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 의사소통능력, 리더십, 전문직관이 임상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지아,장미희,Lee, Jia,Jang, Mi Heui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1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2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abilit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3 nursing students who had more than 500 hours of experience in clinical practicum at 4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instruments consisted of 27 items of critical thinking, 19 items of professionalism, 40 items of self reported leadership, 20 items of communication evaluation tool, and 61 items of nursing practic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For the clinical practicum, most difficult for nursing students wer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ecal enema, stoma care, and blood transfusion. Clinical practice abiliti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r=.26, p<.001), leadership (r=.16, p=.007) and critical thinking(r=.12, p=.031). Professionalism(${\beta}=.32$, p=.001)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clinical practic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was the second largest factor but not significant(${\beta}=.16$, p=.058).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nursing curriculum should include nursing knowledge and nursing skills as well as various case-based or field-based decision making training programs to cultivate professionalism, critical thinking and other abilities for clinical practice.

      • KCI등재후보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불안감소를 위한 이완요법 적용 효과

        문현숙 ( Hyeun Sook Moon ),이향련 ( Hyang Yeon Lee ),이지아 ( Ji A Lee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수술을 받는 척추마취 환자에게 수술 전날과 척추마취 전 이완요법을 적용함으로써 이완요법이 척추마취 수술환자의 불안감소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1. 이완요법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 척추마취 전 실험군의 상태불안은 35.00점이고 대조군의 경우 44.55점으로 나타나 Spielberger (1972)기 보고한 입원환자 의 불안정수 42.68점보다는 실험문은 낮게 니타났으며 대조군 은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국내에서 보고한 Lee (2004)의 자궁 절제술 수술환자의 수술 전 불안점수 49.42점과 Woo (2003) 의 척추수술 환자의 수술 전 불안점수 48.75접보다는 낮게 나 타났다. 이완요법이 상태불안에 미친 효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척추마취 시술 전, 이완요법 적용 후 상태불안은 실험군의 경우 35,00점에서 2318점으로 감소하였고, 이완요법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에도 감소의 폭은 실험군에 비해 낮았으나 44.55점에서 33.64점으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 가 있었으나(F=6.392, p=.003),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083, p=.921), 이는 Park (2005)의 연구에서 중환자 실에 입원한 관상동맥확장술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확장 시술 전남부터 시술 2시간 전까지 최소 5회에서 최대 9회 까지 이완요법을 시행하였으나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 한 차이가 없었던 결과와 일치한다. 이는 중환자실에서 관상동맥확장술이라는 심장관련 중재술을 앞두고 환자의 불안이 더 가중 되었을 것이며 개심술과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시술에서는 이완요법을 적용하여도 상태불안 감소에 영향을 마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척추수술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Kim (1996)의 연구, 기관시내시경검사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Lee (2002) 의 연구,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Park (2005)의 연구 결과들은 이완요법을 받은 심혐군이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에서 이완요법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치하지 않은 연구 결과는, 상태불안은 시간이 지남 에 따라 시각적인 변통이 수반되고 그 강도가 자주 변화한다는 점(Spielberger,1972)에서 실험 처지 후 즉시 조사했을 때와 시간이 경과한 후 조사한 것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완요법의 효고를 높이기 위해서는 Kim (1996)의 연구 결과와 같이 이완요볍을 3회 이상 반복 시행하여 수술환자에게 자연스럽게 내면화되기를 기다려야 하는데, 본 연구 대상 병원 은 수술에 필요한 보든 절차를 외래로 내원하여 시행 확인 후 수술 전남에 입원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날과 수술 당일 척추마취 시술 전에 이완요법을 시행할 수밖에 없어 수술 후 상황에 적절하지 못했거나 내재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없었던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이완요법의 기본 조건인 정선적 집중, 수동적 태도, 근육긴장 감소, 조용한 환경의 4가지 기본 조건,(Chun, 2004) 에서 본 연구대상의 병원 정형외과 병동은 3인설 이상의 다인 실 병동으로 수술환자에게는 보호자와 방문객이 많았고, 척추 마취 시술 전 이완요법을 시행한 통원환자 회복실에서의 환자 , 보호자 통제 시설도 미흡하여 시행 시 환경적인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 결과에서는 척추마취 수술환지에게 이완요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김소는 없었으나, 연구 진행 과정에서 시간과 공간의 확보를 위한 노력과 이완요법 적용을 위한 환경적 제약 부분 등을 보완하면, 수술과 같은 특정 상황과 관련하여, 의식이 있는 척추마취 환자가 수술 중 경험하게 되는 불안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신체적 훈련을 통한 인지적 측면의 이완요법 적용과 함께 감정적, 정서적 측면의 지지를 함께 제공하여 수술환자불안 완화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는 간호중재로 반복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2. 이완요법이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효과 불안의 생리적 반응은 자율 신경계를 활성화시키므로 교감 신경과 시상하부가 자극을 받아 심장, 뇌조직 및 근 골격계를 제외한 모든 기관의 혈관을 수축시켜 말초 저항을 증가시킴 으로서 혈압을 상승시카고, 심근자체의 수축력을 강화시켜 심박 동수와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Smeltzer & Bare, 1992). 