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Assessment of Influenza Vaccine Immunogenicity in Immunocompromized Host During 2009 Influenza Season: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김동환,송봉섭,이준아,김동호,Kim, Dong Hwan,Song, Bong Sup,Lee, Jun Ah,Kim, Dong Ho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2012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9 No.1

        목 적 : 인플루엔자는 소아암 환자에게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나 소아암 환자에 대한 예방 접종률은 낮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암 환자를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면역원성과 부작용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9년 10월부터 12월까지 원자력의학원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SK influenza IX vaccine$^{(R)}$)을 받은 25명의 소아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했다. 예방접종일과 접종 후 30일 뒤 2회에 걸쳐 채혈하였고 혈구응집억제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백신의 면역원성은 접종 전과 접종 후 30일의 혈구응집억제 항체가 1:40 이상인 피험자 비율, 접종 후 30일의 항체 양전율, 접종 전과 접종 후 30일 사이의 GMT 증가 배수로 평가하였다. 결 과 : 본 연구대상자 중에서 심각한 예방접종관련 부작용을 경험한 대상자는 없었다. 접종 후 혈구응집억제 항체가 1:40 이상을 보인 피험자의 비율은 H1N1 항원에 대해 68%, H3N2 항원에 대해 40%, B 항원에 대해 36%였다. 항체양전율은 H1N1 항원에 대해 12%, H3N2 항원에 대해 16%, B 항원에 대해 20%였다. GMT 증가 배수는 H1N1 항원에 대해 0.9, H3N2 항원에 대해 1.2, B 항원에 대해 1.8이었다. 결 론 :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인플루엔자 백신에 대해 제한적인 면역반응을 보였으나 일부 대상자들에게서 항체 양전이 나타났고 심각한 예방접종관련 부작용이 없었던 점을 고려할 때 소아암환자를 대상으로 매년 정기적인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 추천된다. Purpose : Although influenza is regarded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morbidity and mortality in children with cancer, the actual vaccine coverage remains poor. We conducted evaluation of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influenza vaccine in children with cancer. Methods : In this study, 25 children with cancer who received influenza vaccine (SK influenza IX vaccine$^{(R)}$) at th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2009 were analyzed. Blood samples of patients were collected twice (at the beginning of this study and at 30th day after vaccination) and their antibody titers were measured using the hemagglutination-inhibition (HI) assay. Immunogenicity of the influenza vaccine was assessed by seroprotection rate on days 0 and 30, seroconversion rate on day 30, and mean fold increase (MFI) of geometric mean titer (GMT) of HI between days 0 and 30. Results : Any of the subjects in our study did not experienced serious adverse events after influenza vaccination. Seroprotection rates were 68% for H1N1, 40% for H3N2, and 36% for B. Seroconversion rates were 12% for H1N1, 16% for H3N2, and 20% for B. MFIs were 0.9 for H1N1, 1.2 for H3N2, and 1.8 for B. Conclusion : In the study, we found a limited protective immune response to influenza vaccine, among subjects with cancer. However, some subjects showed seroconversion, and there were no severe adverse events among all subjects, supporting the recommendation of annual influenza vaccination in children with cancer.

      • 소아청소년 갑상선암 환자들의 예후인자

        변병현(Byung Hyun Byun),이국행(Guk Haeng Lee),김동호(Dong Ho Kim),임중섭(Jung Sub Lim),임일한(Ilhan Lim),임상무(Sang Moo Lim),이병철(Byeong Cheol Lee),이준아(Jun Ah Lee)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20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6 No.2

        Background/Objective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DTC)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aterials & Methods: Medical records of 31 DTC cases that were diagnosed and treated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between 2002 and 2018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Most cases were papillary carcinoma (n=26), with female predominance (n=25). Median age was 16.4 years (range, 11.9-18.6 years). Extrathyroidal extension was present in 24 cases. Twenty cases had tumor involvement at cervical lymph nodes and three had lung metastasis. Twenty-two patients received radioactive iodide treatment with a median cumulative dose of 300 mCi (range, 100-920 mCi). During a median follow-up of 68.2 months (range, 2.3-191.4 months), serum thyroglobulin level was elevated in 15 patients. Among them, two cases had remnant thyroid tissue, 4 had recurrence at cervical lymph nodes, and the remaining 9 did not have any detectable lesion. All were alive, and 5-year event-free survival (EFS) was 45.2±10.1%. Age £15 years, tumor size, lymph node status (N1b), and distant metastasis had negative effects on EFS. On multivariate analysis, age and tumor size had prognostic significance. Conclusion: For DTC of children and adolescents (£18 years old), age ≤15 years and tumor size were prognostic factor. Therefore, patients in this age group need meticulous follow-up.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answer the potential influence of age on the incidence and behavior of DTC.

