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우리 국문학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부분의 전통인문학이 수입인문학과 상생적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람 이병기는 전통인문학의 한 갈래인 고시조를 시대변화에 발맞추어 유지·발전시키기 위해 시조혁신론을 주창하였다. 본고는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비교 고찰을 통해 가람 이병기가 시조문학에 있어 시도했던 전통인문학과 수입인문학의 조화로운 통합을 이룩하는 일련의 과정을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가람 이병기는 우리 시조문학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모습인 간결성과 명료성을 구심점으로 하면서 표현 방법, 주제선택, 리듬 창조 등에서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아들여 발전적인 변화를 시도했다. 여기서 시조가 가지는 간결성과 명료성은 이미지즘이 동양시문학에서 받아들인 부분이다.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를 ‘시조의 의미와 운율, 시조의 비유, 극적 상황, 복합성과 통일성’ 등으로 나누어 고구(考究)했다. 먼저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공통점으로는 ‘시조의 비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시조의 비유’ 부분에서 범위를 확대하면 비유뿐만 아니라 말씨와 관계된 분야까지 포함하므로 모두가 일치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한정된 언어 사용이나 한자어구 사용은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시대와 장르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 ‘시조의 의미와 운율’, ‘극적 상황’, ‘복합성과 통일성’ 부분에서는 모두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차이점은 이미지즘 이론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시조의 의미와 운율’에서 가람 이병기는 황진이 시조를 비롯한 고시조의 악곡이 떨어져 나간 자리에 대체물로써 ‘격조의 변화’를 새롭게 도입했다. 그 ‘격조의 변화’를 위해 ‘정형적 자유시’를 구사했으며 ‘행구분의 다양화’를 시도했다. ‘극적 상황’에서는 작가의 다양한 연출 상황이 요구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제와 소재의 선택이 확장되어야 한다. 황진이 시조의 경우 주제와 소재가 한정되어있으므로 가람 이병기는 이 부분을 지양하고 있어 뚜렷한 차이점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취재범위의 확장’으로 보완하고 있다. ‘복합성과 통일성’에서는 많은 내용을 담되 내용의 통일을 기해야 하는 것으로 가람 이병기는 시조의 복합성과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시조’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황진이 시조의 경우 6편 모두가 단시조로 이 부분도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가 가지는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가람 이병기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이 같은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존재하고 있는 것은 시조 문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간결성과 명료성이다. 간결성과 명료성 외에 시조혁신론을 통해 리듬이나 주제와 소재 선택 등에서 보여준 변화는 시대와 장르 변화에 따른 능동적인 변화였으며 상생적인 변화였다. 그 능동적이고 상생적인 변화를 위해 가져온 것이 이미지즘 이론이었다. 그러나 그 이미지즘 이론의 뿌리는 전통인문학에 닿아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which imported humanscience element was integrated into the traditional human-science element that Hwang Jin-i Sijo had possessed, resulting in having formed the Lee Byeong-gi Sijo literature, through difference that these works have while considering comparison between Garam Lee Byeong-gi Sijo and Hwang Jin-i Sijo. The biggest problem of our human science is what most of the traditional human science failed to be co-existentially harmonized with the imported human science. However, Lee Byeong-gi advocated the Sijo reformism theory in order to maintain and develop classic Sijo(古時調), which is one branch of traditional human science, in line with a historical change. This study examined Lee Byeong-gi Sijo and Hwang Jin-i Sijo by being divided into ‘poetic rhythm & meaning, poetic accent & metaphor, dramatic situation, complexity & unity,’ thereby having been able to demonstrate that Lee Byeong-gi advocated the Sijo reformism theory by harmoniously integrating the theory of imagism poetry, which is one branch of the imported human science, into the classic Sijo, which is one branch of traditional human science, and that the main axis of forming the Sijo reformism theory was the harmonious integration between the literary characteristic of being possessed by classic Sijo, and the theory of imagism poetry.

      • KCI등재

        이병기 시조의 이미지와 율격 연구

        이순희(Lee, Soon-Hee) 한국어문학회 2014 語文學 Vol.0 No.1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age and versification rule of being embodied in Lee Byeong-gi Sijo. In the process of reproducing Gosijo(古詩調), which had been a song genre, into modern Sijo, which is a literature genre, Garam Lee Byeong-gi accepted the Anglo-American imagist theory in the 1910s, thereby having systematized a theory of modern Sijo. In the middle of analyzing Sijo works that were put in Lee Byeonggi’s 『Collection of Garam`s Sijo Poems』, it could demonstrate that Lee Byeong-gi was influenced by ‘use of daily terminology,’ ‘freedom of choosing a topic,’ ‘suggestion of image(imagery),’ ‘creation of new rhythm,’ and ‘emphasized concentration,’ which correspond to the imagist theory, thereby having asserted ‘diversification in terminology,’ ‘expansion in coverage range,’ ‘Silgamsiljeong(實感實情: actually experiencing and feeling),’ ‘a change in tone,’ and ‘creation in Yeonsijo(聯時調)’ in the Sijo renovation theory and having applied these theories to the creation of a work.