특히 수술이나 심근 경색중과 같은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하여 교감 신경계가 활성화되면 혈압과 맥박이 증가되고 반대로 이완되면 부교감신경이 증진되어 혈압과 맥박이 감소된다. 이러한 기전에 의하여 혈압상승과 빈맥, 호흡증가, 피부 창백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이러한 증상과 증후는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Su et .la 2004). 이완요법이 수축기 혈압에 미친 효과를 보면 본 연구에서는 척추마취 시술 전, 이완요법 적용 후 수축기 혈압은 실험군의 경우 125.55 mmHg에서 121.23 mmHg로 감소하였고, 대조 군의 경우 134.77 mmHg에서 122.64 mmHg로 실험군과 대 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 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6.637, p=.002),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1.242, p=.294). 이러한 결과는 기관지내시경검사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Lee (2002), Im (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되지는 않았으나 인공슬관절 환자에게 이완요 법을 적용한 Kim (2005)의 연구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이완 요법으로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완기 혈압은 실험군의 경우 73.55mmHg에서 69.27mmHg 로 감소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77.45mmHg에서 69.41mmHg 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9.997, p=.000),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601, p=.55l). 이러 한 결과는 기관지내시경검사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Lee (2002)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이완기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지는 않았으나,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 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Kim (2005)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 타났다. 맥박은 실험군의 경우 76.36회/분에서 70.32회/분으로 감소 하였고, 대조군의 경우 78.64회/분에서 69.68회/분으로 실험 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시점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F=8.856, p=.000), 두 집단 간, 집단과 시점 간의 교호작용이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0.346, p=.708). 이러한 결과는 기관지내시경검사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Lee (2002), Im (2003)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맥박이 유의 하게 감소되지는 않았으나, 인공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이완요법을 적용한 Kim (2005)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로 이완요법으로 맥박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에서 이완요법이 혈압 및 맥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일치하지 않은 연구 결과는, 이완요법의 이완효과를 생리적으로 측정한 연구 결과들이 서로 일치되지 않으며, 그 가치 또한 제한적이고 낮은 수준의 생리적 각성상태의 변화는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라는 견해(Sims,1987)와, 대상자에게 적용한 이완요법의 방법 및 실시된 횟수가 다양하고 이완요법에 반응하는 개개인의 생리적 다양성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정상인이 이완요법에 의해 혈압이 낮아지는 정도는Wal-lace와 Benson (1976)이 제시한 묵상에 의한 정상적 혈압 하강 과 비슷한 결과로, 수축기 혈압은 6-8mmHg 정도, 이완기 혈 압은 5 mmHg정도로 매우 적은 것이라고 보고한 Cho (1982) 와, 맥박수의 변화보다는 맥박의 variability가 긴장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타당하다는 Porges (1972)의 연구 보고도 있어, 혈 압과 맥박이 불안측정 도구로서의 유용성은 아직 논란의 여지 가있다고 보겠다. 그러나 이완반응의 생리적 지표인 혈압과 맥박을 포함한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매우 복잡하고 많으며,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서도 다양한 변화를 보일 수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 결과 혈압과 맥박에서 변화가 없는 이유는 대 상자 대다수의 혈압과 맥박이 정상수준 이내에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수술이나 검사의 중요성, 위협정도,수술시간 등에 의해 불안 정도가 변화하며 혈압과 맥박의 측정시기에 서 측정치가 변화할 수 있으므로 이완요법을 적용 받는 대상자 와 시기에 따라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완요법 적용 후 혈압과 맥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는 없었으나, 이완요법의 적용시기와 방법에 따라 측정값이 변화할 수 있고, 연구 대상자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개인차, 그리고 환 경의 내 · 외적 요인을 보다 철저하게 통제하고 적용하여 대상 자를 확대하여 반복 측정할 경우 이완반응의 생리적 지표에 효 과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to reduce anxiety level among spinal anes-thesia surgery patients.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quasi-experimental pre-and-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15-min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the day before the surgery and an hour before the spinal anesthesia. Data were collected from 44 patients (22 in experimental and 22 in con-trol group) who were planned to have spinal anesthesia surgery from an orthopedic surgery department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January 13 to March 21, 2006.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lower level of state anxiety after the surgery (23.18 vs. 33.64) than did control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or pulse rat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fter surgery. Conclusions: Th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polish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for various types of patients and to create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setting for application of the therapy.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may be a convenient and useful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anxiety among spinal anesthesia surgery patients if more studies prove its effective-ness.

