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혁본 <鱉兎傳>의 인물 형상화와 작가에 관한 고찰

        이진오(Lee, Jin-O)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본 연구는 ≪토끼전≫의 한문본 중 이혁본 <鱉兎傳>을 대상으로 작품세계와 개작의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이혁본 <鱉兎傳>의 원본은 전남대학교 이혁 교수가 소장했던 필사본이었는데, 김기동 교수가 교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유인본(油印本)으로 편집한 것이라고 한다. 현재는 원본은 확인할 수 없고, 유인본의 복사본만이 전해지고 있다. 이혁본 <鱉兎傳>은 기존의 ≪토끼전≫을 토대로 개작한 작품으로, 일반적인 ≪토끼전≫의 서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용왕은 군주로서의 자질과 권위를 상실한 통치자로, 별주부는 본분과 예법을 중시하는 사대부로, 토끼는 처사지도의 삶을 추구하는 사대부로 그려낸다는 특징을 보인다. 즉, 이 작품은 조선시대 사대부 중심의 세계관을 반영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혁본 <鱉兎傳>은 ≪토끼전≫의 경판본과 세책본 계열의 화소를 차용하여 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두 계열과의 관계로 미루어 볼 때, 이 작품의 개작 시기는 1880년대 이후로 추정된다. 이 작품의 작가는 등장인물의 의인화에 있어서 주로 사대부가의 인물로 묘사하는 데에 주력하였고, 안빈낙도를 내적인 주제로 삼았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혁본 <鱉兎傳>의 작가는 이혁의 증조부인 이최선으로 비정할 수 있었는데, 첫째, 이최선이 신재효의 스승이었다는 점, 둘째, 그의 집안이 담양 지역의 재지사족이라는 점, 셋째, 과거시험에 낙방하여 고향에 은둔하였다는 이력이 있다는 점, 넷째, 경판본이나 세책본을 입수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다섯째, 작품의 개작 추정 시기와 말년의 은둔 시기가 겹친다는 점을 근거로 삼을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zation method and meaning of creation in Lee Hyuk"s Tokkijeon(written in Chinese letters). The original copy of Lee Hyuk"s Tokkijeon was a manuscript by Professor Lee Hyuk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ich was printed on an oil-printing copy to be used by Professor Kim Ki-dong as a textbook. Currently, the original cannot be confirmed. Only a copy of the handout is available. Lee Hyuk"s Tokkijeon is a work created based on the existing Tokkijeon, and the narrative structure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general Tokkijeon. However, The dragon king is described as having lost his authority as a monarch, and the Byeoljubu, characterized as rabbits, are described as a ruling class who regard manners as important during the Joseon. In other words, Lee Hyuk"s Tokkijeon shows the worldview of the ruling class that l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e Hyuk"s Tokkijeon seems to have been created by utilizing Tokkijeon"s Seoul block-printed novel version and Tokkijeon"s A Novel for Lending version. In the relationship Tokkijeon"s versions, the creation period of Lee Hyuk"s Tokkijeon warfare is estimated to be the 1880s. The writer of this novel described animals as the dominant class of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with the theme of the work that reflects the emotions of the ruling class of the Joseon Dynasty living in the provinces. The author of Lee Hyuk"s Tokkijeon is presumed to be Lee Hyuk"s great-grandfather Lee Choi-sun. This is because Lee Choi-sun was a teacher of Shin Jae-hyo, a master of Pansori, and his family was the dominant group of the Joseon. In addition, he failed the past examination and his reclusive period coincides with the creation time of Lee Hyuk"s Tokkijeon.

