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결건조 공정을 이용한 텅스텐 다공체의 제조 및 특성

        이영숙,오승탁,Lee, Young-Sook,Oh, Sung-Tag 한국재료학회 2011 한국재료학회지 Vol.21 No.9

        Porous W with controlled pore characteristics was fabricated by a freeze-drying process. $WO_3$ powder and camphene were used as the source materials of W and sublimable vehicles, respectively. Camphene slurries with $WO_3$ contents of 10 and 15 vol% were prepared by milling at $50^{\circ}C$ with a small amount of oligomeric polyester dispersant. Freezing of a slurry was done in a Teflon cylinder attached to a copper bottom plate cooled at $-25^{\circ}C$ while the growth direction of the camphene was unidirectionally controlled. Pores were generated subsequently by sublimation of the camphene during drying in air for 48 h. The green body was hydrogen-reduced at $800^{\circ}C$ for 30 min and sintered in a furnace at $900^{\circ}C$ for 1 h under a hydrogen atmosphere. Microstructural observation revealed that all of the sintered samples were composed of only W phase and showed large pores which were aligned parallel to the camphene growth direction. The porosity and pore size increased with increasing camphene content. The difference in the por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lurry concentration may be explained by the degree of powder rearrangement in the slurry. Th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a porous metal with the required pore characteristics can be successfully fabricated by a freeze-drying process using metal oxide powders.

      • 말기 암환자와 가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 서울대학교병원 경험의 분석-

        이영숙,허대석,윤영호,김현숙,최경숙,윤여정,Lee, Young-Sook,Heo, Dae-Seog,Yun, Young-Ho,Kim, Hyun-Sook,Choi, Kyung-Sook,Yun, Yeo-J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1998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 No.1

        목적 :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의 말기암환자와 가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한 해동안 상담에 참석한 말기암환자 및 가족들의 상담기록지를 중심으로 연구자들이 상담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 참석자 312명은 가족(84%)이 환자(16%)의 4배 이상 참석했고, 대부분 1회만 참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참석한 환자 또는 가족이 돌보는 환자의 현황은 나이별로 60대, 50대, 40대가 많았고, 암의 종류는 폐암, 위암, 간암 순으로 많았다. 가족의 특성은 261명으로 배우자, 자녀, 며느리, 형제자매, 부모순으로 많았다. 프로그램에 오게된 경로는 의사의 권유(69%), 병원 포스터(26%), 기타 순이었다. 이것은 의사가 환자와 가족을 집단에 참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질문은 우선적으로 의료적인 정보에 대한 욕구가 많았다. 이것은 환자나 가족이 의료진으로부터 정보를 제대로 전달받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가족은 환자를 돌보는데 있어서 정보의 제공만으로 해결될 수 없는 여러가지 실제적인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그 결과 계속적인 24시간 전화상담 서비스 호스피스 시설 가정간호 서비스의 확대, 3차 의료기관과 1,2차 의료기관과의 의뢰 체계 등을 필요로하고 있었다. 따라서 병원에서 제공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지역사회에서 제공될 수 있는 자원, 호스피스 시설과의 연계가 필요하며 이를 관리해줄 수 있는 환자 관리 전담 인력이 필요하다. 결론 : 본 프로그램은 1회(single-session)적인 성격이 강하지만 환자와 가족이 궁금해하는 점들을 만족시켜주므로서 암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대처능력이 향상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이 프로그램이 위기에 처한 말기암환자와 가족을 지지하는 프로그램으로서 활용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추후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평가가 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다른 병원에서도 각 병원의 특성과 참석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발전된 프로그램이 나오기를 바란다. Purpose :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eveloped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This program consists of each of doctor, nutritionist, nurse, pharmacist, and social worker to provide them with the information and to enhance their ability to cope with terminal cancer. This research aims to introduce this new program per se, and to appreciate its validity and applicability to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by analyzing the concerns and specific questions of the participants. Methods : The methodological approach employed in this research is 1996 content analysis of the group counseling reports, and interview of the 312 participants. The analysis includ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amily relationship to the patients, times of attendance to the group session, source of information to the program. Results : The participants consist of 261 family members(84%) and 51 patients(16%). Majority responded to the program with a single-attendance. Diagnosis are mainly lung cancer, stomach cancer, liver cancer. The ratio of participants by family members is decreased in the order of spouse, children, daughter-in-law, brothers and sisters, and parents. The source of information to the program is largely through medical staff(69%) as compared with posters in the hospital (26%). The participants are interested primarily in the medical information. Their interests are various, such as pain control, patient care, nutrition, psychosocial problem and etc. Conclusion : This program is characterized largely as a family-supporting program which primarily offers information for terminal cancer. This program is a sort of a hospice program, which maximizes the present quality of living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s long as life continues by encouraging them to live with terminal cancer. Thus, this group program can be employed as an active support network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In order to develop comprehensive care-giving services, it is required to have 24-hour telephone service, hospice facilities, home care servic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referral hospitals and the primary care physicians, in particular. Such a development of services is the ultimate goal for improving care. But the immediate goal of the program is to make possible better education for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to live with terminal cancer.

