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지방 식이 유발 비만에서 베타원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이용진,신한별,이미자,이미경,손영진,Lee, Yongjin,Shin, Han-Byeol,Lee, Mi-Ja,Lee, Mi-Kyung,Son, Young-Jin 한국생약학회 2022 생약학회지 Vol.53 No.3

        Obesity is a disease in which an abnormally large amount of fat accumulates in the body. Various diseases such as type 2 diabetes, dyslipidemia, high blood pressure, fatty liver, gallbladder diseas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re induc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etaone, a type of barley, on obesity suppression. After the betaone extract was treated with 3T3 L1 adipocytes, the effect on adipocyte forma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Oil Red O staining. It was observed that differentiation was inhibited without affecting the viability of 3T3 L1 adipocytes. The effect of betaone extract on obesity inhibition in a mouse model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administering betaone extract after a high-fat diet,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blood sugar and body weight was decreased, and glucose uptake ability was improved in a glucose tolerance test. The formation of mouse adipose tissue was suppressed, and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the formation and degradation of obesity in liver tissue was impro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taone extract is a useful substance for improving obesity and is an excellent material for health functional food.

      • KCI등재

        원주 구룡사 금고의 양식적 특징과 제작 시기

        이용진 ( Lee Yongjin ) 동양미술사학회 2024 동양미술사학 Vol.18 No.-

        강원도 원주 구룡사에는 명문이 없는 조선후기의 금고가 동락원에 걸려 있다. 원주 구룡사 동락원에 걸려 있는 금고는 고면에 가는 융기선과 측면의 2줄의 융기선 및 고면 쪽에 달린 고리 등을 통해 조선후기 형식 중 Ⅱ형식에 속하는 것이자 고면에 6자의 ‘□’자가 원권 안에 표현되어 있다. 조선후기 금고의 고면에 표현된 원권 범자는 1666년 作 <강희 5년 障川寺銘 금고>에는 ‘□□□□□’의 5자 범자가 오각형의 형태로 배치로 표현되었으나, 1770년 作 <건륭 35년 楞伽寺銘 금고> 단계에는 4자의 ‘□’자가 마름모 형태로 변화되고, 1837년 作 <도광 17년 명 금고> 단계에서는 6자의 ‘□’자가 육각형의 형태로 표현된다. 즉 17세기 후반의 5자의 원권 범자가 18세기 후반에 4자의 원권 범자로, 다시 19세기 전반에는 6자의 원권 범자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에 제작된 금고 중 6자의 원권 범자가 표현된 것은 원주 구룡사 금고와 현재는 망실된 <도광 17년명 금고>에서만 확인된다. 조선후기 금고의 원권 범자가 주로 5자나 4자였던 것을 고려하면, 원주 구룡사 금고에 표현된 6자의 원권 범자는 예외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6자의 원권 범자를 가진 기년명 금고는 1837년 作 <도광 17년명 금고>가 유일하다. 그러나 이 금고는 망실되어 현재는 원주 구룡사 금고가 6자의 원권 범자를 가진 유일한 작품이다. 6자의 원권 범자의 제작 시기는 1837년 作 <도광 17년명 금고>를 기준으로 하면, 1837년을 하한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원주 구룡사 금고>의 형식이 조선후기 Ⅱ형식의 금고에 속하고, Ⅱ형식의 금고가 주로 18세기에 제작되었으며, 1788년 作 <건륭 53년 신흥사명 금고>를 참고로 하면, 비록 원주 구룡사 금고에는 명문이 없지만, 1837년 김종득이 만든 <도광 17년명 금고> 이전 6자의 원권 범자를 가진 금고가 18세기 후반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There is a Buddhist gong that is hanging in Dongnakwon of Guryongsa temple located in Wongju city, Gangwon-do. This Buddhist gong belongs to the second type of late Joseon period due to have two ridgelines on the front and the sides. In addition this Buddhist gong has six sankrit character ‘□(oṃ)’. The oldest Buddhist gong with Sanskrit characters which was made during late Joseon period is the Buddhist gong made in 1666 with inscription ‘the Kangxi 5th Year of Jangcheonsa temple, in which the five Sanskrit characters of “oṃ ma ṇi pad me” were arranged in the form of a pentagon. But coming to the state the Buddhist gong made in 1770 with inscription ’Qianlong 35 year of Neunggasa temple, four Sanskrit characters of oṃ was changed into a rhombus form. In the Buddhist gong made in 1837 with inscription ’Daogwang 17 year, six Sanskrit character of oṃ was changed into a hexagonal form. The oldest Buddhist gong with six Sanskrit characters was made in 1837 with inscription ‘Dogwang 17th Year’, however, this Buddhist gong was lost. The manufacturing time of the Buddhist gong with the six Sanskrit characters can be set as the lower limit based on the Buddhist gong with inscription Daogwang 17th Year. However, the type of the Buddhist gong of Guryongsa temple belongs to the second type Buddhist gong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econf type Buddhist gongs were mainly produced in the 18th century. Referring to the Buddhist gong of Sokcho Sinheungsa temple made in 1788, although that of Guryongsa temple had no inscriptions that could know the manufacturing time, it appears that the Buddhist gong with six Sanskrit characters prior to the Buddhist gong with inscription Daogwang 17th Year made by Kim Jong-deuk in 1837 was produced in the late 18th century.