      • KCI등재

        동아시아에서 인어에 대한 인식 층위와 인어설화의 변화 : 중국과 한국의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이진오(Lee Jin-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논문은 동아시아에서 인어에 관한 인식의 층위와 우리나라에서 인어설화의 탄생 배경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그간 우리나라의 인어는 대개 중국 문헌의 기록을 근거로 동아시아의 전통에서 성립된 것으로 논의되었다. 현재 인어는 긴 머리에 아름다운 여성의 상반신을 가진 반인반어의 존재로 인식되는데, 이를 단순히 동아시아에서 인식되고 전승되었던 존재들과 연결 짓기에는 적지 않은 간극들이 발견된다. 그간 인어에 대한 논의들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진 존재들은 『산해경』의 인어, 당송시대의 교인, 명청시대의 해인어 등이었다. 이러한 존재들이 현재의 인어 이미지와 인어설화로 전승되어온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애초 『산해경』의 인어는 주로 황하강을 중심으로 내륙지역의 강이나 하천에 서식하는 동물을 의미했다. 이 동물은 다리가 달렸으며 어린아이 울음소리를 낼 수 있다고 하였는데, 그 생김새나 생태를 보아 도롱뇽과 같은 양서류를 관찰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교인은 주로 당송시대의 기록에서 부각되었던 존재였는데, 중국의 남쪽에 거주하면서 눈물로 진주를 만들고, 비단을 짜는 존재로 묘사되었다. 실상 교인은 희귀한 유리구슬을 생산하고 인도의 면화를 중개무역했던 동남아시아인들에 대한 기록이었다. 당송시대 중국인들은 동남아시아에서 새롭고 진귀한 유리구슬의 생산하고, 면화의 무역을 담당했던 이들을 교인이라 인식했던 것이다. 한편 명청대의 문인들은 해인어, 해녀, 부인어에 주목하였는데, 이들이 기록한 것은 해양 포유류로, 특히 암컷의 경우 새끼에게 젖을 물릴 수 있으며, 사람과 같은 신체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사람과 교접이 가능한 존재로 인식되었다. 중국 문헌을 통해 볼 때, 상반신이 여성의 형상을 갖는 반인반어의 인어의 등장은 해양 포유류의 목격담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후기에 이르러 사물의 본질을 궁구하는 학문적 풍토가 마련되면서 해양 포유류에 관한 구체적인 기록들이 생산된다. 이옥의 『백운필』, 정약전과 이청의 『자산어보』 , 서유구의 『전어지』 등에서는 서남해의 옥붕어, 상광어 등을 인어로 인식하였으며, 유몽인의 『어우야담』, 이익의 『성호사설』에서는 동해의 가지어 등을 인어로 인식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인어로 인식되었던 해양 포유류는 한반도 근해에 서식하는 점박이물범, 상괭이, 강치 등으로 추정되는데, 이러한 동물의 목격담을 통해 여성의 형상을 갖는 반인반어의 인어가 이미지화 되었고, 이렇게 얻어진 인어의 이미지는 인어설화에도 반영되었다. 결론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아름다운 여성의 상반신을 갖는 반인반어의 인어 탄생은 해양 포유류의 목격담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어의 탄생은 서양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은데, 중세 유럽에서는 매너티, 듀공 등의 목격담을 통해 인어의 이미지를 만들어냈으며, 이를 토대로 근대에 이르러 아름다운 여성의 상반신을 가진 반인반어의 인어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layer of Seiren in East Asia and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Seirenes Legend in Korea. In the meantime, Korean Seirenes have been discussed as being established in East Asian traditions based on Chinese records. However the Seiren is recognized as having a long hair and a beautiful upper body of a woman. There i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connecting it with those recognized and passed down in East Asia. The main subjects of the existing Seiren discussions were the Seirenes of the Sanhaegyeong(山海經), Kyo-in(鮫人 ) of the Tang-Song(唐宋) era and the HaeIneo(海人魚) of the Ming-Qing(明淸) era. These beings have been understood to have been passed down to the image of the current Seiren and the Seirenes Legend. The Seiren of the Sanhaegyeong meant animals that live in rivers or rivers in the inland area mainly in the Yellow River. The animal has legs and can make a child cry, which can be said to be a record of observing amphibians such as salamanders by looking at their appearance and ecology. Kyo-in(鮫人) was mainly recorded in the Tang-Song period, and was described as a tearful pearl making and weaving silk while living in the South of China. In fact, the Kyo-in was a record of Southeast Asians who produced glass beads in Southeast Asia and traded cotton in India. The Chinese of the Tang-Song era recognized those who produced new and rare glass beads in Southeast Asia and were responsible for the trade of cotton as members. On the other hand, people in the Ming-Qing era paid attention to the Haeineo (海人魚), Haenyeo(海女), Buineo(婦人魚 ), what they recorded was marine mammals. Especially females, who could be wet to their young and were recognized as being able to interact with people because they had the same physical structure as humans. In Chinese records, the appearance of Seirenes with the shape of women in the upper body can be sai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ightings of marine mammals. In Korea, as the study of observing the essence of things is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rine mammals begin to be recorded in detail. In the case of Lee Ok’s Baekunpil(白雲筆), Jeong Yak-jeon and Lee Cheong s Jasaneobo(兹山鱼譜 ), and Seo Yu-gu’s JeonEoji(佃渔志), the Okboongeo(玉朋魚) and Sanggwang(尙光魚) fish of the West Sea and the South Sea were recognized as Seirenes. And in the Yoo Mong-in’s Eouyadam(於于野談 ) and Lee Ik’ Seonghosaseol (星湖僿說), the GaJieo(嘉支魚) of the East Sea was recognized as Seirenes. Marine mammals, which were recognized as Seirenes in Korea, were Spotted seals, Finless porpoises, and Northern sea lions inhabiting the Korean sea. Through the sightings of these animals, Seirenes in the shape of women were imaged, and the images of Seirenes obtained were reflected in Seirenes Legend. However, after the mid-19th century the images of Seirenes, which emphasize the beautiful and mysterious woman rather than the animal attributes, were introduced through Europeans. And with the introduction of Andersen fairy tales and Copenhagen mermaids are the legend of Korean Seirenes has also changed, and more feminine Seirenes(mermaids) introduced in Europe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new myth of Geomundo. And the existing carp legend was adapted as a Seiren legend or newly made into a Seiren legen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삶의 사실성과 의사소통적 이성

