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직업계고 진학 선택을 위한 경기도 직업계고 교원의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인식 조사

        이찬주(Chanjoo Lee),김대들(Daedeul K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직업계고 교원이 인식하는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수행 실태와 직업계고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 그리고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적절성과 어려움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설문지를 개발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경기도의 모든 직업계고(108교) 교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집된 778부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교원 중 직업계고에서 제공하는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을 수행한 응답자는 706(90.8%)명이며, 이러한 지원 활동이 직업계고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응답한 평균은 3.62로 나타났다.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신입생 확보에 도움이 되는 정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견학(실습실 투어 등)’ 3.99, ‘중학교 교실별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3.96, ‘우리 학교(직업계고)에 찾아오는 전공(학과) 체험 활동’ 3.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계고 교원은 현재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수행 난이도는 3.36으로 응답하였다.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업무 수행 난이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졸업생이 근무하는 산업체 견학’ 3.92, ‘중학교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 3.74, ‘중학교 교실별로 찾아가는 직업계고 학교 설명회’ 3.7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계고 교원은 현재 직업계고 제공 중학교 진로교육 지원 활동에 대한 업무 적절성 정도는 3.09로 응답하였다. 진로교육 지원 활동별 업무 적절성 정도가 높은 내용은 ‘우리 학교 견학(실습실 투어 등)’ 3.53, ‘우리 학교로 찾아오는 직업계고 진로 상담’ 3.49, ‘우리 학교(직업계고)에 찾아오는 전공(학과) 체험 활동’ 3.46, ‘우리 학교(직업계고)로 찾아오는 학교(학과) 설명회’ 3.4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the degree of help to secure of vocational high school freshmen and task adequacy of assistance activity and level of difficulty perceived b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developed a survey questionnaire and distributed online to all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108 schools) in Gyeonggi-do, and analyzed 778 sheets collect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performance (frequency of response)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by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as 90.8% (706 respondents). as for the level of usefulness of assistant activity for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for attracting freshme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plied as 3.62. ‘Visiting our school (Laboratory tour etc.)’ 3.99 placed first in the level of usefulness of assistance activities,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 classrooms’ 3.96, ‘Major (department) experience activity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94. etc. appear. Second,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the job performance difficulty for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currently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was 3.36. The highest degree of task difficulty among assistance activities was ‘Visiting companies where graduates of our school work’ 3.92 topped the list of the level of task performance of assistance activities,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s’ 3.74, ‘Vocational high school presentation visiting middle school classrooms’ 3.73. etc. appear. Thir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swered 3.09 as to the level of task adequacy for the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support activities currently provided. The highest level of task adequacy among assistance activities was ‘Visiting our school (Laboratory tour etc.)’ 3.53, followed by ‘Vocational high school career counseling visiting our school’ 3.49, ‘Major (department) experience activity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46, ‘School (department) presentation visiting our school (vocational high school)’ 3.46. etc. appear.

      • KCI등재

        내성천의 수문, 하도 형태, 경관 및 식생 특성에 관한 장기모니터링 자료 (Ⅰ)

        이찬주(Chanjoo Lee),김동구(Dong Gu Kim),지운(Un Ji),김지성(Jisung Kim) 응용생태공학회 2019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6 No.1

        내성천은 경북 북부지역을 흐르는 모래하천으로 계절적 변동이 큰 수문학적 특성에 반응하여 발달하는 모래 하상의 역동성과 이른바 ‘화이트 리버’라고 하는 경관상 고유성으로 대표되는 하천이다. 하지만 2010년부터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2015년 전후로 식생이 광범위하게 활착하는 등 하천 변화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하천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기후, 수문,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하천 변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함이다. 분석 결과, 2015년에 1982년 다음으로 적은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여름철 첨두유량은 50년래 최저를 기록하였다. 내성천의 유사량 특성은 상하류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댐 건설과 무관하게 내성천의 연 최저수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간헐적 가뭄과 수질의 변화가 하천 식생의 활착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이에 따른 물리적 변화가 하도 및 식생 활착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하천 변화의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하천 식생 변화와 연계한 다각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Naeseong Stream is a sand-bed river that flows through the northern area of Gyeongbuk province. It is characterized by dynamic sandy bedform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seasonal hydrological fluctuation and by its unique riverine landscape called “white river.” However, changes including construction of Yeongju Dam from 2010 and the extensive vegetation establishment around 2015 occurred along the Naeseong Stream. This paper aims to analyze climate, hydrology, and water quality as factors an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channel changes accordingly. The second least precipitation during the last 60 years happened in 2015, which led to the lowest peak discharge in 50 years. The sediment characteristics of Naeseong Strea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long the upstream and downstream reaches, but it was confirmed that annual minimum water level of the stream decreased continuously regardless of the dam construction. This suggests that intermittent drought and change in water quality are likely to provide favorable conditions for riparian vegetation establishment and the resulting physical changes have affected riverbed degrad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diversified monitoring in connection with river vegetation change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of river changes.

