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온기 멜론 시설재배 시 자재별 차광 효과

        이재한,이중섭,권준국,여경환,방지웅,김진현,이충근,박경섭,명동주,Lee, Jae Han,Lee, Jung Sup,Kwon, Joon Kook,Yeo, Kyung Hwan,Bang, Ji Woong,Kim, Jin Hyun,Lee, Choung Keun,Park, Kyoung Sub,Myung, Dong Ju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0 No.4

        고온기 시설멜론 재배 시 저비용 고효율의 개발하기 위하여 차광 자재별 이용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차광처리에 따른평균온도는 무차광이 36.6℃, 차광도포제는 34.5℃, 백색차광망은 34℃로 조사되었다. 도포제 살포 직후에 투광률이 무차광에 비해서 차광 도포제 처리구는 69%, 백색차광망 처리구는 75% 이었으나, 40일 및 80일 후 차광 도포제 처리구의 투광률이 각각 92% 및 98%로 높아져 처리된 차광도포제가 서서히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백색차광망 처리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투광률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생육에 있어 엽수는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고, 초장은 무차광에 비해 백색차광망과 차광도포제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엽중, 생체중, 건물중의 경우 차광 처리구에 비해서 무차광에서 정식 42일 후에는 더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총 상품수량은 무차광에 비해서 백색차광망과 차광도포제가 각각 6% 및 5% 증수되었다. 따라서 고온기 간편하게 온도를 낮출수 있는 방법으로 차광도포제는 효과적이나 서서히 제거되기 때문에 재배 시기를 고려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ght shield materials when melon grown inside a plastic greenhouse in summer season. The average temperatures were 36.6℃, 34.5℃ and 34.0℃ respectively for the control(non-shield), coating agent, and the white net. The light transmittances were 69% and 75%, respectively inside the greenhouse treated with the coating agent and white net immediately after applicants, compared with that inside the control greenhouse. At the 40 and 80 days after treatment, the light transmittances for the coating agent were 92% and 98%, respectively, indicating it was slowly decomposed and removed, but there was no change in the transmittance for the white net. While the leaf number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the plant height was higher in the white net and shading agent than in control. The weight of the leaves, fresh-weight and dry-weight were no different from that of shading, but it became heavier in the later stages. The marketable fruit yield was increased by 6% for white nets and 5% for the coating agent compared to control,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fore, coating agent is considered as an effective method to lower temperature during high temperature perio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it in consideration of cultivation period, because the coating agent is gradually removed.

      • KCI등재

        딸기재배 시 연소식 탄산가스 발생기 이용 효과 구명

        이재한(Jae Han Lee),이중섭(Jung Sup Lee),박경섭(Kyoung Sub Park),권준국(Joon Kook Kwon),김진현(Jin Hyun Kim),이동수(Dong Soo Lee),여경환(Kyung Hwan Yeo)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는 저온기 시설 딸기재배에서 연소식 탄산가스 발생기를 이용한 재배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설내부 일중 탄산가스 농도는 6시에서 11시 사이에 대조구가 210~600μmol·mol-1 이었고, 탄산가스 시용구는 800~1,100μmol·mol-1 이었다. 그 외 시각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온실내 온도는 연소방식 탄산가스 시용구는 오전 6시 ~ 10시 대조구에 비해서 1~3oC 높았다. 11시 이후에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초장, 엽장, 엽폭, 관부직경,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상품수량은 대조구 3,612kg에 비해서 탄산가스 공급하는 것이 4,131kg으로 519kg 더 무거웠으며 탄산가스 발생기에서 총수량이 대조구에 비해서 17%가 증수 되었다.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using burn-type CO₂ generators in greenhouse for cultivation ‘Seolhyang’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during winter season. The concentration of CO₂ was 200 to 600 μmol·mol-1 in the control, and 800 to 1,100 μmol·mol<SUP>-1</SUP> in using burn-type CO₂ generator between 6 and 11 hours. At other times, it was observed that at similar concentration in the control and using burn-type CO₂ generator. Measured greenhouse air temperature inside the of using burn-type CO₂ generator was 2 ~ 3℃ higher than the control at 6 ~ 10 am. There was no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after 11 o’clock.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root diamete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e marketable yield (kg/10a) of using burn-type generator were 4,131 kg, which was 519 kg higher than the control. Therefore, the total fruit yields increased 17% compared to the control.

