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화엄사 서오층석탑 발견 「무구정광다라니」의 서지적 연구

        정경,박부자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5 No.-

        Hwaeomsa dharani is the only material with which we can reconstruct the overall aspects of Mugujeonggwang dharani distributed during unified Silla. Despite its value as significant material, it has not been much noticed so far unlike other 「Mugujeonggyeong」 materials transmitted from unified Silla. Therefore, this author aims to reveal its value as significant material by examining the contents, patterns of transcription, marks of correction, and the New Characters of Wu Zetian. Regarding it, this study has found some characteristics of Hwaeomsa dharani and summed them up as follows: first of all, only the dharani was transcribed, excluding the Buddhist scriptures of 「Mugujeonggyeong」. The characters needed to recite the dharani were not transcribed. Six dharanis form a set and are transcribed repetitively, and they are transcribed 28 times at least. Also, in the beginning of each session, the title of a dharani, ‘最勝無垢清淨光明大根夲陁羅 ’, is transcribed. After transcribing six dharanis once, one or two blank lines are left for division before transcribing the next ones. There is space between Chinese characters to distinguish a dharani from another within a session. With these characteristics, we can see one of the concrete ways to produce mugujeonggwang dharani for enshrinement used during unified Silla. Hwaeomsa dharani was transcribed not for reciting but purely for enshrinement. Meanwhile ‘卜’ was used for deletion marks. This is the earliest example of using ‘卜’ for a deletion mark in Korea. In addition that, marks for reversal or repetition are also found. As in other Silla scriptures, ‘埊’, the new characters of Wu Zetian, was also used. 화엄사 다라니는 통일신라시대에 유통된 무구정광다라니 전체 모습을 재구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로, 그 자료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통일신라시대의 다른 「무구정경」 자료에 비해 큰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화엄사 서오층석탑 출토 다라니의 내용과 필사 양식, 부호, 측천무후자의 사용 등을 살펴 그 자료적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에서 확인된 화엄사 다라니의 특징 몇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엄사 다라니에는 「무구정경」의 경문을 제외한 다라니만 필사되어 있으며, 다라니 내 다라니의 암송을 위한 표시들은 필사되어 있지 않다. 여섯 개의 다라니가 한 세트가 되어 반복적으로 필사되었고 최소 28회 필사되었다. 또 매회의 시작 부분에 다라니명 ‘最勝無垢清淨光明大根夲陁羅 ’를 필사하였다. 여섯 개의 다라니를 한 차례 필사하고 다시 다음 차례의 다라니를 필사할 때에는 空行을 두어 구분하는 경향을 보였고, 한 회 안에서 다라니와 다라니를 구별할 때에는 隔字를 두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통일신라 시대에 납탑용 무구정광다라니를 제작하는 하나의 구체적인 방식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화엄사 다라니가 암송을 위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납탑을 위해 필사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삭제부로는 ‘卜’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에서 삭제부 ‘卜’이 쓰인 매우 이른 시기의 용례이다. 이 외에도 전도부, 반복부 등의 부호가 확인되었으며, 다른 신라 사경처럼 측천무후자 ‘埊’도 사용했음이 확인되었다.

      • Agrobacterium을 이용한 BHC분해에 관한 연구

        이정경,정일경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응용과학연구소 1999 응용과학연구논문집 Vol.7 No.-

        본 연구는 난분해성 농약의 자연분해를 유도하기 위하여 γ-BHC를 carbon source로 이용하여 호기적으로 자화하는 미생물(S. paucimobilis)에서 분리된 탈염소화효소 중 γ-BHC분해의 첫단계에 관여하는 LinA유전자를 Agrobacteria에 도입하여 BHC에 활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토양미생물을 만들기위해 pJK108 plasmid를 제작하여 Agrobacteria에 형질도입한 후 이 Agrobacteria의 세포 추출물을 이용한 Western분석에서 LinA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이후 LinA유전자가 도입된 Agrobacteria pJK108을 이용하여 γ-BHC의 분해율을 조사한 결과, 반응 60분 경과 후 95.67%로 거의 모든 양의 γ-BHC가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유전자 조작에 의해 만들어진 토양미생물인 Agrobacteria를 이용하여 토양에 오염되어 있는 γ-BHC를 흡수, 분해하여 오염된 토양환경을 정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Υ -BHC is a potent organochlorine insecticide employed for agricultural and medical purposes, and it has been used worldwide since the 1970s. Even though most countries have prohibited the use of Υ -BHC for its toxicity and long persistence in soil, there are many contaminated sites throughout the world. Moreover, some countries are still using Υ -BHC for economic reasons, and new sites are continually being contaminated by Υ -BHC . Sphingmonas paucimobilis UT26 was isolated from an upland experimental field to which Υ -BHC had been applied once a year for 12 years. The Υ -BHC degradation pathway in UT26 was revealed, and the genes involved in the Υ -BHC degradation have been cloned. Among them, the LinA gene which catalyzes the first dechlorination sep of Υ -BHC is known to play a key role in the pathway. In this study, the LinA gene was designed to clean-up the Υ -BHC and derivatives contaminated in soil, water and air with highly expressing promoter in soil bacteria, and introduced into the cell of Agrobacteria. The resultant transgenic Agrobacteria integrated LinA gene into chromosomes as revealed by Southern blot analysis. In addition, protein produced by LinA gene was expressed at a high level in the cell as demonstrated by Western bolt analysis with polyclonal antibody against from S. paucimobilis UT26. In vitro analysis using GC Mass showed the LinA protein produced from transgenic Agrobacteria effectively degraded Υ -BHC into Υ -PCCH and 1,2,4-TCB compound which are less toxic then Υ -BHC .

