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능화의 한국 양명학 연구

        이우진(Lee, Woo-Jin),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2

        이 논문은 ‘한국 양명학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로서 이능화(李能和)에 대한 탐구이다. 먼저, 이능화가 양명학이 어떤 측면에서 “주자학에 대항할 수 있는 가장 서구적인(=서구화할 수 있는) 사상 유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그 연장선에서 ‘주자학을 서구근대화의 장애물’로 판단하게 된 이유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이능화의 조선유계지양명학파 에서 나타난 한국 양명학의 연구 관점이나 자료수집의 폭이 어떤 것이며, 그것이 이후 한국 양명학 연구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구체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이능화는 조선을 ‘사상속박시대’라고 비난할 정도로 오직 주자학만을 유일무이한 학문으로 존숭하였던 조선 유교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지녔다. 그에 따르면, 조선의 교조주의는 근본적으로 사대주의(事大主義)에 기인한 것이었다. 또한 그러한 교조주의는 당파의 분열을 발생시켜 유교의 특장점인 정치적 · 윤리적인 사회철학적 성격을 상실케 되었다고 파악한다. 반면 이능화는 양명학을 시대변혁의 방향에 새로운 가능성을 지닌 사상으로 파악한 듯 하다. ‘전근대적인 주자학’을 탈피하여 당시의 역사적 사명인 ‘서구근대화를 이룰 수 있는 사상’으로 양명학을 바라보았던 것으로 유추된다. 이는 일본의 서구 근대화가 양명학이라는 이념적 기반에 이루어졌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능화는 『조선유계지양명학파(朝鮮儒界之陽明學派)』에서 조선 양명학파를 학문적인 측면이 아니라 정치적인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그리고 그는 한국 양명학파를 성립시킨 인물로서 정제두로 제시하였으며, 남언경(南彦經)을 조선 최초의 양명학자로서 규정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의 양명학 전래시기를 1567년 전후로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그의 견해는 이후의 한국 양명학 연구자들에게도 고스란히 이어졌다. 특히 이능화는 조선의 양명학 배척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논증하였다. 이후 그의 한국 양명학 연구는 다카하시 도오루(高橋亨)에게 이어져 식민사관으로 재생산된다. 하지만 윤남한(尹南漢)과 유명종(劉明種)에 이르면 다카하시 도오루가 보여준 식민사관을 넘어서게 되고, 이능화가 마련한 인물 · 시각 · 자료 · 사건들을 그들의 한국 양명학 연구에서 근간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 점에서 이능화는 ‘한국 양명학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이라고 지칭해도 무리가 되지 않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on Lee Nung-Hwa as ‘the drafter for research on Korean Yangmyeonghak(陽明學)’. First, we examined that why Lee considered Yangmyeonghak as most modern thought. In addition to this, We investigated that why he thought JuJahak(朱子學) as the obstacle of making Josun modern westernization. Second, we investigated Lee’s Josunyukyejiyangmyeonghakpa(朝鮮儒界之陽明學派) for seeking his research perspective and scope of data collection about Korean Yangmyeonghak. And, we examined in particular that what Lee had influenced on researchers on Korean Yangmyeonghak since he published this Josunyukyejiyangmyeonghakpa . Lee described Josun(朝鮮) as ‘the spirit bondage era.’ He had a very critical stance on the Josun Confucianism, because it only acknowledged JuJahak. At that time, any other thoughts except JuJahak were regarded as unorthodox. According to him, Jujahak dogmatism was due to toadyism basically. Jujahak dogmatism had generated multitudinous partisan brawls from the earliest days of Josun. So, the confucianim lost its advantages of ethical and political philosophy. But, Lee looked at Yangmyeonghak positively. He considered Yangmyeonghak as most modern thought. Because Yangmyeonghak w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the Meiji Restoration. Lee organized the Korean Yangmyeonghak school at the political side, not the academic side in 『Josunyukyejiyangmyeonghakpa』. Lee described Jeongjedu(鄭齊斗) as the feature of establish Korean Yangmyeonghak school, and identified Namunkyung(南彦經) as the first Yangmyeonghak scholar inf Josun. And, Lee estimated the Yangmyeonghak transmission time as around 1567. Many researchers followed these his views. But, Lee analyzed the Korean Yangmyeonghak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 history. His perspective of colonial history was continued to Takahasi torou(高橋亨), but that perstpective had been refused by Yunnahan(尹南漢) and Yumyeongjong(劉明宗). However, people, data, and events selected by Lee had been accepted by almost all researchers. In that point, we identify Lee as the drafter for research on Korean Yangmyeonghak.