      • KCI등재

        宋代 工藝批評書들과 鑑識眼

        이용진(Lee, Yongji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30

        중국의 북송대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공예의 경향은 夏商周 三代의 고동기를 모본으로 방제하는 방고동기이다. 방고동기는 삼대의 고동기를 금속이나 자기로 만드는 것으로 북송대부터 청대까지 지속된 중국 공예의 중요한 흐름의 하나이다. 고동기 수집과 방고동기는 송대 사대부와 황실이 주체가 되어 진행된 것으로 고동기 수집이 북송대 사대부들의 취미와 금석문 연구로 시작된 것인 반면, 방고동기는 송대 황실의 예제개혁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북송 사대부와 황실의 再現三代가 만들어 낸 결과는 송대 이후 중국 공예의 큰 흐름인 고동기 도록의 편찬과 ?古銅器이다. 북송 사대부들은 하상주 삼대를 유교적 이상으로 삼고 삼대 고동기의 연구를 통해 역대문헌의 오류 수정과 당대의 제도 개선이라는 입장에서 고동기 연구를 시작하였고, 그 결과는 삼대 고동기에 대한 금문의 연구서와 고동기 도록이다. 반면 황실은 예제 개혁을 위해 고동기를 수집하고 수집한 고동기를 바탕으로 고동기 방제를 통한 신성예기의 제작과 수집한 고동기를 도록으로 편찬한 것이었다. 『考古圖』와 『宣和博古圖』로 대표되는 송대의 고동기 연구는 삼대의 고동기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고, 특히 이들 도록은 圖와 文이 있는 도록의 편찬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선화박고도』는 북송대 예제개혁의 산물이자 송대 이후 방고동기의 모본이 되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지만, 『고고도』의 오류를 수정하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고동기의 시대편년과 기형분류, 각 기물에 대한 총설, 기형과 문양의 의미에 대한 평가 등은 『선화박고도』의 가치를 높게 하는 내용들이다. 이와 같은 도록은 사대부들이 삼대의 고동기를 수집하고 감상할 수 있게한 보편화의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남송대 예제개혁과 남송 사대부들의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남송의 사대부들은 북송의 사대부와는 다르게 고동기를 연구의 대상이 아닌 완호지물의 대상으로 인식하여 고동기 수집과 감상이 보편화 되었다. 고동기 수집을 위한 시장의 형성과 더불어 고동기에 대한 가치와 수요가 많아지면서 고동기 진위를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서적인 감식서의 편찬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남송대 감식서는 상대의 고동기를 주대의 고동기 보다 낮게 평가하고 있어 당시 사대부들의 유교적인 인식, 즉 상왕조보다는 주왕조를 유교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송대 사대부들의 완호지물로서의 고동기에 대한 인식은 중국 공예사에 있어 ?古銅器와 고동기 도록 편찬이라는 결과를 가져왔고, 元·明·淸代 공예에 있어 방고동기의 보편화와 사대부들의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기준이 되었다. Trends in new craft of Northern Song China was the imitation of ancient bronze vessels that was made in Xia, Shang, Zhou Three Dynasties. The imitation of ancient bronze vessel was to make them metal or porcelain that was the main stream of Chinese crafts lasted from Northern Song to Qing Dynasty. The collection of ancient bronze vessels was to be started as a study of epitaph and hobby. The imitation of ancient bronze vessels was to be started as a reform of national rite. The Scholar-officials of Northern Song who regarded Xia, Shang, Zhou Three Dynasties as Confucian ideals began to research the ancient bronze vessels with a perspective of correction of ancient records and of contemporary system reform.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the reports about epitaph and the catalogue of ancient bronze vessels. In other hand Imperial collected ancient bronze vessels to reform national rite and product the holy ritual vessels and to compile catalogue on ancient bronze vessels. Kaogutu and Xuanhebogutu representative of the research on ancient bronze vessels of Song dynasty becam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ancient bronze vessels. These catalogues have an important meaning to include text and plate. Xuanhebogutu was the most important model to imitate the ancient bronze vessels from Song dynasty. This book has a value of correcting errors of Kaogutu. In particular, p eriod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ancient bronze vessels, the introduction of vessel type and assessment of the significance of anomalies and patterns are the information to increase the value of Xuanhebogutu. These catalogues became an opportunity to collect and appreciate the ancient bronze vessels. Gentry of the Southern Song recognized ancient bronze vessels as the target of the appreciation not a object of study. Coming to the Southern Song, value and demand for the ancient bronze vessels w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connoisseurship book about distinguishing the authenticity. The gentry of Southern Song considered the bronze vessels of Zhou dynasty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Shang dynasty because of confucian justice.