        이진오(Lee Jin-oh)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2 No.-

        야스퍼스는 사실성의 양상들을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첫째, 경험적이고 강제력 있는(zwingende) 사실성. 이것은 지식의 대상이 된다. 둘째, 경험적 사실성의 경계선을 이루는 개별적 인간 실존의 현전하는 생생한 사실성. 셋째, 절대적이고 초월적인 사실성. 그리고 야스퍼스에게 있어서 인간의존재는 크게 다음과 같은 차원들을 지닌다. 첫째, 구체적 시공간을 차지하는 현존(Dasein)의 차원. 둘째, 칸트적 지성(Verstand) 개념에 상응하는 의식일반(Bewußtsein überhaupt). 셋째, 역사와 문화 등 의미의 영역을 전개하는 정신(Geist). 넷째 각자 자기 존재인 실존. 인간은 이러한 여러 존재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간존재의 여러 의미 영역들이 모여 인간의 온전함(das Ganze)을 구성한다. 온전하게 되고자 하는 실존적 사유가 지향하는 사실성은 사실성의 모든 단계들을 포괄하는 사실성이며 이를 우리는 “삶의 사실성(Lebenswirklichkeit)”이라고 표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우리는 “삶의 사실성”이라는 표현을 현사실적이고 실천적인 인간이 그의 전체성에 있어서 만나게 되는 사실성의 모든 양상들을 포괄하는 사실성 개념으로 사용해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삶의 사실성이라는 차원은 지식의 대상인 경험적이고 강제력 있는(zwingende) 사실성을 절대화하지 않는 사유방식에서만 이해될 수 있다. 이런 까닭에 삶의 사실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영역적 한계를 넘어서려는 사유태도가 요구된다. 넘어섬의 관점에 서게 될 때 부분적 국면들을 절대화하려는 시도의 위험성이 뚜렷해진다. 온전함을 향한 실존적 사유가 전개하는 넘어섬의 사유는 주-객-분열(Subjekt-Objekt-Spaltung)을 관통해 나아가며 총체성을 향해 움직이기 때문이다. 학문이란 그 의미와 수행방식 등을 역사적이고 구체적인 인간의 삶 속에서 획득한다는 사실을 야스퍼스는 강조한다. 이와 동시에 그는 의식 일반(Bewußtsein überhaupt)에 의해 학문이 수행되기에 자연과학을 포함한 학문을 출발시키는 기본적 사유 틀은 상이한 문화적 배경들에도 불구하고 보편적인 것일 수 있다고 말한다. 나아가 야스퍼스는 사실성의 내용들이 더 이상 자명하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강제력을 잃을 때나, 서로 다양하고 이질적이며 대립적인 “믿음의 진리들(Glaubenswahrheiten)”이 더 이상의 의사소통도 불가능하게 보이게 할때라도 이성이 지닌 “논리적 공동성(logische Gemeinsamkeit)”이 “전달가능성을 위한 틀”을 확보해 줄 수 있다고 말한다. 인류역사에서 발견되는 인간이성의 이러한 통일성(Einheit)은 학문적 지식처럼 객관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징이나 암호의 형태를 띠고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운동성 속에서도 통일성을 지니고 작용하는 의사소통적 이성에 의해 서로 다른 존재영역 중 어느 하나가 절대화되거나 간과되지 않으면서 온전함(하나의 전체)으로서 열릴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수행하는 인간 존재의 성격이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 인간의 존재 자체가 전체 존재의 온전함을 지향하는 의사소통으로서 존재한다는 사실이 보다 분명히 밝혀져야 하는 것이다. 인간은 사유하고 인식하는 자인한 그의 존재 자체가 전달 즉 의사소통적이다. 또한 이런 인간에게 있어서 진리란 하나의 완결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은 의사소통으로서 존재하다가 의사소통을 통해 사실성(Wirklichkeit)을 얻는다. 야스퍼스에 있어서 의사소통이란 의식 일반이 획득한 지식의 세계에나 지성적 차원의 사실성에서만 가능한 것이 아니다. 이념적이거나 실존적이고 초월적인 진리나 사실성에서도 제 각각 고유한 타당성 양상을 지닌 채가능하다. 즉, 비대상적 존재의 차원도 비록 일상에서는 경험과학적 지식들처럼 “모든 이들”에게 주관적으로나 객관적으로 충분한 확실성을 지닌채 통용되지는 않지만 그 나름 고유한 타당성 양상을 띠고 타자에게 전달(Mitteilung)가능하며, 나아가 무조건적 타당성을 지닐 수도 있는 것이다.