      • 맹꽁이(Kaloula borealis) 음성활동성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분석 연구

        이지아 ( Ji-a Lee ),김지원 ( Ji-won Kim ),이세형 ( Sae-hyung Lee ),이가현 ( Ga-hyun Lee ),윤지영 ( Ji-young Yoon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맹꽁이의 번식기 음성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청주시 인근 7개 지점에 야외자동녹음장치(Songmeter SM4, Wildlife Acoustics Inc., Concord, MA, USA)를 설치하였다. 녹음 기간은 2019년 6월 10일부터 8월 1일까지이며, 매시간 당 5분씩 녹음하여 음원 자료를 확보하였다. 녹음 자료 분석 항목은 맹꽁이 개체수 (1: 0개체, 2: 1개체, 3:2-3개체, 4: 4개체 이상), 분당 맹꽁이 call 수, 청개구리 call 수, 참개구리 call 수이다. 온도, 습도, 강수량 등 기후환경 요인 데이터에 대한 조사는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에서 청주시 자료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① 7개 지역 간 울음소리를 내는 음성 활동성의 차이가 있는지, ② 음성 활동성의 일주 특성이 있는지, ③ 맹꽁이 음성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인 온도, 습도, 강수량과의 관계가 있는지, 또한 ④ 생물학적 요인(청개구리 울음소리와 참개구리 울음소리)의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맹꽁이 울음소리는 Songmeter를 설치한 각 지역마다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1, 5 지역에서 개체수와 분당 call 수가 높게 나타났고, 2, 6 지역에서 가장 늦게 나타났다. 또한, 주변 지역에 서식하는 청개구리의 call 수가 많아질수록 맹꽁이의 분당 call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개체수가 많을수록 분당 call을 많이 내는 높은 상관성을 보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하루 중 음성활동성은 21~22시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새벽 5시 전까지 어느 정도 활동성이 보이다가 점차 활동성이 낮아졌으며, 낮 시간에는 음성활동이 밤 시간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맹꽁이의 일별 음성활동성 패턴은 주변에 서식하는 참개구리, 청개구리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참개구리와 더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맹꽁이의 음성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분석한 결과, 습도가 높아지고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활동이 활발하게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음성 활동성을 보였다. 반면 온도는 크게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로 여름철에 번식하는 양서류의 경우 계절적으로 충분한 온도조건이 갖춰져 있기 때문에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맹꽁이가 번식기에 내는 울음소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연구지역으로 선정한 7개 지점 별로 환경 특성 차이가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다양한 서식지 환경 변수를 반영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발모광 뇌영상 연구의 과거, 현재와 미래

