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보기술아키텍처 성과분석 모형을 활용한 정보화 수준평가 제도화 방안
정명주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08 행정논총 Vol.46 No.3
This study is about how to consolidate different but similar e-government evaluation institutions. First, the main concepts included in the evaluation institutions are conceptualized in depth. These include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enterprise architecture, and information level (e-government level). The structures of the institutions are determined after analyzing relevant acts. Information resource ws included in the concept of enterprise architecture (EA), and EA is, besides information resource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includes the business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s. EA management was settled as a criterion of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Next, the relationship among e-government indicators was analyzed, followed by a review of the current trends of the e-government measurement model through the results of relevant research.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proper for the e-government evaluation model can be displaced by the EA performance measurement model. This survey proposes that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implement e-government evaluation and, after that, the Prime Minister's Office use evaluation results. 2008년 현재 정부업무평가기본법에 의거한 정보화수준평가(기관역량평가에 포함), 전자정부법에 의거한 행정정보자원관리 성과분석,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정보기술 아키텍처 성과분석 등이 각 각 개별 법령에 의거하여 개발되었거나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부업무평가에서의 평가의 통합 원칙에 의거할 때, 이들 유사한 평가기능들이 정립될 필요가 있다는 데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각 각의 평가제도에 내포되어있는 정보자원, 정보자원 관리, 정보기술아키텍처, 정보기술아키텍처 관리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였다. 정립된 개념에 따라 이들 평가제도들이 근거하고 있는 법률을 검토하여 각 각의 상호관련구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자원은 정보기술아키텍처에 포함되는 요소로서 정보기술아키텍처는 정보자원을 포함한 조직 전체의 업무(business) 및 성과(performance)와의 관계까지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고, 정보기술아키텍처 관리는 정보자원관리활동의 기준이 되는 개념으로 정립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현행 정보화수준평가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2000년도 제도화된 이후 지금까지 크고 작은 변화를 겪어온 정보화수준평가체계 및 모형과 더불어 최근 전자정부 발전단계와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을 함께 검토한 결과 정보화수준평가모형은 정보기술아키텍처 성과분석 모형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부업무평가에서 정보화수준평가를 시행할 때, 정보화총괄기관인 행정안전부에서 체제이론적 관점에서 정보기술 아키텍처 정책 기획 및 평가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는 차원에서, 먼저 행정안전부에서 정보기술 아키텍처 성과분석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정부업무평가에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정지희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7
Mukdam Museum (默潭遺物館) at Yonghwasa Temple (龍華寺) in Damyang (潭陽) has more than 1,000 relics of the Buddhist Great Master Mukdam (默潭大師), including 150 artifacts. These craft works are the primary material that informs the Great Master Mukdam’s trace and high-quality royal artifacts that formed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Gojong (高宗)’s concubine Bohyeondang Jeong (寶賢堂 鄭氏) and Court lady Im (林尙宮). In addition, this is the important data that tells that the colonial situation had influence on Buddhist artifac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which coexisted with Korean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m. Thus, I intend to discuss the scientific value of the craft works Mukdam Museum, generally considering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s of King Gojong’s concubine Bohyeondang Jeong and Court lady Im, their royal votive offerings and the situation of Korean Buddhism that Japanese Buddhism encroached. As a result I found that “Your Highness Jeong” is King Gojong’s concubine Bohyeondang Jeong, her dates, the time taken title of nobility and the fact that the building called Bohyeondang was originally Yangsimdang (養 心堂) in Deoksugung Palace (德壽宮). Court lady Im was a courtesan of the same age as Bohyeondang Jeong. She was a mediator between Bohyeondang Jeong