      • 분산자원의 배전계통 연계 기준 현황 및 스마트인버터 계통지원기능 시험에 대한 연구

        이진오(Jin-Oh Lee),유형준(Hyeong-Jun Yoo),김철우(Chul-Woo Kim),조창희(Changhee Cho)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탄소중립으로 나아가려는 국내외 산업 트렌드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도입량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인버터를 통해 배전망에 연계되는 분산자원의 형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산재되어있는 분산자원들의 출력은 간헐적인 특성으로 인해 전체 전력망의 안정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한 분산자원의 계통 연계기준, 다양한 계통지원 기능을 갖춘 스마트인버터, 그리고 각 기능들에 대한 시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 KCI등재후보

        실존현상학적 철학상담과 슈퍼비전 - 이혼위기에 놓인 부부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이진오 ( Jin-oh Lee ),권려원 ( Reon-won Kwon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7 철학 실천과 상담 Vol.7 No.-

        이 글은 이혼위기에 놓인 부부사례를 중심으로 한 철학상담의 임상실습 과정을 소개하고, 그에 따른 실존현상학적 철학상담과 슈퍼비전의 특징 및 강점, 한계점 등을 논한 것이다. 실존현상학적인 연구는 실존의 의미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만약 실존을 인간에게 고유한 존재방식들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경우, 실존현상학은 개시성, 퇴락, 불안, 세계-내-존재, 시간성, 한계상황, 자유, 선택, 의미, 부조리, 탈-존 등 인간존재를 구성하는 다양한 계기들을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탐구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실존을 완성되어야할 존재로서의 ‘가능적 실존’이나 ‘본래성(자기다움)’으로 국한해서 이해할 경우에 실존현상학은 각자 개인이 그것을 위해 무엇을 하고 있는지 현상학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된다. 물론 이 두 방향의 연구는 두 방향의 성격을 모두 지닌 한 인간 안에서 서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필자는 이 두 가지 실존의 의미를 다 포괄하여 ‘실존현상학’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것이다. 이 글에 소개된 철학상담 사례는 실존현상학적인 관점에서 구성되고 수행된 것이다. 이 보고서에 등장하는 여성 내담자는 심각한 알콜 의존증과 의부증 증세를 보였다. 이 여성의 남편은 이 문제로 철학상담을 받고 싶어 했다. 실제 상담은 수련생이 맡았고, 상담은 주로 남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수련감독은 상담계획을 짜고, 그때그때 수행된 상담을 평가한 후 지침을 주는 데 집중했다. 또 수련감독은 최대한 선입관을 배제하고 내담자들의 상황과 문제를 보도록 수련생을 지도하였다. 내담자들 역시 선입관과 편견 없이 자기 자신과 상대방을 이해할 수 있는 철학적인 질문들을 중심으로 상담 내용이 구성됐다. 이때 질문들은 실존현상학에서 강조하는 각자의 시간의식과 공간의식을 검토하고, 보편적인 규범과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내담자의 자신의 입장을 탐색해 볼 수 있게 꾸몄다. 이 글을 통해서 독자들이 1) 수련자와 수련감독의 관계, 2)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방법론의 특징 및 한계, 3) 내담자들의 철학에 대한 태도와 소양의 변화, 4) 철학상담 슈퍼비전의 특징과 강점 및 한계, 5) 철학상담의 과제와 전망 등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으면 좋겠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clinical practice of philosophical counseling centered on married couples in crisis, and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philosophy counseling and supervision. Existencephenomenological research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according to the meaning of existence. If we consider existence as the whole of the existential modes inherent in human beings, Existencephenomenology explores various phenomena that constitute human existence such as Open being, degeneration, anxiety, in -the world-being, temporality, limit situation, freedom, choice and so on from various phenomenological points of view. However, if the existence is limited to 'possible existence' or 'originality (selfness)' as a being to be completed, Existencephenomenology is a phenomenological exploration of what each individual is doing for it. Of course, the study of these two directions can not but be linked to each other in a person who has both of the two-directional personality. Therefore, I will use the expression "Existencephenomenology" to encompass both of these meanings.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case presented in this article is composed and performed from the existencephenomenological perspective. Women in this report showed severe alcohol dependence and delusion of infidelity, This woman's husband wanted to get philosophical counseling on this issue. Practical counseling was conducted by trainees, and counseling was conducted mainly on husbands. The supervisor focused on giving counseling plans, evaluating counseling then giving instructions. The supervisor instructed also the trainees to observe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clients without prejudice. The clients were also made up of philosophical questions that allowed them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ir opponents without prejudice. At this time, the questions were examined to examine their own time consciousness and space consciousness emphasized in existencephenomenology to critically examine universal norms and values, and to explore the client's own position. I hope that readers can think about the following points in this article. 1)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tioners and trainee supervisors; 2)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dentity and methodology; 3) the attitudes and attitudes of the clients to philosophy; and 4) the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supervisions. 5) Issues and prospect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 KCI등재후보