      • 테스트 설계 기법을 이용한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도출 방법

        이용진(Yongjin Lee),이정빈(Jungbin Lee),김능회(Neunghoe Kim),이동현(Dong-hyun Lee),인호(Hoh Peter In) 한국정보과학회 201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1B

        일반적으로 현업에서 통합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개발자는 개발 단계의 이슈와 그들만의 요구사항을 테스트시나리오에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즉 설계 단계에서 중요시 되던 사용자 요구 사항이나 우회 흐름과 같은 이슈들은 빠지기 쉽다. 이번 연구에서는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시 상태전이기법과 같은 테스트 설계 기법을 사용하여 개발자가 빠뜨리기 쉬운 설계 단계에서의 사용자 요구 사항과 같은 항목들이 고려되는 통합 테스트 시나리오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을 활용한 결과 생각하지 못했던 테스트 케이스와 테스트 시나리오를 도출 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높은 만족도를 얻을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FPS 게임 환경에서 주사율 변화와 화면 움직임에 따른 사용자 수행도 및 피로도 분석

        이용진(Yongjin Lee),김정룡(Jungyong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9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6 No.3

        본 연구는 모니터 주사율과 화면 움직임에 따른 게임 수행도와 안구 피로도, 그리고 주관적 수행도, 주관적 피로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고주사환경에서 게임 수행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관적 안구 피로를 나타내는 변수들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수행도에 대한 주관적 평가 결과는 실제 수행도와 일치하였고 주관적 안구 피로도 평가 결과는 주사율 증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피로도 감소를 나타냈다. 특히 상대적으로 좌우 화면 움직임이 클 경우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졌다. 그러므로 다양한 3D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수행도 향상을 위해 주사율과 화면 움직임의 영향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human performance, eye fatigue, subjective performance and subjective fatigue depending on the refresh rate and display movement.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human performance increased at high refresh rate but does not affect the parameters of eye fatigue. Subjective questionnair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performance data but eye fatigue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atigue reduction as the refresh rate increased. Especially, when the horizontal display movements are relatively greater, the difference was appeared. In order to improve human performance in various 3D display environments, the influence of refresh rate and display movement needs to be considered for the performance and eye fatigue reduction.

      • 얼굴 인식을 위한 지역적·전역적 특징 분석

        이용진(Yongjin Lee),이경희(Kyunghee Lee),반성범(Sung bum Pan)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Ⅱ

        Local Feature Analysis(LFA)는 눈, 코, 턱 그러고 볼과 같은 얼굴의 지역적 특징을 잘 추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얼굴 인식에 이용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LFA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인식에 적합한 새로운 얼굴 특징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kernel 생성, 선택 그러고 중첩의 3단계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단계에서 얼굴의 지역적 특징을 검출할 수 있는 kernel 을 생성하고, 두번째 단계에서 인식에 적합한 kernel을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선택된 kernel을 중첩시켜 적은 재수의 조밀한 형태의 kernel로 재표현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 방법이 적은 개수의 특징을 이용하여 좋은 인식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학사경고생의 특성 변인과 교육적 개입 필요성에 대한 탐색