      • KCI등재후보
      • KCI등재

        Betulinic Acid Ameliorat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ic Mice

        이정경,이현아,한지숙 한국생명과학회 2022 생명과학회지 Vol.32 No.8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betulinic acid can inhibit the activities of carbohydrate-digesting enzymes and reduce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mice with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Our results revealed that betulinic acid has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α-glucosidase and α-amylase activities. The half-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IC50) of betulinic acid were 12.83± 6.81 and 18.32±3.24 μM for α-glucosidase and α-amylase,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lower IC50 values and higher inhibitory activities than those of acarbose, an oral hypoglycemic drug. The increase in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in the betulinic acid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of diabetic and normal mice. Postprandial blood glucose levels were 23.22 ±1.1, 24.38±1.31, and 21.05±1.36 μM in the betulinic acid group compared to 24.64±1.7, 27.22±1.58, and 26.36±1.40 μM in the control group of diabetic mice at 30, 60 and 120 min, respectively. The area under the curv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the administration of betulinic acid in diabetic mice, however, it did not decrease more than that after acarbose administration. Our results showed that betulinic acid may be a potent inhibitor of carbohydrate-digesting enzymes and ameliorate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ic mice.

      • KCI등재

        폐쇄성 급성 심근 경색의 16 다중 검출 나선형 전산화 단층 촬영(16 Multidetector-row Helical CT) 소견: 토끼를 이용한 실험적 연구

        이정경,김유경,이선화,조민선,최연현 대한영상의학회 200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5 No.3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the findings and diagnostic accuracy of MDCT for diagnosing occlusive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rabbits. Materials and Methods: Myocardial infarction was induced in 14 rabbits. MDCT was performed in the early and delay phases at 1 minute and 6 minutes, respectively, after intravenous contrast injection.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fter scanning. The cardiac specimens were sliced and then stained with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TTC). The agreement in the transmural extent of infarction between the MDCT scans and the TTCstained specimens were analyzed by using kappa values. Result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as found in 9 of 14 rabbits on the TTC-stained specimens and MDCT. The infarcted myocardium was demonstrated as a low-attenuation area on the early phase and as a central low-attenuation area with rim-like enhancement along the endocardial and pericardial sides of the myocardial wall on the delay phase. There was excellent agreement in the scores of the transmural extent of myocardial infarction between the TTC-stained specimens and the early phase scan (kappa value = 0.882, p = 0.000), and there was fair to good agreement between the TTC-stained specimens and the delay phase scan (kappa value = 0.439, p = 0.000).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cardiac specimens revealed necrosis of myocardial cells in the central portion and granulation tissue along the endocardial and pericardial sides of the necrotic myocardium. Conclusion: 16 slice MDCT scan was useful for the dia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he early phase scan was more accurate than the delay phase scan for evaluating the transmural extent of myocardial infarcti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suggested that the low-attenuation area on the delay phase might correspond to necrotic myocardium and the enhanced area might correspond to granulation tissue. 목적: 폐쇄성 급성 심근 경색을 유발한 토끼에서 심근 경색의 MDCT 소견과 진단의 정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4마리의 토끼에서 관상동맥을 결찰하여, 폐쇄성 심근 경색을 유발하고 5-28시간 후에 정맥으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MDCT를 시행하였다. 조영제 주입으로부터 1분과 6분의 초기와 지연기에 심장의 단축에 가까운 횡단면 영상을 얻었다. 단층 촬영 후 토끼를 희생시켜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TTC)를 이용한 염색 표본을 만들고, MDCT와 TTC 표본의 육안 소견 간의 심근 경색의 전층 침범 여부에 대한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14마리의 토끼 중 9마리에서 결찰한 동맥 분포에 해당하는 부위에 경색이 발생하였다. 경색 심근은 MDCT 초기 영상에서 저음영으로 보였으며, 지연기 영상에서는 중앙의 저음영과 심막측 및 심내막측의 변연부에 선상의 조영증강으로 보였다. MDCT 소견과 TTC 표본의 육안 소견을 비교하였을 때, 초기 영상에서는 kappa 값 0.882, 지연기 영상에서는 0.439로 각각 최우수와 양호에서 우수의 일치도를 보였다. 병리 소견에서, TTC 표본에서 염색되지 않는 부위에는, 괴사한 심근이 중앙부에 위치하고, 육아조직이 심막측 및 심내막측의 변연부에 분포하였다. 결론: MDCT 영상은 폐쇄성 급성 심근 경색의 진단에 유용하며, 초기 영상이 지연기 영상보다 경색의 범위 및 전층 침범 여부의 진단에 있어 정확하다. 병리 소견을 MDCT 영상과 연관시켜보면, 지연기의 저음영부위는 괴사 심근과, 심막측 및 심내막측의 조영증강은 육아조직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