      • 황사(미세먼지)가 시설재배에 미치는 영향과 피해 경감 기술

        이재한 ( Jae Han Lee ),국준국 ( Joon Kook Kwon ),이중섭 ( Jung Sup Lee ),방지웅 ( Jiwoong Bang ),김진현 ( Jin Hyun Kim ),이동수 ( Dong Soo Lee ),김혜민 ( Hye Min Kim ),홍은미 ( Eun Mi Hong ),이승재 ( Seung Jae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9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9 No.-

        우리나라로 날아오는 황사의 근원지는 중국, 고비사막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3월∼5월까지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여건외에도 산업화,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공장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발생하는 공해물질이 공기와 반응하여 농작물 재배시설의 외부 피복재에 부착되어 일조량을 감소시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TSP, PM으로 구분하고 있다. 지금까지 농업 분야에서는 대부분 황사, 분진 등에 관해서는 연구를 수행한바 있으나, 미세먼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미세먼지는 연중 발생빈도가 높게 증가하고 있어 농업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2000년 12월에서 2010년 3월 일조량은 지난 30년 평균보다 20% 이상 감소하였으며, 이는 농산물의 생산량 감소로 이어져 가격이 폭등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및 황사 등에 의한 시설재배 작물의 생육저하, 수량감소 수준과 저일조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세척기술, 보광기술 등에 대하여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The source of the yellow dust(micro dust) which is flying to korea is known as the Gobi desert in China, and it is mainly occurring from March to May. Pollutants from the exhaust gases when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oil, factory and automobiles reacts with air and they attached to the outer covering material of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to reduce the amount of sunshine. The dust is classified into TSP and PM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So far, the researches about yellow dust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field of agriculture,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micro dust. In recent years, the occurrence frequency of micro dust increases year by year, so it is spreading beyond agriculture and social problems. From December 2000 to March 2010, the amount of sunshine has decreased by more than 20% from the average of last 30 years and this has caused many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an increase in pric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introduce the cleaning technology of outer covering materials and supplemental lighting technology to prevent the decrease of yield and growth of plant by micro dust.

      • 미세먼지로 인한 온실 피복재 투과율 저하 실험모델 개발

        이종혁 ( Jonghyuk Lee ),정영준 ( Youngjoon Jeong ),이상익 ( Sangik Lee ),서병훈 ( Byunghun Seo ),김동수 ( Dongsu Kim ),홍은미 ( Eunmi Hong ),이승재 ( Seungjae Lee ),이재한 ( Jaehan Lee ),최원 ( Won Cho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최근 국내외로 급속한 산업화로 인해 황사 및 미세먼지 발생 횟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세먼지는 비닐온실의 투과율을 저하시켜 시설 작물의 생육 환경을 저해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온실 피복재 투과율 저하도를 구명하고, 온습도 환경에 따른 미세먼지 흡착율을 평가하기 위해 축소실험모델을 개발하였다. 모델은 1개의 미세먼지 발생환경 재현 챔버와 미세먼지 발생장치, 온습도 및 미세먼지 측정 모니터링 센서를 포함한 컨트롤러로 구성되었다. 미세먼지 발생장치의 시료 투입구에 공압펌프를 활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미세입자가 주입되며, 정량 투입을 위한 물리적 장치가 고안되었다. 또한 미세먼지 발생장치 내 싸이클론 발생기와 필터를 설치하여 챔버 내 미세먼지의 입경별 투입을 고려하였다. 미세먼지 시료는 입경 분포가 0.97 - 22.00 ㎛로 이루어진 Arizona test dust (A1 Ultrafine)을 사용하였으며, 온실 설계 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폴리에틸렌 (PE) 피복재를 대상으로 투과율 저하도를 분석하였다. 챔버내 온·습도 환경을 조절하며 미세먼지 흡착율에 따른 비닐시편의 투과율 저하도를 비교하였다.

      • 고속로 안전성 모의시험시설, STELLA의 구축

        이형연(Hyeong-Yeon Lee),이재한(Jae-Han Lee),이태호(Tae-Ho Lee),어재혁(Jae-Huyk Eoh),김태준(Tae-Joon Kim),이용범(Yong-Bum Lee)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4

        Overall introduction of the 'STELLA'(Sodium Integral Effect Test Loop for Safety Simulation and Assessment), a large scale sodium test facility for the performance validation tests of heat exchangers and mechanical pump to be used in demonstration fast reactor has been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the STELLA facility is composed of two phases. In phase I of the STELLA project, performance validation tests and validation of the computer codes of the three heat exchangers (IHX, DHX, AHX) are to be carried out. In addition, performance tests of mechanical pump are to be conducted. In phase Ⅱ of the STELLA project, performance validation tests on passive decay heat removal circuit (PDRC) characteristics and integral effect tests due to various accident scenarios (e.g. loss of PHTS pump flowrate and loss of steam generator feedwater coolant) are to be carried out. In the phase Ⅱ work, reactor vessel (RV) along with main components within RV and PDRC are to be installed, and the STELLA facility will be at the end used for a safety validation of a demonstration fast reactor. In this paper, high temperature design aspects and design evaluations of sodium test facilities operating at creep regime of around 550℃ has been described.