        이용진(Yongjin Lee),양현정(Hyunjung Yang),조성희(Sunghee Cho)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사경고 학생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학사경고와 관련된 주요 변인과 학사경고연구 동향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학술 DB 검색엔진을 통해 학술지 게재된 연구논문을 수집하여 ‘학사경고 대학생’을 주제어로 검색된 국내․외학술지 총 51편을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추출된 변인을 중심으로 국내 대학 교수학습센터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여 배포하였다. CTL 전문가들의 인식과 학 사경고생의 문제를 개입하기 위한 교육적 요구를 확인하기 위해 종속표본 t-검정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부 준거에 따라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유의미한 학사경고생의 특성 변인을 추출하였다. 또한, 국내 대학 교수학습센터 전문가들의 요구분석 결과, 학사경고생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 설계에 반영되어야 할 14개 변인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항목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학사경고생에 대한 지원의 방향에 대한 함 의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the research on academic probation to identify major issues and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probation in college, and to prioritize needs of intervention for the unsuccessful college students in academic achievement. The researchers had extensively searched the literature with focusing o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by using the computerized literature DB. Thus, the study analyzed the 51 research publications with a key word, ‘academic probation’, and extracted major variables. With regards to the extracted variables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surveyed the perceptions of experts in the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CTLs) of Korean universities. To find out the needs of interventions for academic probation problem, which perceived by experts in CTLs, the study used need analysis methods including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the results, the research trend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the detailed criter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were extracted. Through expert needs analysis, the result also showed that 14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by priority to support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 범종과 향로

        李溶振(Lee Yongjin) 미술사연구회 2021 미술사연구 Vol.- No.40

        Gelatin dry plates produced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era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show some late-Joseon Buddhist craftworks at temples currently in North Korea, such as Buddhist temple bells and incense burners. These include five bells from the seventeenth century, one from the eighteenth century, another from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e Jade Gui-shaped Incense Burner and Gilt-bronze Ding-shaped Incense Burner at Yujeomsa Temple. Among the late-Joseon Buddhist temple bells depicted in gelatin dry plates are th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Sixth Year (1633) of the Reign of Emperor Chongzhen and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Fif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Shunzhi at Seokwangsa Templ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en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Kangxi and another bell from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at Gwijusa Temple; th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hirtieth Year(1691) of the Reign of Emperor Kangxi at Seongbulsa Templ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Forty-seventh Year (1708) of the Reign of Emperor Kangxi at Jangansa Temple; and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enth Year (1830 or Gyeongin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Daoguang. The artisans who produced them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inscriptions and styles of these bells. For example, Cheonbo (天宝)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Six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Chongzhen at Seokwangsa Temple; Jijun (智俊) and Taehaeng (太行) worked on th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hirtie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Kangxi at Seongbulsa Temple; Sain (思印) was involved in the creation of the bell from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at Gwijusa Temple; Yi Hae-jun (李海俊) and Keukryeon (剋連) created th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Forty-seven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Kangxi at Jangansa Temple; and Yi Man-uk (李萬郁) and Jang Min-cheol (張敏喆) were connected to th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en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Daoguang. As for other bells whose inscriptions do not include the names of the artisans involved, stylistic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o suggest artisans who might have participated in their production. The creation of th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Fif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Shunzhi at Seokwangsa Temple is likely connected to Jeongu (淨祐), Sinwon (信元), Woneung (元應), and Jijun, all of whom were active in the early and mid-seventeenth century. In the case of the Bell with Inscription of the Tenth Year of the Reign of Emperor Kangxi at Gwijusa Temple, Daehwasa Chwicheong (大化士 醉淸) is presumed to have participated in its production. According to the “List of Properties in Gwijusa Temple Based on the Revised Temple Law,” Chwicheong is recorded as the maker of its bell. However, whether or not he was a monk artisan is unclear. The gelatin dry plates of these Buddhist temple bell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 that many seventeenth-century bell-casting artisans, including Cheonbo, Jijun, Taehaeng, and Sain, were active in a broader area than had been previously known as they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ells for temples in both present-day South and North Korea. It is also meaningful that works by these artisans have been identified beyond those known from written historical records. The gelatin dry plates from North Korean regions show only two incense burners: the Jade Gui-shaped Incense Burner and the Gilt-bronze Ding-shaped Incense Burner. Both were used at Yujeomsa Temple. The late-Joseon royal court imported these Ming and Qing copies of Chinese ancient bronze or jade vessels and bestowed them on the royal temple Yujeomsa. The Ding-shaped Incense Burner that King Jeongjo bestowed upon Yongjusa Temple is a classic example of the offerings given by the royal court to its templ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se two incense burners at Yujeomsa Temple are also noteworthy in that they demonstrate the use of copies of ancient Chinese bronze or jade vessel imported by t