      • KCI등재

        Security Enhancement to an Biometric Authentication Protocol for WSN Environment

        이영숙,Lee, Youngsook Korea convergence Security Association 2016 융합보안 논문지 Vol.16 No.6

        바이오메트릭 정보를 이용한 인증방식은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이용하여 신원을 확인 하고 시스템의 접근을 허가한다. 요즘 들어, 패스워드나 보안토큰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방식보다는 하나이상의 고유한 신체적, 행동적 형질에 기반하여 개인의 생체 정보인 지문, 홍채 얼굴, 정맥 등을 활용하는 방식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13년 Althobati 등이 WSN(Wireless Sensor Networks) 환경에 적합한 바이오메트릭 정보를 이용한 사용한 사용자 인증 스킴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그들이 제안 프로토콜은 데이터 무결성에 대한 위협과 바이패싱 게이트웨이 공격에 취약하여 상호인증을 달성할 수 없었다. 본 논문은 이전에 제안된 논문의 취약점을 개선하여 WSN 환경에 적합한 안전한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Over recent years there has been considerable growth in interest in the use of biometric systems for personal authentication. Biometrics is a field of technology which has been and is being used in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s based on some physical attribute. By using biometrics, authentication is directly linked to the person, rather than their token or password. Biometric authentication is a type of system that relies on the uniqu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to verify identity for secure access to electronic systems. In 2013, Althobati et al. proposed an efficient remote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biometric information. However, we uncovered Althobati et al.'s protocol does not guarantee its main security goal of mutual authentication. We showed this by mounting threat of data integrity and bypassing the gateway node attack on Althobati et al.'s protocol.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scheme to overcome these security weaknesses by storing secret data in device. In addition, our proposed scheme should provide not only security, but also efficiency since sensors in WSN(Wireless Sensor Networks) operate with resource constraints such as limited power, computation, and storage space.

      • KCI등재

        Security Improvement of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for Heterogeneous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이영숙,Lee, Young sook Korea convergence Security Association 2021 융합보안 논문지 Vol.21 No.1

        최근 센서를 이용한 장치들의 사용은 증가추세이다. 이런 센서 장치들은 이종무선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최신 기술들과 연관 지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센서디바이스의 사용은 우리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는 하나 여러 형태의 보안위협이 도사리고 있는 실정이다. 무선선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접속하여 제공받는 서비스에 존재하는 보안위협 중 대부분은 전송되는 정보의 유출과 사용자, 센서, 게이트웨이 사이의 인증에 대한 손실이 대부분이다. 2019년 Chen 등이 이종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안전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Ryu 등이 제안한 논문에서 그들이 제안 프로토콜은 password guessing attack과 session key attack에 취약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은 이전에 제안된 논문의 취약점을 개선하여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Recently, the use of sensor devices is gradually increasing. As various sensor device emerge and the related technologies advance,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the interest in heterogeneous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While sensor device provide us many valuable benefits, automatically and remotely supported services offered and accessed remotely through WSNs also exposes us to many different types of security threats. Most security threats were just related to information leakage and the loss of authentication among the involved parties: users, sensors and gateways. An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is designed to restrict access to the sensor data only to user. In 2019, Chen et al. proposed an efficient user authentication protocol. However, Ryu et al. show that it's scheme still unstable and inefficient. It cannot resist offline password guessing attack and session key attack.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protocol to overcome these security weaknesses by storing secret data in device. In addition, security properties like session-key security, perfect forward secrecy, known-key security and resistance against offline password attacks are implied by our protocol.

