다고 여겨졌는데, 이 관점에서는 환상성과 현실성이 섞일 수 없는 두 대립항 같이 여겨진다. 그러나 텍스트의 현실성 또는 환상성은 사건이나 소재 측면에서 빚어지는 것이기도 하지만 작중인물이 어떤 사건을 목도하거나 경험할 때의 주관적인 태도와 심리로부터 빚어지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노정기 속에 자리한 현실성과 환상성을 서로 대립되는 자질로만 볼 것만이 아니라, 그것이 함께 혼종되고 교직되어 상호 관련을 맺는 측면에도 또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노정기 속 작중 인물이 지나오는 장소가 현실적인 공간인가 아닌가의 문제에 천착하기보다는 작중인물이 자신이 이동하는 공간들을 어떻게 인식하며, 그 때 어떤 심리적 태도를 가지는지에 관심을 두고, ‘노정 체험’에 대한 작중인물의 주관적 지각이 어떠한 담화의 형식으로 드러나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연구 결과 <심청가>의 노정기의 담화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첫째, 현실적이고 사적인 공간담화와 집단적이고 문화적인 공간 담화가 교차되고, 둘째, 반구상적 표현들로 인해 현실적 사건과 상황조차도 환상적으로 인지된다. 셋째, 과장적이고 우연적인 언술을 사용하면서도 그에 대한 논리적 해석과 평가를 위한 담화가 동반된다. 이러한 담화 속에서 작중인물의 노정 체험은 실재와 가상, 사적 경험과 공적 기억, 현실과 환상이 교차되고 또 착종되어 뒤범벅된 채 드러나게 된다. 이러한 담화로 인해 판소리 노정기는 그 독자 또는 청중들로 하여금 단순한 실제 세계의 반영이나 소박한 미메시스로 한정하기 어려운 리얼리티를 형성하게끔 한다. 수용자들이 판소리 노정기를 감상하는 과정에는 그것이 사실(의 반영)이냐 허구이냐를 가리는 것, 즉 양단의 진위로 그 가치를 판정하는 인지 도식이 유효하지 않다. 현실과 환상의 착종적 담화를 통해 수용자들은 서사세계 내로 심리적 동화와 이화를 교차적으로 경험하고, 정서적 긴장과 이완을 반복한다. 그리고 사건의 순차적 진행과 그로 인한 시간성보다는 언술들이 결합하는 공간성에 주목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환상에 대한 현실적 해석, 현실에 대한 환상적 인지를 드러낸 담화는 앞으로의 일을 예견하거나 암시하는데, 이를 통해 수용자들은 서사적 사전제시를 통해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보조받기도 한다. 이 모든 과정에서 환상과 현실의 담화적 착종은 현실세계를 소박하게 반영한(reflective) 차원을 넘어서 수용자들에게 텍스트에 대한 반성적(reflexive) 사색의 기회를 열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해외여행 관광객의 소비성향이 여행 상품속성 선택에 미치는 영향
이채은 대한관광경영학회 2009 관광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해진 관광객들의 소비욕구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해외여행 관광객들이 여행상품을 선택할 때, 관광객들이 가지고 있는 각기 다른 소비성향이 해외여행 속성선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해외여행 관광객의 소비성향과 여행 상품속성 선택의 회귀분석의 경우의 세부가설 검정결과를 살펴보면, 교통ㆍ숙박시설의 경우에는 과시소비성향, 충동구매성향, 타인의식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고, 여행서비스의 경우에는 계획구매성향, 과시소비성향, 타인의식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다. 쇼핑의 경우에는 과시소비성향과 타인의식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고, 관광매력물의 경우에는 계획구매성향과 자원절약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났다. 그리고 식사의 경우에는 계획구매성향과 자원절약과 타인의식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오락의 경우에는 계획구매성향이 유의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different consumption propensities of tourists affect the selection of overseas travel attributes when they select travel products, focusing on changes in the desire for consumption of consumers,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As for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onsumption propensity of overseas tourists and the selection of travel product attributes, the test results of detailed hypotheses are shown as follows: As regards transportation ?accommodation facilities, a conspicuous consumption propensity, a impulsive consumption propensity, and a social-awareness propensity were significantly affective. As for travel service, a planned purchase propensity, a conspicuous consumption propensity, and a social-awareness propensity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With regard to shopping, a conspicuous consumption and a social-awareness propensity were significantly affective, and concerning tourist attractions, a planned purchase propensity and a resources saving propens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Also, regarding meals, a planned purchase propensity, a resources saving propensity and a social-awareness propensity were significantly affective, and regarding entertainment, a planned purchase propensity was significantly influential.
이채은,Soo Hyun Choi,윤진숙 대한안과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34 No.3
Purpose: Chemokine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various autoimmune diseases, including Graves’ orbitopathy (GO), but comprehensive analyses of the dynamics of these cytokines and their receptors in such diseases remain lack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s of chemokines and their receptors during adipogenesis and inflammation in primary cultured orbital fibroblasts from patients with GO. Methods: The messenger RNA (mRNA) expression levels of chemokines were compared between GO (n = 6) and non-GO (n = 5) orbital tissues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fter adipogenesis was induced in primary cultured orbital fibroblasts from patients with GO (n =5) and following stimulation with interleukin (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chemokines and their receptors were analyzed. Results: Chemokine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GO orbital tissues compared to non-GO orbital tissues (p < 0.05). Adipogenesis resulted in a strong increase in mRNA expression levels of chemokines and their receptors at an early stage (day 1); however, expression levels started to decrease thereafter and, eventually, decreased to below basal levels at the end of adipogenesis (day 10). Following stimulation with IL-1β and TNF-α,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chemokines and their receptors increased, showing different responses to various proinflammatory cytokines. Conclusions: Chemokines were strongly upregulated in the early phase of adipogenesis before decreasing continuously until the end of adipogenesis. Also, overt mature GO tissues showed reduced mRNA expression of chemokines compared to controls, which might indicate the existence of a shorter window for effective medical inflammatory treatment. The heightened levels of chemokines and their receptors observed after stimulation with IL-1β and TNF-α suggest a crucial rol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pathogenesis of GO and, further, support the idea that chemokines could be used as biomarkers of GO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