      • KCI등재후보

        영주댐 운영 전 내성천에서 하도 형태의 단기 변화

        이찬주(Chanjoo Lee),김동구(Donggu Kim) 응용생태공학회 2017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ol.4 No.1

        내성천은 산지를 사행하는 모래하천으로 오랫동안 그 하천지형학적 특성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최근 식생의 활착으로 종래의 경관을 상실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성천 장기조사 연구의 일환으로 내성천의 56.8 km 구간을 대상으로 지난 2012 - 2016년 기간에 발생한 지형변화를 분석하였다. 항공 라이다 및 하천측량이 시행되었고 수문자료와 현장 조사자료가 함께 활용되었다. 주요 4개 지점중에서 만곡부 지점에서는 만곡사주가 확장되었고, 직선구간에서는 하중 사주가 발달하였다. 한 두 번의 유사 퇴적으로 인해 발생한 하중 사주의 고도 변화는 0.6 - 1.4 m에 달하였으나 하상저하는 분명하지 않았다. 이러한 변화는 2014 - 2015년의 갈수기에 식생이 크게 활착하였다가 2016년에 홍수로 인해 퇴적이 일어난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정은 이전에 내성천중하류 구간에 형성되어 있는 하중도의 주된 형성과정으로 판단된다. The Naeseong Stream is a meandering sand-bed stream flowing through mountains and has so long maintained its geomorphological uniqueness characterized by extensive braided bare bars. Recently, its long-lasting landscape has been changed due to encroachment of vegetation. In this study being a part of long-term monitoring research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56.8 km long study reach of the Naeseong Stream, which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2012 - 2016 were analyzed. Airborne LiDAR and terrestrial cross-section surveys were carried out. Hydrological and on-site investigation data were also collected. Among the main four sites, two bend reaches showed point bars enlarged, while along the other two straight reaches mid-channel bars were either newly formed or increased in area and height. At the highest deposition point of each bar, vertical changes which were caused by one or two times of sediment deposition amounted to 0.6 - 1.4 m. On the contrary channel bed degradation was not obvious. Overall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study reach were attributed to deposition of sediment which occurred during the flood in July 2016 on the bar surfaces vegetated during the precedent dry seasons. These kind of geomorphological processes are thought to be the same as those related to the existing mid-channel islands along the mid- and downstream reach of the Naeseong Stream.

      • 3차원 전기력선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한 변압기 절연안전율 평가

        이찬주(Chanjoo Lee),석복렬(Bok-Yeol Seok),김동해(Dong-Hae Kim)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변압기의 절연안전율은 전기력선 추적과정을 거쳐 전기력선의 길이와 그 경로에서의 평균전계를 계산하여 산출하는데, 변압기 제조사의 대부분은 2차원 전계해석을 기반으로 한 자체 절연안전율 평가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변압기 내부 리드부 등 다수의 구조에서는 3차원 전계해석과 함께 3차원 공간에서의 전기력선 추적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상 한 위치에서 전계의 크기와 방향을 계산한 후 그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떨어진 다음 위치를 구하는 방식의 3차원 전기력선 추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절연안전율을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알고리즘은 VBS(Visual Basic Script)로 코딩하여 일반 상용 전자계해석 프로그램인 Maxwell과 연동되도록 구현하였다.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축대청 구조인 고압권선과 저압권선 간에서의 절연안전율을 기존의 2차원 프로그램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3차원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계와 전기력선 길이는 최대 4% 이내, 절연안전율은 약 1% 차이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3차원 절연안전율 평가 프로그램은 변압기 내부의 대표적인 3차원 구조인 부싱-하우정, 리드-철심 등의 절연안전율 분석에 적용되었다.

      • KCI등재

        복합 PP(Polypropylene)로 제작된 제방 내부 설치 차수벽의 효과성 검증 실험

        이찬주(Chanjoo Lee),안성기(Seonggi An),강우철(Woo-Chul Kang),임재은(Jae-Eun Lim)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2

        여름철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가 자주 발생하는 우리나라의 근본적 치수 대책은 제방 축조이다. 하천에 설치되는 제방은 침투에 의한 파이핑 취약성 등의 문제로 하상토 대신 양질토를 재료로 사용이 권장되거나 하상토를 사용한 제방은 차수층이나 불투수성 코어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충분한 양질토의 확보가 쉽지가 않으며 시공 현장까지의 조달이 어렵기 때문에 경제성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상토를 사용한 제방 축조의 경제성 및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복합 PP 소재의 차수판을 제방 내부 설치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차수벽이 설치된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린 제체 내 수위 상승이 나타났으며, 침윤선의 거동 또한 억제되었다. 뿐만 아니라 실험 종료 시까지 열화 및 파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복합 PP 차수벽을 설치할 경우 양질토 첨가 없이도 제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Korea, levees are the fundamental countermeasure for floods caused by torrential rain in summer. In levee construction, loam is recommended instead of bed sediments because of problems like soil piping. A levee constructed with bed sediment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 water barrier or an impervious core whereas the difficulty in procuring and transporting loam to the construction site creates an economic iss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nstalling a barrier wall made of a polypropylene compound inside a levee. The wall helps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levee using bed sediments and can make levee construction economically feasible. When the water barrier was installed, a relatively slow increase in the water level was observed, and the behavior of the infiltrating line was also suppressed. In addition, there was no degradation or destruction till the end of the experiment. From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composite polypropylene water barrier will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embankment without the need to add quality so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