        날씨 기반 신체활동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이진오(Jin Oh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0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날씨(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운량, 강수량 등)변인을 통해 신체활동지수를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신체활동량을 예측하는 것이 적합한지 확인하는 데 있다. 참여자로는 서울시 서대문구, 은평구, 송파구, 강북구, 강남구 등에서 관할하고 있는 노인복지관에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60대 여성 노인 200명(나이: 64.7±2.3, 신장: 156.1±3.5, 체중: 57.8±2.4, BMI: 23.8±1.4)을 선정하였고, 일별로 이들의 365일간 평균 보행수를 측정(Omron HJ-106, Japan)하였다. 날씨변인은 한국기상청(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에서 제공하는 2007년 1월 1일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의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운량, 강수량 등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날씨정보와 보행수에 대한 자료는 신체활동지수를 개발하기위해 요인분석을 통해 날씨를 대표하는 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일강수량, 평균운량 5개 변인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요인추출방식으로는 Principal Axis Factor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때 요인 수는 1로 고정하였고, Regression 방식을 이용하여 요인점수(factor score)를 산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요인점수를 신체활동 지수로 활용이 가능하다. 5개의 날씨요인들을 통해 산출된 요인점수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365일 동안 수집된 노인여성의 일일 평균보행수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이 적합하다는 결과(p=.000)를 얻었다. 또한 365일 날씨변인에 의해 산출된 요인점수와 노인여성들의 365일간 평균보행수 간에는 정적상관(r=.369)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산출된 요인점수는 노인여성들의 신체활동량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데 적합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 노인이외의 대상을 통해서도 날씨변인을 활용해 지수를 산출한다면 신체 활동지수는 기상자료와 함께 홍보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오존량, 습도 등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기후변인을 추가한다면 좀 더 의미있는 신체활동지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weather-based index to predict physical activity, and to validate the Physical Activity Index by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nts` actual physical activity level and the index score. Methods: Participants were 200 healthy older women (age: 64.7±2.3 yrs., height: 156.1±3.5 cm, weight: 57.8±2.4 kg, BMI: 23.8±1.4 kg /m2) from five different Centers for the Welfare of the Aged in Seodaemun-gu, Eunpyeong-gu, Songpa-gu, Kangbuk-gu, and Kangnam-gu in Seoul, Korea. Their daily steps were counted and recorded for 365 consecutive days using Omron HJ-113 pedometer. Weather variables, including daily average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low temperature, cloudiness, and precipitation,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a one-year period, from January 1st through December 31st in 2007. Analysis/Results: First, the five weather variables were used to calculate the factor score, the Physical Activity Index. Principal Axis Factoring (the number of factors was fixed at one) and regression method were used to obtain factor scores. The factor scores were standardized, such that the distribution has a mean of zero and a standard deviation of one. To establish validity evidence,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steps averaged over the year period and the Physical Activity Index. Two hundred participants` step counts were averaged each day, and were compared to the factor score for that day. The participants` step cou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hysical Activity Index (r=.40), which supported correlational evidence of validity. Conclusions: Therefore, the Physical Activity Index can significantly predict physical activities of older women. Using meteorological data to develop the Physical Activity Index for other age groups could be beneficial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 better index could be obtained if more variables (e.g., daily ozone level and humidity) were included in the formation of factor scores. Because increase/decrease in temperature or weather variables do not always mean better/worse weather for participation for physical activities, further development of the Physical Activity Index is necessary.