      • KCI등재

        딸기 육묘시설에서 차광도포제 이용 효과

        이재한(Jae Han Lee),권준국(Joon Kook Kwon),함영재(Young Jae Ham),윤무룡(Moo Ryong Yun),박경섭(Kyoung Sub Park),최효길(Hyo Gil Choi),여경환(Kyung Hwan Yeo),이중섭(Jung Sup Lee),벡조드(Bekhzod Khoshimkhujaev)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6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5 No.4

        고온기 시설딸기 재배시 저비용 고효율의 냉방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차광도포제 이용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차광에 따른 일사량(W/㎡)을 조사한 결과 무차광에 비해서는 차광 15% 도포구는 14~17%, 차광 35% 도포구는 33~37%, 흑색차광망은 39~44% 감소하였다. 그리고 투광비율은 맑은 날에 비해서 비오는 날차광 15%, 35%도포구에서 조금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차광처리에 의한 시설내부 온도는 차광 15% 도포구는 38.4℃, 차광 35% 도포구 36.5℃이었는데 흑색차광막은 35.1℃이었다. 흑색차광망에 비해서 차광 15% 35% 도포구는 각각 3.3℃, 1.9℃더 높았다. 차광처리에 딸기의 관부직경은 흑색차광막이 7.5㎜, 차광 35% 도포구 8.6㎜, 차광 15% 도포구 8.3㎜로 조사되었다. 딸기의 지상부 생체중은 차광 35% 도포구 7.8g, 차광 15% 도포구 6.7g, 흑색차광막이 5.8g이었다. 그리고 지하부 생체중은 차광 35% 도포구 4.3g, 차광 15% 도포구 4.1g, 흑색차광막이 2.7g으로 차광 35% 도포구에서 가장 무거웠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white shading agent for reduction of greenhouse air temperature and to develop cost-effective cooling strategies for strawberry seedling production during hot seasons.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solar radiation (W/㎡) was reduced by 14~17% and 33~37% for 15% and 35% white wash shading treatments, respectively, in black shading net treatment solar radiation was reduced by 39~44% compared to non-shaded treatment. Measured greenhouse air temperatures in 15% and 35% white wash shading treatments were 38.4℃ and 36.5℃, respectively, whereas in black shading net covered greenhouses air temperature was 35.1℃, thereby 35% and 15% shading treatments showed 3.3 and 1.9℃ higher air temperatures than black net shading treatment. Crown diameter of strawberry plants in black net shading treatment was 7.5㎜, and in 15% and 35% white wash shading treatments were 8.6㎜ and 8.3㎜, respectively. Strawberry transplants grown in 35% white wash shading treatment produced the highest above ground fresh weight(7.8g), followed by 15% white wash shading(6.7g) and black net shading treatments(5.8g). Also, both 15% and 35% white wash shading treatments produced higher root fresh weight(4.1g and 4.3g) compare to black net shading treatments(2.7g).

      • 대학생의 취업역량 중요도 인식이 취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재한 ( Jae Han Lee ),이호 ( Ho Lee ),장만근 ( Man Guen Jang ),장석인 ( Sug-in Chang ) 산업진흥원 2016 산업진흥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역량 중요도 인식이 취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취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취업역량인식 요소는 자격증(p<.05, β =.247)과 취업관련경험(p<.1, β =.240)이었으며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취업역량인식 요소 또한 자격증(p<.01, β =.349), 취업관련경험(p<.1, β =.22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취업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력이나 성적보다는 자격증 획득과 취업관련 경험을 쌓도록 강조하여 구직의욕을 북돋아주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대학 내 취업지원센터에서 이력서 작성법 등 취업교육을 받았던 경우 취업관련 경험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취업의지가 높았고, 취업 준비자의 자기계발 수준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역량 중요도 인식이 취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취업역량 중 취업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요인의 중요도를 판별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한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perception of job competence on job-seeking attitud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certificate and job-related experience significantly affected will of getting a job and self-efficiency. It is suggested tha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getting a certificate and doing job-related practice is more effective rather than getting higher level of education or good grade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attitude. Also, if students took job-realated education in university job support center, their importance perception of job-related experience, will of getting a job, degree of self-development were higher.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verifying the importance and effectiveness of job competence in enhancing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