      • 물류시설에 SMART Frame 적용시 효용성 분석

        손승현 ( Son Seung-hyun ),김기호 ( Kim Ki-ho ),이준아 ( Lee Jun-ah ),김선국 ( Kim Sun-kuk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8 No.2

        Logistics facilities are characterized by wide spans and high flooring, most of which are constructed with PC (Precast Concrete) methods to meet a wide range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needs. However, the PC structure is a pin joint design,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restrictions caused by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lengthen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SMART Frame, which is a structural system similar to the steel frame structure, was developed by embedding a steel frame at both ends of the P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ection time reduction effect of steel connected precast concrete components (SMART frames) for long span and heavy loaded logistics buildings compared to existing PC frames. For this study, a logistics building constructed with pin joint PC components is selected as a case. The result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PC frame to confirm the erection time reduction effect.

      • 소아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자가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

        이준아,신희영,안효섭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2

        연구배경: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에 있어 조혈모세포이식이 장기간 관해상태를 유지할수 잇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조혈모세포의공급원으로 골수를 사용하여 왔으나 조직적합형이 일치하는 골수를 얻을 수 있는 환자의수는 제한적이다. 말초혈액에도 조혈모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는데, 말초혈액 조혈모세포는 이식후 생착이 빠르며 이식편대 숙주반응 등의 합병증이 적고 골수 공여자가 없는 환자들에서 자가골수채취에 비해 쉽게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아연령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이 골수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조혈모세포이식의 방법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1996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18명(남 13, 여 5)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시 정중 연령은 8년 6개월 (1년 10개월-15년 7개월)이었고, FAB 분류에 따른 아형은 M4 7명, M4E 4명,M5a 2명, M2, M6가 각 1명씩이었다. Cytarabine, etoposide와 G-CSF를 사용하여 조혈모세포를 가동화시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관해 159일(20-242일)째부터 분반채집을 시행하였고, 이로부터 33일 (23-65일)후에 이식을 시행하였다. 각 환아에게 투여한 조혈모세포의 양은 단핵세포수 16.04×10^(8)/kg (5.45-32.39×10^(8)/kg), CD34 양성세포 11.24×10^(6)/kg (0.93-46.9×10^(6)) 이었다. 결과: 이식 수 과립구수가 500㎕, 1,000㎕ 이상이 되기까지 각각 10일 (8-23일), 11일(9-41일0, 혈소판이 5,000㎕, 100,000㎕ 이상이 되기까지는 각각 35일 (10-71일), 43일(14-136일)이 걸렸다. 한편 제 28일, 제100일에 시행한 골수검사에서 재발한 환아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생착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조혈모세포 주입시의 부작용으로 혈색소뇨증(78%), 오심/구토(78%), 고혈압(39%), 두통(33%), 복통(28%), 서맥(17%), 현기증(17%), 저혈압(11%), 발열(11%) 등이 발생하였다. 생착이 되기 전 15명 (83%)에서 발열이 있었으며, 이중 3명에서 균이 검출되었다. 15명이 설사를 하였고, 9명(50%)에서 구강점막염이 발견되었다. 이외 고용량의 항암제 투여와 관련하여 SIADH(3명), 출혈성 방광염(1명)이 발생하였으며 DMSO 독성으로 인한 간효소의 상승(1명)이 있었다. 이식후 추적관찰 기간은 487일(85-1,237일)로 이중 14명이 생존하고 있으며, 3년 무병생존율이 70.5%, 5명이 재발되어 1년째 재발확률은 29.5%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무병생존율이 지금까지 보고된 동종골수이식의 성적(55-70%)과 비슷하며 자가골수이식의 성정(30-50%)과 비교하여도 우수한 성적이었다. 또한 생착에 소요된 기간도 짧고 이식에 따르는 부작용도 적어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골수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동종 골수이식에 비해 재발률이 놓았기에 향후 치료성적의 향상을 위해서는 미세잔존암 검색기술의 개발과 이식 전 조혈모세포의 purging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Stem cell transplantation can lead to cure and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mia (AML). We investigated whether peripheral blood stem cell (PBSC) could be used instead of allogemeic of autologous bone marrow (BM0 in the treatment of AML in children. Methods: Data from 18 patients (13 boys, 5 girls) who underwent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were analysed. Their median age was 8 years and 3 months (1 year 10 months-15 year 7 months) and FAB subtype were; M2(1), M3(2), M4(7), M4E(4), M5a(3), M6(1). The median amount of stem cells infused was 16.04×10^(8)/kg (5.45-32.39×10^(8)/kg), 11.24×10^(6)/kg (0.93-46.9×10^(6)) in CD34^(+) cells. Results: The median number of days to reach absolute neutrophil count greater than 500㎕ and 1000㎕ were 10 days (8-23 days) and 11 days (9-41 days), respectively. Thirty- two days (10-71 days) and 43 days (14-136+ days) were needed to reach platelet count greater than 50,000/㎕ and 100,000㎕, respectively. When cryopreseved stem cells were infused, hemoglobinria (73%) nausea/vomiting (73%), hypertension(40%), headache(33%), abdominal pain(27%), bradycardia (20%) were observed, but they were mind and resolved by supportive management. Before hematologic reconstitution, 15 patients developed fever, three of whom were blood culture positive. Fifteen patients suffered from diarrhea and 9 had oral mucositis. Median days of follow-up after PBSCT was 487 days (85-1,237 days). Four patients died of disease relapse. At present, 13 children are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ase, and one is under treatment due to leukemia relapse. The actuarial probability of disease free survival (DFS) at 3 years is 70.5% and probability of disease relapse at 1 year is 29.5%. Three-year DFS of patients who were in first complete remission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of 79.3%. Conclusion: The survival rate was comparable to that of allogeneic BMT and hematopoietic recovery was faster. Accordingly, we conclude that autoligous PBSCT can be adopted as a standard treatment modality in acute myelogenous leukemia in children. But as we observed 5 patients with leukemia relapse, we should try to develop techniques that could detect minimal residual disease (MRD) and techniques of purging to reduce the risk of leukemic relapse.

