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이 현대무용 창작에 미치는 영향: 작품 <루시드 드림(Lucid Dream)>을 중심으로

        이정연 한국무용학회 2023 한국무용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이정연댄스프로젝트의 2019년 작품 <루시드 드림(Lucid Dream)>을 창작자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현대무용창작에 있어서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의 활용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은 증강현실과 혼합현실이 사용된 예술에 관련된 선행연구 및 사례 고찰, <루시드 드림> 작품에 참여한 안무자와 기술팀의 제작과정 등의 일지와 인터뷰를 분석하였으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개발회의 기록과 공연 후 컨퍼런스 발표를 통해 발전방안을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 아이디어를 확장하게 된다. 둘째, 작품의 시각화와 공간감을 준다. 셋째, 창작 과정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넷째, 창작자의 창의성과 예술성을 강화시킨다. 다섯째, 관객의 관심도와 연출 효과가 증대된다. 기술의 발전은 예술의 창작과 표현 방법을 혁신시키고 예술은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 예술과 기술융합의 창작물은 창작자에게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줌과 동시에 새로운 예술 장르로 발돋움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ucid Dream", the 2019 work of Lee Jung-yeon danc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to explore the impact of the use of AR and MR technologies in modern dance creation.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case review related to art using AR and MR, and embodied the development plan through the records of development meetings and post-performance confere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expands the creative idea. Second, it gives a visualization and a sense of space of the work. Third, i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creative process. Fourth, it strengthens the creativity and artistry of creators. Fifth, the audiences' interest and directing effect are increas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revolutionizes the creation and expression of art, and art plays a role in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reation of art and technology convergence is expected to open infinite possibilities to creators and at the same time become a new art genre.

      • KCI등재

        여성구술생애기록물 맥락 표현을 위한 메타데이터 구조화에 관한 연구

        이정연,이정연,유종덕,이종윤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30

        Oral history is the work to make the record of the verbal content recreated by the memories of the survivors. Oral history recording is accomplish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the interviewee, the interviewer, the cameraman, the recorder, the transcriber and etc.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context at the time of the production to be expressed. So planning for the collection of oral records, the collection of oral records, and their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This study, being started from this sense of problem, designed conceptual model of metadata to well reflect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the oral records of the women life of among the oral records and extracted the elements through this. The whole process of records management including from planning, producti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leading to use, related to the oral records of the women life, was classified into a hierarchy. It also proposed the system which can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 through authority records and subject thesaurus. 구술은 생존자의 기억을 통해 재현된 내용을 기록화 시키는 작업으로 구술채록은 구술자, 면담자, 촬영자, 녹취자 등의 협업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구술기록물은 생산 당시의 맥락이 표현되는 것이 중요하며 구술기록물 수집을 위한 기획, 구술기록물 수집, 보존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에서는 구술기록물 중에서도 여성구술생애기록물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의 개념 모델을 설계하고 이를 통하여 요소들을 추출 하였다. 여성구술생애기록물 관련 기획부터 생산, 보존, 관리, 이용에 이르는 기록 관리의 전 과정을 포함하여 계층으로 분류하였으며, 전거레코드와 주제 시소러스를 통해 '여성'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다문화 사회 속의 초등무용교육: 변화를 위한 모색:포크댄스(Folk Dance)를 중심으로