        이지아(Jiah Lee),김철권(Chul Kwon Kim),김윤정(Yoon Jung Kim),반건호(Geon Ho Bahn)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9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0 No.3

        Trichotillomania (TTM)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repetitive hair pulling, frequently from the scalp and/or eyebrows, leading to noticeable hair loss and functional impairment. TTM remains a poorly understood and inadequately treated disorder despite increased recognition of its prevalence. We review available neuroimaging studies conducted in patients with TTM, cover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imaging in turn. Data from patients’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imaging results enabled us to identify the neural circuitry involved in the manifestation of hair pulling. Finally, we highlighted the future importance of neuroimaging stud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TM.

      • KCI등재

        Repair Strategies for Hearing Impaired Adolescents based on Sentence Comprehension according to Language Ability

        이지아(Ji Ah Lee),최소영(So Young Choi)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2

        배경 및 목적 : 본 연구는 청각장애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상대자가 제공하는 회복전략 유형에 따른 문장이해 수행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참가자는 1)보장구를 착용하고 있으며, 2)보정청력은 경도난청 범위(20-45 dB)에 속하고, 3)구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청각장애 청소년이었다. 생활연령 14-18세, 언어연령 8-14세 범위에 속하는 36명을 선별하였고, 어휘력에 근거한 언어 수준을 기준으로 상위집단(18명)과 하위집단(18명)을 구분하였다. 문장-그림 일치 과제를 사용하여 구조화된 의사소통 상황을 설정하였으며, 문장이해에 실패한 경우를 의사소통 단절로 간주하여 의사소통 상대자로서 연구자가 세 가지 유형의 회복전략(반복, 바꾸어 말하기, 간략화)을 제시하였다. 결과: 언어 수준 상위집단이 하위집단에 비해 문장이해 반응 정확도가 높았고, 의사소통 상대자가 회복전략을 제공한 이후 두 집단 모두 반응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회복전략 유형별 문장이해 반응 정확도에서 전략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상위집단과 달리, 하위집단은 간략화 전략을 사용했을 때 반복이나 바꾸어 말하기 전략보다 높은 반응 정확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의사소통 상대자의 회복전략 사용이 의사소통 단절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되며, 대상자의 언어 수준에 따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회복전략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각장애 청소년의 언어능력과 그들의 의사소통 파트너를 함께 고려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effective repair strategies for hearing impaired adolescents based on their language ability by studying differences in sentence comprehension. Various repair strategies were provided by a communication partner. Methods: Selected participants used a 20-45 dB range hearing aid, primarily used spoken language, and were age 14 to 18. A high scoring group (N=18) and a low scoring group (N=18)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language skills. This study investigated sentence comprehension using a sentence-picture matching task. When a communication breakdown occurred, a communication repair strategy-repetition, revision, or simplification-was provided by a communication partner.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correct sentence comprehension in the high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low group. When the communication partner used the communication repair strategy, the correct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lthough the efficacy of each strategy was no different from the others within the high group, the simplification strategy was more effective than repetition or revision in the low group. Conclusion: Repair strategies used by a communication partner have positive effects in improving communication breakdown.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fulness of various repair strategies depending on the speaker’s language skills.