and Great Master Mukdam. Their offerings are a royal artifact with a high level of production, Buddhist flags, embroidery, ornaments on a Buddhist sedan chair and Kwan-yin tabernacle. Embroideries have Bohyeondang Jeong and Court lady Im’s Buddhist name-manhaengwha (萬行華), mandeokwha (萬德華)-and show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Kwan-yin tabernacle that court lady Im presented was made by the compromised techniques of the woodcraft of Korea and Japan. Thus Japanese Buddhism also affected Buddhist artifac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esides artifacts of Japanese style of Mukdam Museum are candlesticks with crane and tortoise shapes, hanging lanterns, a lid of incense burner with floral medallion pattern, Buddhist alar desks. Therefore artifacts in Mukdam Museum have a great significance in many ways - the relationship between Great Master Mukdam and the royal family, the influence of Japanese artifacts that reflected Buddhist trends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so on. 담양 龍華寺 묵담유물관에는 공예품 150여 점을 비롯하여 근현대 불교계에 큰 업적 을 남긴 默潭大師의 유품 1,000여 점이 소장되어 있다. 묵담유물관 공예품은 묵담대사 의 행적을 알려주는 자료인 동시에 고종 후궁 寶賢堂 鄭氏(1883~1954년 이전)와 林尙 宮(1883~?)과의 관계 속에서 시주된 수준 높은 왕실 공예품이 포함되어 있다.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이 시주한 왕실 시주품은 조선 불교와 일본 불교가 공존했던 일제강점기의 시대적 상황이 공예품에도 영향을 미친 사실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묵담유물관 왕실 시주 공예품은 아직 학계에 소개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는 묵담대사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 보현당 정씨, 임상궁의 인물 분석과 시주품, 일본 불교 가 잠식한 일제강점기 조선 불교계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묵담유물관의 왕실 공예품에 대한 분석과 학술적 가치를 도출하고자 했다. 우선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에 대한 접근은 이를 뒷받침해 줄 사료가 부족하여 묵담유 물관 소장품을 기반으로 역추적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그 결과 담양 용화사에 ‘정씨마마’로 전하던 인물이 고종의 후궁인 보현당 정씨임을 밝히고, 생몰년 추정, 당호와 귀인 봉작시기, 거처했던 보현당이 원래는 덕수궁 養心堂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임상 궁은 보현당 정씨와 동갑내기 궁인으로 천주교 집안 출신이었던 보현당 정씨와 묵담대사 를 연결해준 매개자 역할을 하였으며, 1954년경 보현당 정씨 사후에도 보현당 정씨의 私家와 계속 왕래할 정도로 각별한 사이였다. 이들의 시주품은 수준 높은 왕실 공예품으로 南無當來佛敎主彌勒尊佛幡, 佛名刺繡 簇子, 牧丹紋奉獻三寶前刺繡, 佛輦裝飾, 觀音聖母佛龕 등이다. 자수품에서 萬行華, 萬 德華라는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의 법명이 확인되고 전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반면에 임상궁이 시주한 관음성모불감은 조선식과 일본식 기법이 공존하고 있어 일제강점기 불교 공예품에도 일본의 영향이 투영되었음을 알려준다. 이밖에 일본식 공예품으로는 학구형촛대, 조등롱, 보상화문투각향로 뚜껑, 경상 등이 있다. 그러므로 묵담유물관 왕실 시주 공예품은 묵담대사와 왕실과의 관계, 보현당 정씨와 임상궁이란 인물에 대한 조명, 당시 불교계 동향이 반영된 일본 공예품의 영향 등 여러 측면에서 공예사적 의의가 크다.
정두호(Duho JUNG)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4 泰東古典硏究 Vol.52 No.-
이 논문은 정명론(正名論)의 ‘-다움’을 활용하여 진정성, 순수성을 강요하는 억압적 행위를 ‘정명론의 역설’이라 이름하고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우리 사회는 피해자, 특히 성범죄 피해자에게 ‘피해자다움’을 강요하는 등, 기계적인 명실상부를 추구하는 듯한 모습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명실상부는 오히려 공감과 연대를 불가능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정명론의 역설’이라고 할 수 있다. ‘피해자다움’은 맥락과 상황에 따라 규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정명론 또한 맥락과 상황에 맞는 명칭과 실상의 부합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맥락 및 상황에 따른 명실상부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진정한 피해자다움이란 무엇인가라는 억압을 넘어 연대와 공감을 위한 정명론은 어떠한 형태일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argue against the oppressive behavior of using Zhengming's ‘-like’ to enforce authenticity and purity, which we call the ‘Paradox of Zhengming’. Currently, our society seems to be pursuing a mechanical match name and reality, forcing victims, especially victims of sexual crimes, to be victim-like. However, this is a paradox of Zhengming in that it makes empathy and solidarity impossible. Since ‘victim-like’ must be defined according to context and situation, there is room for Zhengming's theory to be interpreted as a contextualized match name and reality.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uch a match name and reality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situation, and through this, it aims to reveal what a Zhengming theory for solidarity and empathy might look like beyond the oppression of what true victim-like is.