      • MPEG-7에 기반한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이순희,Lee, Soon-Hee 한국컴퓨터산업학회 2007 컴퓨터産業敎育學會論文誌 Vol.8 No.2

        In order to construct a Video Database, shot change detection should be made first. But, because these processes are not automated perfectly, we need a lot of time and efforts now. And, there are many shot change detection algorithms, which can't always insure the perfect result because of the editing effects such as cut, wipe, and dissolves used in film production. Therefore, in order to receive the exact shot change, It needs the verification and correction by manual processing at any cost. Spatiotemporal slice is a simple image condensing method for the content changes of video. The editing effects are expressed on the Spatiotemporal slice in the visually noticed form of vertical line, diagonal line, curved line and gradual color changes, etc. Accordingly the parts doubted as a shot change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change of the Spatiotemporal slice without replaying the video.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makes it possible to delete the false detected key frames, and create the undetected key frames on the Spatiotemporal slice.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동영상의 샷 경계 검출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이 자동화되지 않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샷 경계 검출 알고리즘은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영상 편집시 사용된 편집 효과의 발전에 의하여 완벽한 검출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정확한 샷 경계를 얻기 위해서는 수작업에 의한 검증과 수정이 꼭 필요하다. 시공간 슬라이스는 영상의 내용 변화를 요약한 한 장의 이미지이다. 편집 효과는 수직선, 사선, 곡선, 점진적 색상의 변화 등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형태로 시공간 슬라이스에 표현된다. 따라서 영상을 재생시키지 않고도 시공간 슬라이스의 변화만으로 샷 경계를 쉽고 빠르게 찾아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고 구현한 시스템은 시공간 슬라이스 상에서 오검출 키 프레임을 삭제할 수 있으며 미검출 된 키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동적 분할 기법을 이용한 비디오 데이터의 대표키 프레임 추출

        이순희,김영희,유근호,Lee, Soon-Hee,Kim, Young-Hee,Ryu, Keun-Ho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38 No.1

        To access the multimedia data, such as video data with temporal properties, the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technique is required. Moreover, one of the basic techniques for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is an extraction of representative key-frames. Not only did we implement this method, but also by analyzing the video data, we have proven the proposed method to be both effective and accurate. In addition, this method is expected to solve the real world problem of building video databases, as it is very useful in building an index. 시간적 특성을 가진 비디오 자료와 같은 멀티미디어의 자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기술이 필요하다. 더욱이,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의 기본적인 기술 중의 하나가 대표키 프레임들의 추출이다. 제안된 방법을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대표키 프레임들이 비디오 데이터의 특성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제안된 방법이 정확함 뿐만 아니라 효과적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비디오 데이터 베이스를 위해 색인을 구축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러므로 제안한 방법이 실세계에서 비디오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근현대 시조의 격조 연구

        이순희(Lee, Soon-Hee)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9 No.-

        본고의 목적은 이병기가 시조혁신론에서 주창한 격조의 변화가 이호우와 김상옥 시조에서는 어떻게 변모했는가를 살피는 가운데 시조 정체성을 찾는 데 있다. 가람 이병기는 격조의 변화를 꾀하기 위해 자수의 융통성, 자유로운 행갈이 등을 주장했으나 격조 변화를 위한 명료한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독자 제씨에게 더 많은 변화의 여지를 남겼기 때문에 오늘날 시조의 정체성은 불분명하게 된 것이다. 따라서 문제의 원인이 된 시점부터 변모 과정을 진단해 가다보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호우와 김상옥은 문장지를 통해 이병기의 추천을 받아 문단활동을 시작했으므로 이병기의 시조혁신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 두 사람은 영향받은 바는 동일하나 그 형태는 같지 않다. 이호우는 격조를 살리고 국민시로서의 면모를 다지기 위해 시조 자수에 융통성을 주었다. 이에 비해 김상옥은 두 번째 출간한 시조집 『삼행시육십오편』에서 삼행시라 하여 구, 음보, 음수를 염두에 두지 않고 삼행만 살려놓는 파격적 시조를 창작했다. 이는 의미에 치중하다 보니 시조 정형을 간과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또한 김상옥은 이병기의 시조혁신론 제 1항 이미지에 영향 받은 바가 컸다. 그는 시는 물론 시조, 동시 등에서 조형적인 이미지를 살리는 데 주력했다. 이병기의 시조혁신론에 이어 이호우의 ‘국민시’, 김상옥의 ‘조형시’를 살펴본 결과 오늘날 현대시조가 나아갈 길은 자수의 가감에 어느 정도 융통성을 주는 격조론을 추구하되 자수의 완전한 파괴로 나아가서는 안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점은 일찍이 이병기나 이호우가 우려했던 점이기도 하다. 따라서 자수의 융통성을 둔 격조를 살리면서 특정한 어미 사용이나, 음 · 어절의 반복을 살리는 병치 기법, 이미지 기법 등으로 리듬과 의미가 조화를 이루는 시조 미학을 살려가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Sijo identity and Sijo aesthetics amidst examining how a change in tone(格調) that Lee Byeong-gi advocated in the theory of Sijo reformation was transformed in sijo(s) by Lee Ho-u and Kim Sang-ok. Garam(嘉藍) Lee Byeong-gi(李秉岐) asserted the meter(字數) flexibility and the free line shift in order to promote a change in tone(格調), but did not suggest a clear method for a change in tone. Thus, the sijo identity ended in being ambiguous these days. As a result of having figured out Lee Ho-u`s `national poem` and Kim Sang-ok`s `formative poem` following Lee Byeong-gi`s theory of Sijo reformation, the way to which the contemporary sijo will need to advance nowadays is thought to be unlikely the way of being proceeded the complete destruction in meter(字數) while seeking the theory of tone(格調), which comparatively gives flexibility to an increase and a decrease in meter(字數).