      • J2EE 플랫폼에서의 개념적 컴포넌트 모델링 및 컴포넌트 생성 지원 도구 개발

        이우진,김민정,정양재,윤석진,최연준,Lee, U-Jin,Kim, Min-Jeong,Jeong, Yang-Jae,Yun, Seok-Jin,Choe, Yeon-J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8 No.6

        소프트웨어 산업이 급속하게 발전해감에 따라 정보 기술 업체간 경쟁이 더욱 심화되어 소프트웨어 재사용성, 적시성, 유지 보수성 등이 업체의 생명력으로 대두되면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기술이 점차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몇몇 컴포넌트 생성 지원 도구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컴포넌트의 식별, 모델링, 상세 설계, 코드 생성, 전개, 시험 등 컴포넌트 생성 전 과정을 밀접히 연계하여 지원하는 도구가 드물다. 또한, 특정 플랫폼에 의존적인 소규모 컴포넌트 생성에 중점을 두고 있어 사용자 관점의 다양한 규모의 컴포넌트 생성에는 제약이 따른다. 이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생성에 연관된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컴포넌트 모델링 및 생성 지원 도구의 설계와 프로토타입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컴포넌트 모델링은 영역 고유의 비즈니스 로직의 재사용 측면에서 컴포넌트 플랫폼 아키텍쳐에 관계없이 개념적인 컴포넌트의 식별 및 모델링을 지원한다. 상세설계 및 코드 생성 부분은 일차적으로 J2EE 플랫폼 아키텍쳐에 의존적으로 지원되며 설계 모델과 소스 코드의 일관성을 동적으로 유지시키는 Round-trip Engineering 기능을 지원한다. As software industry is rapidly evolving, IT business enterprises have been meeting with cutthroat competition in developing software. As software reusability, time to market, and maintainability are considered as a competitive edge, software component techniques have latel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Currently, although there are some supporting tools for developing software components, they do not have tight connections among component developing processes such as component identification, component modeling, detailed design, code generation, deployment, and testing. And it is restrictive for users to construct various scales of components on component platform architecture. In this paper, we provide an implementation and a design of a supporting tool for constructing platform-independent software components, which covers all development lifecycles of components. In the phase of component modeling, platform independent, conceptual components are identified from domain model information in the view of system partitioning. Detail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mponent are performed on the J2EE platform architecture. And the changes on the design model and source codes are consistently managed by using round-trip techniques.