      • Jeff leatham(제프레섬) 화예디자인과 조형세계

        이지아(주저자) ( Ji Ai Lee ),이진민(공동저자) ( Jin Min Rhie ),장미정(공동저자) ( Mi Jeong Jang )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5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제프레섬의 작품특성을 해명함에 있어서 제프레섬 작품의 대한 이해를 기본에 두고 조형성 및 연출기법을 분석하여 작품사례를 유형화하여 특성을 고찰하였다 제프레섬의 작품을 조형적 관점에서 재조명함으로써 화예 매체를 통한 공간연출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무에 활용 될 수 있다. 따라서 제프레섬의 화예디자인의 예술적 가치를 논하기 보다는 공간연출로서 가지는 플라워디자인의 조형성과 연출기법을 중심으로 문헌고찰 하였다. 또한 제프레섬의 화예디자인을 가장 최근 출판한 2014년도 작품집인 ‘JEFF LEATHAM Visionary Floral Art and Design’의 사례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분석대상은 제프레섬이 연출하는 설치미술, 웨딩 및 파티공간, 테이블으로 제프레섬이 아트디렉터로 활동하는 파리의 포시즌 호텔과 한국의 신라호텔의 사례를 중심으로 하였다. 그리고 각 연출공간에 적용된 화예디자인의 분석요소는 선적요소, 색상, 소재, 연출기법, 조형원리, 조형특징으로 살펴보았다. 따라서 2장의 1절에서는 화예디자인의 조형성과 연출방법에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2장의 2절에서는 제프레섬의 전반적인 작품세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 인터뷰 및 작품집을 선행연구 하였다. 3장에서는 문제 제기와 문제의 설계를 통하여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4장에 서는 선정된 18개의 조사 대상을 분석하여 특성을 도출하고 5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이러한 연구는 세계적인 플로리스트의 작품을 조형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실무 및 교육현장에서 독창적이고 새로운 표현기법 개발과 미적인 조형계획 설계에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at contemplating characteristics of Jeff Leatham``s work by categorizing his pieces as well as analyzing formativeness and production techniqu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is creations to explain his work. Refocusing Jeff``s work in the formative point of view can suggest possibility of more diverse spatial expressions through the floral media so that florists can use them.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formativenes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floral design, which represent spatial expressions rather than discussed the artistic value of the floral design of Jeff Leatham. In addition, his floral design was analyzed using creations from the 2014 anthology ‘JEFF LEATHAM Visionary Floral Art and Design’, which is most recently published. Installation art, wedding and party decorations and tables were subjects of the analysis. Pieces that Jeff arranged for The Shilla Seoul Hotel in Korea and Four Seasons Hotel Paris, where he works as an art director, were used. Linear factors, colors, materials, production techniques, the formative principl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utilized as elements of analysis of floral design applied to each space. Formativeness and production methods of floral design were theoretically considered in section 1 of chapter 2. Documents, interviews, and collections were discussed in section 2 of chapter 2 to understand Jeff``s work. Chapter 3 provided an analysis framework by raising and designing problems. Chapter 4 analyzed 18 research subjects selected to derive their properties and chapter 5 made a conclusion. This study finds its significance in that a world-class florist``s creations are formatively analyzed for practitioners and educators to develop new expressive methods and design aesthetic formative plans.

      • KCI등재

        한방간호 교육프로그램 교과과정의 중요도 및 활용도 분석

        이지아(Lee, Jia),이혜경(Lee, Hye Kyung) 한국간호교육학회 2011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usability of the curriculum of the oriental nursing educational program among clinical nurses who completed the program.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2010 to April 25, 2010 from 68 oriental or allied hospital nurses who completed the oriental nursing educational program. A70-item questionnaire of importance and usability of the program curriculum and as an instrument of knowledge of oriental nursing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69.1%)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linical practice due to lack of oriental nursing knowledge and skill. In knowledge of oriental nursing, meridian points had the most negative responses (51.5%), followed by oriental documentation (42.7%) and oriental herbal medicine (20.6%). The highest ranked course in importance was oriental fundamental nursing with clinical practicum in usability. The scores of usability item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importance item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linical job description and role of oriental nurses should be organized. The oriental nursing educational program needs to include more unique clinical nursing content.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