      • KCI등재후보

        피부 관리가 개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순희(Soon Hee Lee)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09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otential effects of skin care on client's sense of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o meet the goal, this study surveyed 217 clients (male and female) who lived in Daejeon metropolitan area and used skin care shop as of survey.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me to the following findings. It was found that clients with better skin health conditions felt significantly higher sense of self-efficacy than other skin care clients on a statistical basis. And clients who were more satisfied at their skin felt significantly higher sense of self-efficacy than other skin care clients on a statistical basis. Interestingly, it was found that clients who had better skin health conditions showed higher satisfaction at their life than other skin care clients on a statistical bases. And it was found that clients who took higher satisfaction in their own ski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at their life than other skin care clients on a statistical basis. Summing up, it is concluded that skin care is positive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nse of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kin care will be more recommended to meet psychologic or mental needs, as well as needs for appearance management

      • KCI등재

        여대생의 성태도 개선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효과 분석

        이순희 ( Soon Hee Lee )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0 경북간호과학지 Vol.14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exuality education program, and to analyze change of the sexual attitude after apply to college weman. Method: 1st, literature and preceding study was reviewed to analyze the sexuality educational needs. 2nd, learning goals·contents·methods, the necessary time and measurement instrument were established to be based on educational needs. 3rd, this program was applied to the education group, for total 30 hours, from october, 2008. Lastly,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sexual attitude questionnaire, 5 likert-type of 25 items was used. A grade is higher, sexual attitude is more conservative or positve. Data of 82 education group and ti control group were analyze. Result: The learning contents were consisted of the sexual values and, nature(4 hours), activities(10), problems(8), and the others(3). The learning methods were usually used video tapes, discussion and presentation, various activities, but the lecture was only limited in 6 hours. A significant change on sexual attitude and their sub-categories was observed in education group, but was not in the control group(p<0.05) Conclusion: If this program could be tried repeatedly, get to the effect, sexual attitude of college woman will be better improved as using this program.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 청소년의 정신건강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고찰

        이순희(Lee, Soon-Hee),허만세(Hoe, Maanse)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2 No.2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current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 for adolescent victims of family violence. Relevant references were examined and current mental health services were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s for adolescent victims of family violence are dualized into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co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aking Youth Counseling & Welfare Center as a main delivery system, develops the CYS-Net(Community Youth Safety-Net) in order to provide social services including counselling and emotional support, social protection support,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medical and health support. Thir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ovides adolescent victims of family violence with mental health promotion services through Specialized Child Protection Agencies. Lastly, the Youth Counseling & Welfare Center and Specialized Child Protection Agencies have developed community network systems in order to offer crisis interventions to adolescent victims of family violence. Problems in the current mental health systems for adolescent victims of family violence are discussed, suggesting alternative mental health delivery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순희(Lee, S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49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이 지각한 역기능적 진로사고, 진로적응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역기능적 진로사고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성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매개변인의 하위요인 중에서, 남학생은 목표선택에 여학생은 진로정보에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매개변인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을 대학생의 진로상담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인식하여 보다 면밀한 접근과 상담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process of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ffecting career adaptability. The research results, First, the dysfunctional career though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bility.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making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process of dysfunctional career thought of college students affecting career adaptabilit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gender difference in the course of a college student s dysfunctional career thought affecting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ub-fa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s a mediator was recognized by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counsel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suggested the need for a closer approach and counseling strategy.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