        이정연 한국체육철학회 200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6 No.3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foreign workers and marriages after the 1990s, our society i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new code called “multiculturalism” due to foreign female migrants. Also, the repressed assimilation of multicultural family’s children has led to a raise in societal and educational problems. In this research, a focus is placed on elementary education when the educational problems, especially in terms of basic morality, start to form systematically within multiculturalism and the role of dance as an educational curriculum is proposed in this situation. In this research,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dance program is examined and evidence to discover that change is proposed. Among various dance programs, folk dance is mostly tailored towards European countries as an elective course, excluding a Philippines’ traditional dance. As the vulnerability of the Asian countries is surfacing, now the education curriculum needs to be designed to match this change. Various children’s problems that are derived from multiculturalism needs to implemented from the public education’s perspective, not just alternative education perspective. Folk dance is program that acts as a proxy for specific ethnic groups’ uniqueness including religion, history, idea, lifestyle, and customs. Children will not only experience other unique cultural aspects of various nations and nationalities, but they will be able cultivate a more open attitude. By strengthening Asian countries’ folk dance, not just European countries, it will b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understand “difference” or “divergence” of various cultures. 1990년대 이후 급속히 증가한 외국인 노동자, 결혼을 통해 이주한 외국인 여성 이주자로 인해 우리 사회는 이제‘다문화’라는 새로운 코드를 접하게 되었다. 또한 다문화 가정으로부터의 아동은 억압적 동화주의에 노출되어 사회적, 교육적 이슈로 부상하기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 속의 우리 교육 문제, 특히 도덕관의 기초가 체계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는 초등교육에 초점을 두었고, 그 가운데 교육과정으로서의 무용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에 관해 연구의 출발을 삼았다. 다문화의 과정으로부터 파생된 아동들의 문제는 보다 실천적인 공적 교육의 차원에서 다루어져야 하므로 교육과정을 살펴보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보겠다.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무용 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그 변화를 모색할 근거를 제시하였다. 초등무용의 다양한 프로그램 가운데 포크댄스는 유일하게 선택 과정으로서 필리핀의 민속무용 1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유럽권에 편중되어 있었다. 아시아권의 취약성이 지극히 표면화되어있는 교육과정은 이제 그 변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포크댄스는 종교, 사상, 관념, 정서, 생활습관, 풍습 등의 구체적인 민족의 특수성을 대변하는 프로그램이다. 아동들은 이를 통해 타국, 타민족의 구체적 문화를 경험함으로써 보다 열린 자세를 함양할 수 있다. 유럽 뿐 아닌, 아시아권의 포크댄스를 강화하며, 다양한 문화의 이해를 돕는 것은‘다름’, 혹은‘차이’를 이해하는 교육적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우울의 시대: 우울의 의료화와 ‘우울증’의 자전적 서사 담론의 의미

        이정연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2 현상과 인식 Vol.46 No.1

        This study analyzes the discourse on depression through autobiographical essays on depression,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It examines how medicalization of melancholia is told through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nd what social meaning it has.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bout depression show the possibility of going beyond the limits of ‘diagnostic psychiatry’, but also show the limit that the consideration of depression ultimately stays in the obsession with oneself. In addition, the subjectivization that appears in medicalization lowers the boundaries of mental disorders and makes mental disorders a common disease, but at the same time makes our society no longer take issue with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Through this depression has been established as a disease that can be ‘managed' as a drug without asking the cause, and modern society has stopped considering ‘normal depression'. Uncertainty in a liquid society, where individuals cannot grasp the structural reality of pain fosters daily anxiety and medicalization has given birth to various mental disorders by naming the emotion of anxiety. In a society where pain inflicts great pain on an individual but its reality is invisible, depression has become a framework for containing the narrative of individual pain. 본 연구는 최근에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우울증에 관한 자전적 에세이를 통해 우울의 시대에 만연해 있는 우울증 담론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의료화된 우울이 어떻게 자전적 서사를 통해 이야기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갖는 사회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우울증에 관한 자전적 서사는 ‘진단 정신의학’의 한계를 넘어서는 가능성을 보여주면서도 우울증에 대한 고찰이 결국 자기 자신에 대한 천착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나타낸다. 또한 의료화에서 나타나는 주체화는 정신장애에 대한 경계를 낮추고 정신장애를 일반적인 질병으로 인식하도록 만들지만 동시에 우리 사회가 더 이상 우울의 만연을 문제시하지 않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를 통해 우울증은 원인을 묻지 않는, 약물로서 ‘관리’되는 질병으로 자리 잡았고 현대사회는 ‘정상적인 우울’에 대해 고찰하지 않게 되었다. 개인이 고통의 구조적 실체를 파악할 수 없는 액체사회의 불확실성은 일상의 불안감을 키워내고 의료화는 불안이라는 감정을 네이밍하여 다양한 정신장애 질병을 탄생시켰다. 개인에게 미치는 고통은 크지만 그것의 실체가 보이지 않는 사회에서 우울증은 개인의 고통 서사를 담는 틀이 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