      • KCI우수등재

        ≪토끼전≫에서 19세기 별주부의 등장에 대한 고찰

        이진오(Lee, Jin O)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79

        ≪토끼전≫은 다양한 작품명을 갖는다. 또한 토끼와 별주부 두 주인공의 비중에 따라 서사의 전개가 달리 진행된다. ≪토끼전≫에서 두 인물의 역할이 작품에서 어떠한 비중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이본(異本)의 성격이 좌우되기도 한다. ≪토끼전≫의 이본과 제명(題名)이 유달리 많은 것은 두 주인공의 비중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토끼전≫의 이본(異本) 중에서 별주부가 등장하지 않는 작품은 없다. 용왕의 신하로 토끼의 간을 구하러 육지를 오가는 인물은 12세기 중반 간행된 『삼국사기(三國史記)』 소재 <구토설화(龜兎說話)>에서부터 언급된다. 이후 16세기 권문해의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에서도 관련 설화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문헌설화에서 용왕의 신하는 판소리 수궁가와 소설본의 별주부가 아니라 거북이다. 따라서 별주부의 등장은 ≪토끼전≫이 판소리와 소설로 성장하는 데에 주요한 지표가 된다고 할 수 있다. ≪토끼전≫의 판소리와 소설에서 별주부의 등장 시점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로는 유한준의 <광한부(廣韓賦)>, 조재삼의 『송남잡지(松南雜識)』의 기록, 송만재의 <관우희(觀優戱)>, 이유원의 <중산군(中山君)>, 송사소설(訟事小說) <와사옥안(蛙蛇獄案)>의 삽화를 꼽을 수 있다. 이들 자료를 분석해보면, 19세기 중반에야 ≪토끼전≫에 본격적으로 별주부가 등장하였으며, 수궁의 서사 확대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19세기 별주부의 등장 배경을 작품 외적인 요인에서 찾아보면, 전등신화의 전래와 전등신화구해의 간행 그리고 저변 확대를 생각해볼 수 있다. 『전등신화』 <수궁경회록>에서 남해 광리왕, 별주부, 원참군, 적훈공 등의 인물은 ≪토끼전≫에 차용되었는데, 특히 남해 광리왕과 별주부는 19세기 무렵 ≪토끼전≫에서 수궁의 주요인물로 정착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조선시대 주부(主簿)라는 종6품의 관직은 왕의 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참상관(參上官)이면서, 말단의 당하관(堂下官)이었다. 주부는 외국 사신의 통역관, 의료, 빈민구제와 관련한 업무를 담당한 주무관이었으며, 조선후기 서민들을 가까이 접할 수 있는 혜민서(惠民署)와 같은 관청에서도 근무하였다. 조선시대 주부(主簿)는 그 관직이 갖는 역할과 속성 때문에 ≪토끼전≫에 좀 더 쉽게 수용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토끼전≫에서 별주부의 등장을 당연시 여긴 경향이 있다. 별주부는 19세기 ≪토끼전≫에 주인공으로 수용되면서 ≪토끼전≫의 수중인물과 수궁 서사의 확장에 파급력을 가져왔다. 본고에서는 그간 주목받지 않았던 별주부의 등장 배경을 검토하여, 별주부가 ≪토끼전≫에 정착한 과정을 명료하게 설명했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There are lots of titles for ‘Tokkijeon(The Story of a Rabbit)’.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two main characters, a rabbit and Byeoljubu(鱉主簿). It is not that ‘Tokkijeon’ develops with a single character, but that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a rabbit and Byeoljubu, the direction of the story becom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the two characters, the nature of different versions differs. The reason why there are two many different versions and titles for "Tokkijeon" is the weight of the two main characters. Among the different versions of ‘Tokkijeon’ there is not a version that does not include Byeoljubu. The servant of a underwater castle who go back and forth between land and sea in order to find a liver of a rabbit is found in 〈a tale of a turtle and a rabbit(龜兎說話)〉 in 『Samguk Sagi(三國史記)』 published in the