      • KCI등재
      • 조혈모세포의 단순급속냉동이 세포생존율과 집락형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기웅,강형진,이준아,한효정,최형수,박현진,유은선,김석현,유경하,신희영,안효섭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6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1 No.1

        연구배경: 기존에 이용되던 10% DMSO를 냉동보관제로 하여 programmed freezer에서 냉동한 후 액체 질소에서 저장하는 냉동보관법은 고가의 장비와 전문관리인력을 필요로 하여 조혈모세포이식이 일반화된 치료방법으로 자리잡는데 한 장애요소가 외었다. 연구방법: 냉동보관방법의 간편화를 위해 programmed freezer와 액체질소를 이용하는 대신에 -80℃의 냉도고에서 단순급속냉동후 바로 -80℃의 냉동고에서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고 14일,2개월의 냉동보관후의 세포생존율, 단핵구 수득률 및 배양 14일 CFU-GM의 수득률을 구하여 냉동보관후에도 이식능이 잘 보존되는지 살펴보았다. 이 경우 적절한 냉동보관제의 선택을 위해 6% HES/5% DMSO와 10% DMSO를 냉동보관제로 사용하였을 때의 성적을 비교하였다. 결과: 1) 냉동보관 14일, 2개월후의 평균 세포생존율은 6% HES/5% DMSO군에서 74.2±11.5%, 71.1±8.7%, 로서 10% DMSO군의 67.4±11.5%, 58.1±11.4%,에 비해 P값이 0.0098, 0.0002로 우수하였다. 2) 냉동보관 14일, 2개월후의 평균 단핵구 수득률은 6% HES/5% DMSO군에서 71.6±10.1%, 69.3±8.1%로서 10% DMSO군의 62.1±11.5%, 55.9±10.1%에 비해 P값이 0.0021,0.0001로 우수하였다. 3) 냉동보관 14일, 2개월후의 배양 14일 CFU-GM의 평균수득률은 6% HES/5% DMSO군에서 68.3±12.7%, 66.3±8.2%로서 10% DMSO군의 57.8±11.6%, 50.1±11.4%에 비해 P값이 0.0003, 0.0001 로 우수하였다. 4) 냉동기간이 길어질수록 세포생존율 및 수득률은 감소하였다. 6% HES/5% DMSO군에서 냉동 14일후에 비한 냉동 2개월후의 세포생존율, 단핵구 수득률 및 배양 14일 CFU-GM 수득률의 상대값은 각각 97.2±14.6, 97.6±10.1 및 99.3±16.8로서 10% DMSO군의 87.3±15.7, 92.±20.4 및 88.5±21.2에 비해 P 값이 0.0490, 0.0963, 0.0075로 우수하였다. 결론: 6% HES/5% DMSO와 -80℃의 냉동고를 이용한 조혈모세포의 단순급속냉동 및 단순저장법은 간단하고 저렴하면서도 조혈모세포 이식능의 보존에서 기존의 냉동보관방법에 필적할 수 있으며 이식수의 골수의 조혈기능의 재구성에 필요한 이식능은 충분히 보존됨을 보여주어 향후 조혈모세포이식의 일반화 및 대규모 조혈모세포의 설립,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To develope an inexpensive, rapid, yet effective method for cryopreservation of hematopoietic cells, changes from standard method were made in the three areas: the cryoprotectant, the method of freezing, and the storage temperature. Methods: Mononuclear cells separated from cord blood by Ficoll-hypaque centrifugation were frozen in both a 6% HES/5% DMSO mixture(6% HES/5% DMSO group) and conventional 10% DMSO(10% DMSO group) with rapid cooling rate(simple immersion in a -80℃ freezer) and stored in a -80℃ freezer. after 14days and 2months of storage, cells were thawed and viability, recovery of mononuclear cells, and day 14 CFU-GM were measured. Results: After 14 days and 2months of storage, viability were 74.2±11.5%, 71.1±8.7%, recovery of mononuclear cells were 71.6±10.1%, 69.3±8.1%, and recovery of day 14 CFU-GM were 68.3±12.7%, 66.3±8.2% respectively, in 6% HES/10% DMSO group, and 67.4±11.5%, 58.1±11.4%, 62.1±11.5%, 55.9±10.1%, 57.8±11.6%, and 50.1±11.4% respectively, in 10% DMSO group. P-values were 0.0098, 0.0002, 0.0021, 0.0001, 0.0003, and 0.0001 respectively. decrease in ability of hematopoietic reconstitution with prolongation of storage time was observed but clinically not significant in 6% HES/5% DMSO group. Conclusion: Hematopoietic cells were successfully cryopeserverd in a 6% HES/5% DMSO mixture simply and in expensively, without slow rate freezing(-1℃/min) or storage at -196℃ liquid nitrogen. ten percent DMSO was not a suitable cryoprotectant for rapid freezing and storage in a -80℃ freezer.