      • 일정변헝률 및 표준압밀시험을 이용한 해성점토의 압밀특성 연구

        이우진,임형덕,이원제,Lee, U-Jin,Im, Hyeong-Deok,Lee, Won-Je 한국지반공학회 1998 지반 : 한국지반공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남해안 해성점토의 일정변형률 압밀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표준압밀시첩과 변형률 속도가 다른 일정변형율 압밀시험을 수행하고 이들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표준압밀시험 및 일정변형율 시험에서 선행압밀하중을 산정하기 위하여 여러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변형률 속도가 응력-변형뮬 관계, 간극수압, 그리고 선행압밀 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석결과에 의하면 압밀곡선의 분포와 선행압밀하중비($a_2=\sigma'_{pCRS}/\sigma'_{pConv}$)는 변형률 속도의 영향을 받지만, 정규압 밀구간의 압축지수는 상대적으로 변형률 속도의 크기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성점토의 선행압밀하중비는 변형률 속도의 대수축척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의 변형률 속도에서 평균적으로 1.11~1.30의 분포를 보였다. 일정변형률 압밀시험에서 간극수압비는 변형플 속도가$6.67\times10^{-4}$ %sec일 때를 제외하고는 6.0%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압밀구간의 압축지수, 압밀계수와 투수계수는 각각 0.59~0.95, $0.56\times10^{-3}~3.0\times10^{-3} cm^2/sec,\; 그리고 \;2.0\times10^4~7.0\times10^{-4} cm/sec$의 분포를 보였다. A series of conventional tests and CRS consolidation tests with different rates of strain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marine clay. Preconsolidation pressures were evaluated by applying previously proposed methods for both the conventional tests and CRS tests results in order to check the legitimacy of those methods. The effects of strain rate on effective consolidation stress strain relationship, porewater pressure, and preconsolidation pressure were also discussed It was found that the effective stress strain relationship and the preconsolidation pressure are a function of strain rate imposed during consolidation test, but compression index isn't. The preconsolidation pressure ratio ($a_2=\sigma'_{pCRS}/\sigma'_{pConv}$)of marine clay appears proportional to the logarithm of strain rate, with average values ranging from 1.11 to 1.30 for strain rates between $1\timesx10^{-4} %/sec\; and\; 4\times10 %/sec$. The porewater pressure ratio during CRS teats does not exceed 6.0% except when the strain rate is $6.67\times10^{-4} %/sec$.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or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t normally consolidated range was not affected by the type of consolidation tests and the strain rate. Typical values of compression index (C.), coefficient of consolidation(c.), and coefficient of permeability (k.) at normally consolidated range were 0.56-0.95, $0.56\times10^{-4}~3.0\times10^{-4}cm2/sec,\; and\; 2.0\times10^{-8}~7.0\time10^{-4}cm/sec,$ respectively.

      • INTERVIEW

        이우진,Lee, U-Jin 한국오리협회 2015 오리마을 Vol.144 No.-

        지난 4월 1일 한국오리협회 제24차 정기총회에서 제11대 부회장으로 마낙중, 이우진, 마광하, 윤영호 이상 4명의 분과위원장이 선임되었다. 각 분과별로 협의를 거쳐 추천에 의해 선출된 분과위원장이 부회장직을 겸하게 되며, 마낙중 부화분과위원장, 윤영호 토종오리분과 위원장은 지난 임기에 이어 재선임되었고, 전 이우진 감사(주원산오리 대표)가 계열유통분과위원장으로, 마광하 광주전남도지회장이 사육분과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새로 선임된 이우진, 마광하 부회장의 선출소감과 함께 앞으로 오리산업 발전을 위해 각 분과별 어떤 정책을 펼칠 계획인지 생각을 들어보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가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우진,Lee, Woo Ji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3 벤처창업연구 Vol.8 No.3

        창조경제시대의 실현을 위해 정부가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에 힘쓰고 있는 가운데 교육부는 국내 대학 내 창업교육의 확산을 위해 많은 노력과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창업교육은 개인에게 창업의 동기를 부여하고 시장의 혁신을 만들어 국가경제의 효율성 증대를 통한 성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창조경제의 실현을 위한 창업교육의 중요성도 날로 더해지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창업교육은 전국의 대학에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에 비해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는 아직 크게 향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일한 교육을 받은 학생이라 할지라도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환경이나 동기와 같은 특성에 따라 교육의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의 연구를 통해 좀 더 체계적인 창업교육의 방향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대학 내 창업교육의 확산 분위기와 더불어 창업교육에 대한 국내의 연구도 점점 많아지고 있으며 특히 창업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어떻게 학생들의 창업의지를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학생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만족이나 개인적인 환경이 어떻게 창업의지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의 한 부분으로써 창업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직업선택 동기와 창업의지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2012년 서울 및 경기지역에 창업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는 7개 대학의 학생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918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85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직업선택의 동기의 요인에 따라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과 창업의지의 변수에 영향을 주는 관계가 규명되었다. 학생들의 자아실현과 혁신성 그리고 롤모델 추구의 직업선택의 동기 요인들은 창업에 대한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관념과는 다르게 재무성취와 독립성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창업의지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대학 내 확산되고 있는 창업교육을 통해 창업의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미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창조경제 실현의 한 부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government strives to create venture ecosystem for realizing creative economy, at the same time, the Mistry of Education is spending huge resources and efforts to spread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universities in Korea. Si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gives motivation to individuals and creates market innovation and these connect to the growth of national economy through increased efficiency,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mportant for realizing creative economy. Based on the importa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is now spreading rapidly. However,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has still not been improved comparing to spread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overcome the poor improvem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needs to be driven more systematic direction through the study on the effect of students' motivation and environment. In this study, entrepreneurship as a part of careers perspectives, is analyzed on students' career reasons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this study, 918 surveys was collected from 7 universities having entrepreneurship courses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in 2012 and analyzed 858 surveys in order to prove the hypothesis. The results disclo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areer reason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intention. Motivation factors of self-realization, innovation and role model have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ollowing by increased entrepreneurial intention, unlike the common notion financial success and independence factors are not significant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having meaningful implication to Korea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contribution to the successful promoting the creative economy realization of our government.