middle of the 12th century. It is also mentioned in 『Daedongunboogunok(大東韻府群玉)』. However, in these literature tales the servant of the dragon king is not a turtle in Sugungga Pansori, but Byeoljubu. The appearance of Byeoljubu become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okkijeon’ establishes itself as a novel and Pansori. Among the 19th century data which indicate that Byeoljubu appears in a novel and Pansori, there are 〈Gwanghanbu(廣韓賦)〉 by Yoo Han Jun, 『Songnam magazine(松南雜識)』 by Jo Jae Sam, 〈Gwan Woo Hee(觀優戱)〉 by Song Man Jae, 〈Jungsangun(中山君)〉 by Lee Yoo Won, 〈Wasaokan(蛙蛇獄案)〉, a story about a suit. Analysis of these data shows that it was only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at Byeoljubu appeared in ‘Tokkijeon’ and the story of a underwater castle expanded with the appearance of Byeoljubu.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Byeoljubu was examined in the external aspects of the work. First, the main characters of ‘Tokkijeon’ are related with the passing-down of 『JeondungShinwha(剪燈新話)』 and publication of 『JeondungShinwha Commentary(剪燈新話句解)』. Characters of South sea king Gwangri, Byeoljubu, Wonchamgun(黿參軍), and Jeokhongong (赤勳公) in 『JeondungShinwha』 〈Sugunggyeonghoerok(水宮慶會錄)〉 are adopted in ‘Tokkijeon’. In particular, South sea king Gwangri and Byeoljubu were found to be established characters in ‘Tokkijeon’. However, that does not fully explain why Byeoljubu appears in ‘Tokkijeon’. The official position called ‘Jubu(主簿)’ of Joseon(朝鮮) era was a low-ranking official of the Jong 6th grade of Chamsanggwan(參上官) who were able to participate in meetings presided over by a king. Jubu(主簿) was an assistant director in charge of being an ambassador, interpreter, and medical official, and worked in an office like Hyeminsuh(惠民署) where they were able to see ordinary people closely of the late era of Joseon. Because of the nature and role of the position, Jubu(主簿), the acceptance of ‘Tokkijeon’ was made easy. Byeoljubu have had effects of expanding underwater characters and the development of underwater castle stories as it became the main character of ‘Tokkijeon’ in the 19th century. As the role of Byeoljubu is emphasized, a different version of ‘Tokkijeon’ where loyalty of Byeoljubu is emphasized. Up until now, the appearance of Byeoljubu have been taken for granted.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a Byeoljubu, which has been ignored, and clearly explained the processes of a Byeoljubu"s establishment as a main character.

      • KCI등재후보

        빈스방거, 보스, 프랑클의 정신의학과 현존재분석-철학상담치료 적용 연구-

        이진오 ( Lee Jin-oh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0 철학 실천과 상담 Vol.1 No.-