      • Limiting Dilution Assay를 이용한 Long-term Culture-Initiating Cells의 정량

        성기웅,유경하,고상혁,윤계진,장필상,강형진,이준아,한효정,최형수,유은선,구홍회,신희영,안효섭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7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2 No.1

        연구배경: LTC-IC는 5주간의 장기액상배양 후에도 집락을 형성할 수 있는 세포를 말하며 조혈모세포의 이식능을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세포이다. 본 연구에서는 Limiting Dilution Assay를 통해 LTC-IC를 정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제대혈, 가동화된 말초혈 및 골수형을 대상으로 일정수의 단핵구에 포함된 CD34^(+) 세포수, CD34^(+)/38- 세포수, 단기배양시 형성된 집락의 수 및 LTC-IC의 수를 구하였다. LTC-IC의 수는 96-well plate에서의 장기액상배양 및 Poisson 분포를 이용한 limiting dilution assay를 이용하였다. 결과: 10^(5)개의 단핵구에 포함된 CD34^(+) 세포, CD34^(+)/38^(-) 세포수는 제대혈에서 960±493, 43.0±20.0, 가동화된 말초혈에서 720±432, 42.5±18.8, 골수혈에서 2,505±805, 805±305였고, CFU-GM의 수는 제대혈에서 24.6±9.9, 가동화된 말초혈에서 20.7±13.0이었고, LTC-IC의 수는 제대혈에서 10.4±5.7, 가동화된 말초혈에서 5.8±5.3, 골수혈에서 13.9±4.2였다. 결론: 96-well plate에서의 장기액상배양 및 Poisson 분포를 이용한 limiting dilution assay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LTC-IC의 수를 정량하였고 이를 통해 이식후의 장기생착능에 대한 정보를 얻을수 있다. Background: Long-term culture-initiating cells(LTC-IC) are defined as those cells responsible for the presence of clonogenic progenitors in 5-week-old long-term culture. LTC-IC are the best available approximation of stem cells in human. we compared the number of LTC-IC in cord blood(CB), mobilized peripheral blood(PB), and bone marrow(BM) using limiting dilution assay(LDA). Methods: Samples were obtained from CB, mobilized PB, and BM. Mononuclear cells(MNC) and CD34^(+) cells were separated by ficoll-hypaque centrifugation and method using immunomagnetic beads, respectively. Flow cytometric analysis was done for determination of CD34^(+) and CD34^(+)/38 cells. Clonogenic progenitors were assayed in methylcellulose media. For LDA, MNCs or CD 34^(+) cells were seeded onto irradiated murine stromal feeder layer in 96-well plate at 3~5 different cell concentrations. Wells that did not contain cobblestone area after 5 weeks of culture were counted and the number of LTC-IC was determined using Poisson distribution. Results: The number of CD34^(+) and CD34^(+)/38^(+) cells per 10^(5) MNCs in CB, PB, and BM were 960±493, 43.0±20.0, 720±432, 42.5±18.8, and 2,505±805, 805±305, respectively. The number of CFU-GM per 10^(5) MNCs in CB and PB were 24.6±9.9 and 20.7±13.0, respectively. The number of LTC-IC per 10^(5) MNCs in CB, PB, and BM were 10.4±5.7, 5.8±5.3, and 13.9±4.2, respectively. Conclusion: In this report, we successfully determined LTC-IC frequencies using LDA with long-term culture system. Determination of LTC-IC frequencies is useful for measurement of long-term in vivo repopulating pot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