정영수 ( Young-su Jeong ) 한국공자학회 2018 공자학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meaning and function of Qing(情) in Xunzi's philosophy. First, Qing(情) means that the potential functions of the senses are actually active. Qing(情) is physical activities that enable human experience through sensory activity. Next, Qing(情) constantly interacts with the world through ganying(感應). Qing(情) is not a emotion that arises from the inner cause of the subject, but the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 interaction of Qing(情), humans become aware of their own circumstances and situations. Finally, by learning and acquiring li(禮), humans can embody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 emotions in accordance with social situations. li(禮) is the modes of behavior and moral codes necessary for humans to live their lives in society. Human beings are able to conduct moral behavi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rough the embodying of emotional coordination.
셀룰로오스 계 고분자를 이용한 정삼투막의 제조 및 특성
정보름,김종학,김범식,박유인,송두현,김인철 한국막학회 2010 멤브레인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셀룰로오스 계 고분자를 이용한 정삼투(FO) 막을 제조하고 각각의 고분자 및 첨가제에 따른 성능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와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TA)를 기반으로 상전환법을 통하여 정삼투막을 제조하고 가압조건과 정삼투 조건하에서 투과유량 및 염제거율을 비교하였다. CA 정삼투막은 용매의 증발 및 annealing 수행 시간에 따라 막의 성능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CTA 정삼투막의 경우에는 annealing보다는 첨가제를 활용하여 성능의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또한 CTA 정삼투막의 정삼투 투과유량은 4.46 L/m2hr였으나 CA/CTA 정삼투막의 경우에는 8.89 L/m2hr로, 단일 고분자를 사용하기 보다는 CTA에 CA를 혼합하여 막을 제조하는 것이 정삼투 투과유량 증가에 보다 효율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using a variety of cellulose-based polymers an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difference depending on each of the polymers and additives. Forward osmosis membranes based on cellulose acetate (CA) and cellulose triacetate (CTA) were prepared through phase inversion. The performance of FO membranes developed, such as flux and salt rejection, was compared under the osmotically- and pressure-driven conditions. In CA FO membranes, the execution time of solvent evaporation and membrane annealing induced the change in membrane performance. But the performance of CTA FO membrane was improved by using additives rather than annealing. Moreover, the flux of CTA FO membrane was 4.46 L/m2hr but that of CA/CTA FO membrane was 8.89 L/m2hr in FO mode. The CTA FO membrane with blending CA was more efficient to increase FO permeate flow rather than using a single polymer membrane.
하수재이용 FO-RO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유기물 특성 및 생분해도 분석
류준희,정재현,박기영,권지향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6 춘계학술연구발표회 Vol.2016 No.-
최근에 기존 하수재이용 및 해수담수화에 사용되고 있던 역삼투 공정을 개선하여 전단의 까다로운 전처리를 정삼투 공정을 이용하여 대체하는 정삼투-역삼투 융합공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삼투-역삼투 융합공정이 적용되는 하수재이용 또는 해수담수화 공정은 모두 원수로 하수 또는 하수처리수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정삼투 농축수는 기존 역삼투 공정에서 발생하는 농축수와는 그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농축수의 특성 분석 및 처리 방법의 개발이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삼투-역삼투 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삼투 농축수의 처리를 위해 생물학적 처리를 제안하고, 이를 위해 정삼투 농축수의 유기물 특성과 생분해도를 분석하였다. 실험실 규모 정삼투 장치를 이용하여 정삼투 농축수를 생산하고 COD, BOD, TN 및 TP를 분석하여 방류수 수질기준과 비교하고, 농축수 내의 유기물 분포를 분자량 분획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회수율 50%로 정삼투 공정을 운전하였을 때에는, COD 38.55, BOD 7.98, TN 27.80, TP 0.46 mg/L의 값을 보이고 COD와 BOD를 제외한 TN, TP 항목은 방류수 수질 기준을 초과하였다. 또한 이때의 생분해도 값은 0.24로 하수 원수의 생분해도 값보다 약 80% 이상 감소하였다.