        현존재분석은 1, 2차 대전 후의 새로운 정신사적 분위기에서 발생한 것이다. 이 당시 특히 자연과학에 경도된 정신의학과 정신치료법에 대한 강한 비판이 있었다. 이런 배경에서 소위 “인간학적(anthropologische)” 정신의 학이 탄생한다. 인간학적 정신의학은 Binswanger, von Weizsäcker, Straus, von Gebsattel, Minkowski와 Kunz 등에 의해 창안된 것이다. 이들은 이미 1927년 이전부터 Scheler, Kierkegaard, Brentano, Dilthey, Natorp, Lipps, Bersong, Husserl 및 Heidgger에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소수이긴 하지만 이들 중에는 Jaspers와 Sartre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고, 몇몇 정신의학자들은 “실존적 정신분석”을 창안하기도 했다. 그 중 Frankl이 대표적이다. 이하에서 우리는 스위스의 정신의학자 Binswanger와 그의 제자 Boss 그리고 오스트리아 빈 출신의 실존철학 박사이자 정신과 의사인 Frankl 등에 있어서 현상학적 방법과 현존재 이해내지 실존해명이 정신의학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에는 Binswanger와 Boss의 시간-공간론과 Frankl의 의미(Logo)에 대한 의지론을 참조하여 필자가 불안의 문제를 실존현상학적으로 분석한 것을 본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철학이 인간의 정신적 고통을 해소하는 데 임상현장에서 어떤 실질적 힘이 있는지를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철학이 지닌 이런 임상적 가능성을 정신의학의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철학에서도 적극적으로 응용할 경우에 임상현장에서 철학상담의 존재이유를 분명히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Die Daseinsanalyse verdankt ihre Entstehung und Entwicklung den geistigen Erneurungen, die auf die beiden Weltkriege folgten. Im Bereich der Psychiatrie entstand in den zwanziger Jahren eine Bewegung, die teils durch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r Freudschen Psychoanalyse, teils durch ein wissenschaftliches Unbehagen über die traditionelle klinische Psychopathologie ausgelöst, nach einem neuen Grundlagenverständnis menschlicher Existenz und deren Störungen forschte. So entstand die “anthropologische” Psychiatrie, begründet durch mamhfte Forscher wie Binswanger, von Weizsäcker, Straus, von Gebsattel, Minkowski und Kunz, die bereits vor dem bedeutsamen Jahr 1927 sich an den Werken Schelers, Kierkegaard, Brentano, Dilthey, Natorp, Lipps, Bersong, Husserl und Heidgger orientierten. Weniger bedeutsam war wohl der Einfluß von Jaspers und Sartre. Unter denen gründete Frankl die Logotheraphie als eine existenzielle Psychoanalyse. In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werden die Daseinsanalyse bei Binswanger und Boss und die Logotheraphie bei Frankl zusammenfassend eingeführt. Danach versuche ich ihre Daseinsanalyse auf die Philosophische Praxis anzuwenden. Damit wird es darauf hinweisen, daß solche philsophische Anwendung der psychopathologieschen Daseinsanalyse auch in dem Bereich der philosophischen Beratung allgemein ihre Gültigkeit finden kann.

      • KCI우수등재

        철학상담 교과과정 연구

        이진오(Jin Oh Lee)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3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철학상담 교과과정에 포함될 특정과목이나 과목별 시수를 정하는 데 있지 않다. 과목과 시수 등이 확정되려면 철학상담을 이해하는 다양한 세부전공 연구자들과 철학상담 관련기관들의 협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고의 일차적 목표는 대학이나 학회가 강의와 연수 등의 형태로 철학상담 교과과정을 정할 때 지침이 될 수 있는 근본원칙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철학상담의 이념들을 검토해보고, 이를 방법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볼 것이다. 이념은 방법론을 규정하고, 근본원칙을 산출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형식적 지시’를 철학과 철학상담의 이념 및 방법론으로 제시할 것이며, 이 이념과 방법론에 의거하여 철학 상담 교과과정을 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원칙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것이다. 1) 여타의 상담과 구분되는 고유성(정체성) 원칙 2) 여타의 상담은 물론이고 기존의 응용철학이나 이론철학과 구분되는 전문성 원칙 3) 심리상담이나 정신과 상담 등 여타 상담영역은 물론이고 상담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 및 기법에 대한 개방성 원칙. 물론 개방성 원칙은 고유성과 전문성의 원칙이 전제된 한에서 지켜져야 한다. 4) ‘지금 여기’ 중심의 상담 및 직업활동에 초점을 맞춘현장성 원칙. 이는 철학상담이 특정한 방법론이나 강단에 고착되지 않는 활동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5) 일시적 유행으로 끝나지 않게 하기 위한 지속성 원칙. 나아가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선행작업을 통해 드러난 철학상담의 이념과 방법론 및 근본원칙에 의거하여 철학상담 교과과정 및 철학상담사 자격시험 과목을 예시해 볼 것이다. 이렇듯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 본고의 연구결과는 철학상담 교과과정의 세부내용을 정하는 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