      • KCI등재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 사회복지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전략

        이영숙,Lee, Young 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2

        본 종설의 목적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어떤 활동을 전개했고 어떤 위치에 놓여 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향후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해야 할 미래전략 제시한다. 문헌조사와 참여관찰을 통해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가 전개해 온 활동을 과거, 현재, 미래전략으로 나눠서 역할 및 자격 기준, 교육, 연구, 정책 활동의 네 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첫째,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고 자격기준이 미비하다. 사회복지사의 불명확한 역할과 미비한 자격기준은 전문성 발휘를 어렵게 한다. 미래 전략은 역할의 재정립과 인력 및 자격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교육에 있어서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교육이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교육자가 부족하다. 미래전략은 전문교육의 강화와 교육자 개발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연구에서 사회복지사의 학술지 게재 편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타 전문직에 비해서 학술활동의 참여도가 낮다. 미래전략은 연구 및 학술활동의 활성화와 개입효과성 증명 등 정책반영에 필요한 근거 중심의 연구가 필요하다. 끝으로 제도적으로 인력확보 및 수가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미래전략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사의 전담 인력확보, 수가인정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활동이 필요하다.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 사회복지는 전략적인 접근을 가지고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하고 이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관련 학회, 협회, 학교와 네트워킹과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인프라를 구축하며, 실행 조직체계를 구성하고 실행 주체를 강화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future goals and strategies for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by understanding its historical background. Both literature re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performed to examine historical data relating to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Korea. Also reviewed were the current trends with a focus on the roles of social workers in the said arena, qualifications, education, research and medical insurance policy. First of all, the roles of social workers do not appear to be clearly defined in the field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hich seems to lead to the lack of recognition as professional workers. The qualification standard for social worker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remains inadequate. Second, there seems to be insufficient professional social worker training resources, in terms of both the number of educators and training programs. Third, social workers in Korea produce significantly less publications than those in other professions. There is also a dearth of qualified evidence-based research that is needed to prove benefits of intervention and ultimately for policy implications. Last, the current medical insurance policy needs to be revised to secure fees for social work services and dedicated full-time social worker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Korea needs to approach social work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ith specific goals to develop future strategies. Related infrastructure and an executive 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via networking and partnership with academic societies, associations and schools.

      • KCI등재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OLETF Rat의 혈당, 혈중 인슐린과 렙틴분비에 미치는 영향

        이영숙,박민정,최지은,김지영,남문석,정윤화,Lee, Young-Sook,Park, Min-Jeong,Choi, Ji-Eun,Kim, Ji-Young,Nam, Moon-Suk,Jeong, Yoon-Hw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6