폴리술폰과 폴리아미드 경계층에 형성된 폴리실록산을 이용한 정삼투 복합 박막의 유량 향상
정보람,김노원 한국막학회 2016 멤브레인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폴리술폰층 표면에 계면 중합 반응을 시켜 정삼투 복합 박막을 얻는 방법에 있어서, 지지층인 폴 리술폰층과 활성층인 폴리아미드층 사이에 테트라에톡시실란 단량체의 졸-젤 반응을 통하여 고분자를 합성함으로써 친수성 경계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제조법을 제시하였다. 폴리술폰층은 막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아주 얇은 부직포를 사 용하였다. 테트라에톡시실란의 졸-젤 반응으로 형성된 고분자 경계층이 폴리술폰층과 폴리아미드층 사이에 형성된 정삼투 분 리막은 친수화도, 유량 향상 등 정삼투 분리막 투과 특성에 있어 향상된 결과를 보여 주었다. 폴리아미드 계면 중합과 테트라 에톡시실란 졸-젤 중합의 순서를 변화시킴으로써 표면 구조 특성 및 정삼투 투과 특성이 크게 달라짐을 볼 수 있었다. 정삼투 막의 투과 특성은 실험실 용량의 정삼투 평가 장치를 통하여, 정삼투 분리막 내 폴리실록산의 분포와 구조는 FE-SEM과 EDAX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PS_PA_TEOS막의 경우 유량에 있어 79.2 LMH로 현격한 증가가 있었으나 염의 역확산 속도 역시 7.10 GMH로 증가하였다. 반면 PS_TEOS_PA막의 경우 PS_PA막에 비해 염의 역확산 속도는 1.60 GMH로 유지되면서 유량이 54.1 LMH로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work, novel thin film composite (TFC)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are developed via interfacial polymerization on the polysulfone (PS) substrate, using TEOS as the a sol-gel reagent to form hydrophilic interlayer polymer between PS and polyamide (PA). The PS substrate was cast on a very thin polyester nonwoven to reduce membrane resistance. With the incorporation of TEOS (tetraethoxy silane) polymer in the interface between PS and PA, the formed TFC FO membrane exhibits better hydrophilicity and improved water flux, and therefore superior membrane performance. By changing the polymerization sequence of PA interfacial polymerization and TEOS sol-gel condensation, the surface properties and performance of FO membranes are changed significantly. The permeability of FO membranes were estimated using the bench-scale FO test equipment. The distribution of the polysiloxane on composite membrane and morphology are also studied with FE-SEM and EDAX. The PS_PA_TEOS membrane showed highly enhanced water flux (79.2 LMH) but reverse salt flux (RSF) value (7.10 GMH) also increased. However, the flux of PS_TEOS_PA membrane increased moderately (54.1 LMH) without increasing RSF value (1.60 GMH) compare with PS_PA membrane.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기초한 군집유형별 차이연구
정솔뫼(Jeong, Sol-mwe),선혜연(Seon, Hye-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 하고, 각 군집에 따라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6월에 4년제 대학 5개교의 재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정서· 성격적 진로문제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 진로결정수준검사, 진로준비행동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군집분석과 다변량분산분석,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군집을 확인하였다. 군집 1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보다 낮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높은 이상적 유형, 군집 2는 정서·성격적 진로문제가 평균 보다 높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평균보다 낮은 총체적 문제형, 군집 3은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이 모두 평균보다 높은 관계유능-진로문제형으로 명명하였 다. 또한 각 군집별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수준은 이상적 유형이 총체적 문제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에 비해 높았고, 진로준비행동은 이상적 유형과 관계유능-진로문제형이 총체적 문제형에 비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정서·성격적 진로문제와 대인관계 유능성을 기준으로 군집 분류가 가능하며, 각 군집에 따라 차별적 진로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ifferent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s among clusters formed depending on the level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2 college school students. And two-stage cluste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and a posteriori test were carried out.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e presence of three clusters. The first of these was Cluster 1, characterized by low scores o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high scores on interpersonal competence. It was termed the “Ideal type”. Second was Cluster 2, characterized by high scores for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low score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ermed the “Overall problem type”. Third was Cluster 3, characterized by high scores on emotional and personality-related career decision making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name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career problem type”. Second, the MANOVA result indicated that the three groups significantly differ in their scores across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정보름,김종학,김범식,박유인,송두현,김인철 한국막학회 2010 멤브레인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지지체에 따른 정삼투막의 성능을 비교 빛 평가하는 것이다. 