      • KCI등재

        해외 대학의 창업교육 현황과 특징에 관한 연구 : 미국 5개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우진,김용태,황보윤,Lee, Woo Jin,Kim, Yong Tae,HwangBo, Yu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3 벤처창업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미국 5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Entrepreneurship Center)방문을 통하여 센터가 운영하는 대학의 교과과정과 다양한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 창업교육센터의 효과적인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현장방문 대학은 선행분석 등을 통해 국내 창업교육센터 운영에 참고할 만한 아이오와 대학교, 미주리 대학교, 세인트루이스 대학교, 루이빌 대학교, 조지워싱턴 대학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상기 5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센터의 운영 담당자와 교육 커리큘럼을 담당하는 교수와의 심도 있는 인터뷰를 통해 대학에서 학부수준의 창업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산학연 협동을 통한 창업교육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61개 교육과학기술부 링크(LINC)사업 선정대학들이 대학 내 창업교육센터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시점에서, 국내 대학 창업교육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도움이 될 만한 창업교육의 교과과정과 센터의 창업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이 문헌분석을 통한 해외 사례들을 종합하고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했다면,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들과는 달리 문헌연구를 통해 선정된 대학의 창업교육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주 운영자와의 인터뷰와 현지 자료 수집을 한 뒤 해외 창업교육의 현황을 재구성하였다는 데에 보다 풍부하고 정확한 정보와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analyzed universities's entrepreneurship education curriculum and variety programs through visiting to five entrepreneurship centers. Through these analyzes, the study presents a basic frame work for prosper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We have selected for visiting research universities in the middle east of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Iowa,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Saint Louis University, University of Louisville and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We visited entrepreneurship center of each university in order to have in-depth interview with professor who is responsible for building entrepreneurship curriculum and administrative director of entrepreneurial programs so that we research how university progress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t undergraduate level. The study, at the time of 61 universities selected for LINC project by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who expects Industrial-Academia cooperative effects just installed each entrepreneurship center, analyzed case study of operational practice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entrepreneurship centers in universities. We believe that the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 richer and more accurate information and ideas since the all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firsthand interview by visiting.

      • KCI등재

        체간 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요부안정성과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이우진,박설,박지원,Lee, Woo-Jin,Park, Seol,Park, Ji-Won 대한물리치료학회 2014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26 No.1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upon the lumbar stabilization and foot pressure on an unstable surface with back pain.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patients who showed the symptom of back pain with excessive lumbar curve. This study was 4 weeks, 30 minutes per session,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12 times as a result of exercise radiation imaging device and foot pressure analyzer. Results: The sacrohorizontal ang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between static right and left foot pressure ratio analysi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Dynamic right and left foot pressure comparisons for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nalysis (p<0.05). Conclusion: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nd the reduction of the excessive sacrohorizontal angle, and static and dynamic foot pressure imbalance reduced left and r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