        본 연구는 누에고치를 가수분해하여 얻은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이 비만형 당뇨병 모델인 OLETF 쥐의 당뇨병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7주령의 OLETF 쥐를 당뇨대조군과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0.5%, 0.8% 섭취군으로 나누어 19주 동안 음수로 섭취시켰다. 19주 동안 실험동물의 체중, 식이 섭취량, 음수 섭취량을 측정하고, 매주 2회씩 비공복과 공복 혈당변화를 관찰하였으며, 19주 후 모든 동물을 희생시킨 후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지질과 인슐린 및 렙틴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당뇨대조군의 체중은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군에 비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총 콜레스테롤은 농도 의존적으로 그 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중성지질이나 HDL-cholesterol 함량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혈당 상승이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17주 후 내당능 측정결과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 섭취군의 최고 혈당치가 농도 의존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회복도 빨랐다. 인슐린과 렙틴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실크단백질 효소 가수분해물의 섭취는 인슐린과 렙틴의 대사에 관여하여 혈당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lk protein hydrolysates hydrolyzed by protease on blood glucose level, serum insulin and leptin secretion in the OLETF rats. Twenty seven week-old-male OLETF rats were divided in three groups: diabetic control, 0.5% and 0.8% silk protein hydrolysates groups that were fed daily for 19 weeks. Body weight increased in the 0.5% and 0.8% silk protein hydrolysates fed groups compared with diabetic control group. Food and water intake were not different among diabetic and silk protein hydrolysates groups. In random state, the blood glucose levels in silk protein hydrolysates fed groups were lower than diabetic control group; however, the blood glucose in the three groups were not different in fasting state. Also silk protein hydrolysates improved the glucose tolerance in OLETF rat. The silk protein hydrolysates did not influence serum lipids while serum insulin and leptin levels were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OLETF ra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silk protein hydrolysates solution reduced significantly (p<0.05) an increasing rate of blood glucose level by stimulating the insulin secretion and increasing the serum leptin level.

      • 진행암 및 말기암 환자와 가족을 위한 집단 교육 프로그램

        이영숙,허대석,김미라,김원경,최정윤,Lee, Young-Sook,Heo, Dae-Seuk,Kim, Mi-Ra,Kim, Won-Gyung,Choi, Jeong-Y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7 No.1

        목적: 본 연구는 3차 의료기관에서 진행암 및 말기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집단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집단교육에 참석한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했다. 응답한 설문지를 SAS 분석하고 CHISQ를 통해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설문지 조사내용은 1) 참석자의 일반적인 특성, 2)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 3) 환자를 돌보는 어려움, 4) 교육에 대한 평가였다. 결과: 교육에 참석한 환자와 가족은 211명이었고, 이 중 응답한 설문지는 89명이었다. 응답한 설문지 결과를 보만 참석자 중 환자가 37.5%, 가족이 56.2% 참석했다. 참석자의 나이는 60대, 50대, 40대, 30대 순이었고, 가족관계는 배우자가 가장 많고, 부모, 자녀, 형제 순으로 참석했다. 환자의 진단은 위암, 폐암, 유방암, 대장암 순이었고, 진행암 환자가 48.8%, 말기가 17.4%를 차지했다. 환자와 가족이 호소하는 주된 어려움은 치료와 관련된 문제가 대부분이었고, 정서적인 문제, 식사문제, 증상관리, 통증조절, 의료문제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교육에 대한 평가는 95%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특히 식사, 의료문제에 대한 교육 만족도가 높았다. 주목할 점은 환자와 가족은 치료와 관련된 문제뿐만 아니라 호스피스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알고 싶어했다. 결론: 이 프로그램은 진행암 및 말기암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집단 교육을 실시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는 결과를 얻었다. 향후 프로그램은 환자와 가족이 필요로 하는 구체적인 정보와 충분한 교육시간의 확보와 보다 많은 교육의 기회의 제공이 요구된다.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effect of a single session of group education of hospice program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the advanced and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Methods: Response to questionnaires from 89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SAS and CHISQ analysi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following items: 1)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3) the difficulties of patient care; 4)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consist of 33 patients (37.5%) and 56 family members (56.2%). Diagnosis included mainly stomach, lung, breast, and colon cancer. Participants of family members consisted of spouse, parent, children, daughter-in-law, and siblings (in decreasing order). The participants were interested in the medical information, nutrition, pain and symptom management, and psychosocial adaptation. They had difficulties in emotional problem, nutrition and symptom management. Even though it was a single session of group educati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 (95%).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even the single session of the group education for the advanced and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is very helpful by giving them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order to develop comprehensive care-giving services, more specific informations, mor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such sessions and longer question-answer time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