계변 중합을 통하여 소수성 지지체인 폴리술폰(PSf)과 상대적으로 친수성 지지체인 폴리에테르술폰(PES)의 표변에 폴리아미드 활성층을 갖는 정삼투막을 제조하여 투과유량과 역확산을 비교하였다. PSf 정삼투막과 PES 정삼투막의 투과유량은 4.36 L/m2hr와 17.8 L/m2hr으로 PES를 지지체로 하는 정삼투막이 투과성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지지체의 친수성과 정삼투 공정에서의 투과성능 간에 관련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의 두께가 앓아질수록 정삼투 공정에서 막의 투과유량은 증가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performances of forward osmosis (FO) membranes using different materials. The FO membranes were synthesized using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on hydrophobic polysulfone (PSf) and relatively hydrophilic polyethersulfone (PES) supports. The FO performance such as flux and back diffusion was measured. The resulting fluxes of PSf and PES FO membranes were 4.36 L/m2hr and 17.8 L/m2hr, respectively. The flux of the PES FO membran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Sf FO membrane. The results indicated that hydrophillictity of the support membrane is important for increasing flux in FO process. Moreover, with decreasing the support layer thickness, flux increased considerably.
정보통신기술(ICT) 자본재가 여성 고용변화에 미친 영향
정재현 ( Chung Jae-hyu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1 여성경제연구 Vol.17 No.4
1990년대 이후 정보통신기술은 대중들에게 대표적인 신기술로 인식되었다. 여기서는 신기술의 대표인 정보통신기술이 여성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신기술을 생산과정에 도입하거나 각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기술을 체화한 자본재의 가격이나 사용자 비용이 충분히 하락해야 한다. 다른 생산요소에 비해 그 자본재 가격이 충분히 하락하면 생산요소 중 하나인 노동을 대체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다른 한편 자본재 가격 하락으로 비용이 감소하여 생산가격이 하락하거나 기업의 이윤 증가로 이어진다. 가격 하락과 이윤 증가는 최종수요를 증가시켜 생산과 고용을 늘리는 규모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대체효과와 규모효과를 고려하여 1990년 이후 산업별로 정보통신기술 자본재가 여성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기술 자본재의 물가지수는 1990년에 비해 2017년에 1/5 수준으로 하락하여 정보통신기술 자본재 확산의 기반을 만들었다. 이 시기에 정보통신기술 자본재의 사용자 비용이 1% 감소할 때 여성 취업자는 0.37% 증가하였다. 이런 여성취업자 변화에서 대체효과는 1998년에서 2008년 사이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건설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그리고 공공행정 및 국방은 유의한 양의 대체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여성 취업자 변화에서 규모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 및 사회복지업에서만 가격변화에 따른 유의한 양의 규모효과만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the 1990s,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new technology by the public.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CT on women's employment. In order to introduce a new technology into the production process or use it in each industry, the price of capital goods or user costs that embed the technology must be sufficiently reduced. If the price of capital goods falls sufficiently compared to other factors of production, the capital goods must replace labor, as one of the factors of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lower capital goods prices reduce costs, leading to lower prices or higher corporate profits. Falling prices and increasing profits can lead to scale effects that increase production and employment by increasing final dema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CT capital goods on women’s employment by industry after 1990, taking into account the substitution effect and scale effect. The price index of ICT capital goods fell to 1/5 in 2017 compared to 1990,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pread of ICT capital goods. When the user cost of ICT capital goods decreased by 1%, the women’s employment increased by 0.37%. It was analyzed that the substitution effect in this change of women’s empl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between 1998 and 2008. By industry, a significant amount of substitution effect was confirmed for Manufacturing, Electricity, gas and water supply,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nancial and insurance activit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defense. However, the scale effect could not b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women’s employment. By industry, only Human health and social work activities were able to confirm only a significant scale effects due to price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