      • IT 개발자의 능력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진(Lee, Yongjin),이충권(Lee, Choong Kwon),이유진(Lee, Yu-jin)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14 經營經濟 Vol.47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IT개발자의 여러 가지 능력들 중에서 어느 것이 이직능력을 구성하는 요소인지를 살펴보았고, 이러한 이직능력이 경력몰입과 연결되어 IT개발자의 이력과 능력이 결국엔 경력몰입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IT개발자를 대상으로 직접 면접을 통하여 총 200부가 배부되었고, 15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이들 중 IT개발자가 아닌 응답자와 불성실한 응답, 결측값을 제외하고, 총 126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 - 변수로 선택된 기본능력, 기술적 능력, 비즈니스 관련 능력, 행동적 능력 모두 이직능력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직능력은 경력몰입과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행동적 능력이 이직능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어 IT개발자의 역량에서 중요한 요인이 기술보다는 행동이나 태도에 있음이 검증되었다. 시사점 - 과거의 정보시스템 관련 업무는 개발자 개개인의 능력이 최대한 발휘되는 직종이라고 생각되었지만, 본 연구는 개인적인 업무수행 능력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도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Purpose - This research examined the career background and abilities of IT developers to see which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turnover ability. Furthermore,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ability and career commitment, and whether this relationship ultima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ckground and abilities of IT developers and career commitment. Design/Methodology - A total of 2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IT developers and 153 of them responded. After eliminating reponses with inappropriate answers, we used 126 responses for the further analysis. Findings - The selected variables of basic ability, technical ability, business ability, behavioral ability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ability. Also, turnover abili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However, behavioral ability showed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urnover ability which verified that, out of an IT developers capabilities, behavior and attitude are more important factors than skill. Implications - IT development tasks are no longer strictly based on technical skills as it was perceived in the past, and are not like technical jobs where skill acquirement is the only necessity for recognition. Thus, because IT development works around an environment collaborating with other people, presenting to people, and developing for people, developers who can get along with others, communicate fluently, and have passion are evaluated as being more capable.

      • KCI등재후보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공동체(Faculty Learning Community)의 효용성 탐색

        이용진(Yongjin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ies)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서 교원학습공동체(Faculty learning community)의 구성 및 운영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그 효과성에 대해 진단하고, 향후 교원학습공동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A 대학의 5년간 수집된 교원학습공동체의 결과보고서를 토대로 교수역량요소에 따른 내용 분석을 실시하고, 참여 교원의 활동 만족도 설문과 강의 평가 결과 등을 분석하여 교원학습공동체 활동이 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A 대학의 교수학습개발원에서 지원하여 운영되어 온 교원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은 최근 5년간 총 397명의 교원이 127개 팀을 구성하여 활동하였다. 교원학습공동체의 연구보고서에서 나타난 교수역량 요소, 학습공동체 활동 만족도, 강의 평가 등의 자료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교원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설계에 대한 지원 방향과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aculty Learning Community(FLC) in a university setting to improve the faculty members teaching competencie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127 faculty learning communities supported by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 university from 2012 to 2016. The study analyzed data based on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1) how the content of the FLC reports was related to the teaching competencies, 2) how the participants perceiv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FLC, and 3) how the course evaluation results have changed after the FLC participation. A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for categorizing the FLC study themes into 6 teaching competencies, and an Word-cloud program was used for visualizing key words revealed from the FLC reports. Also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ncluding ANOVA, paired-t and ANCOVA to explore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s’ perception and course evaluation scores.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spect of research topics, ‘developing the teaching strategy’ was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and ‘restructuring curriculum’ and ‘utilizing teaching material & instructional media’ were next most frequent. Second, the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showed very positive responses. The item, “having a chance for the reflection on the education,” indicated the highest score of satisfaction. Third, the faculty member’s course evaluation scores were slightl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FLC. Finally, the study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university CTL to support the FLC in order to improve faculty members teaching compet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