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lastic Intake Manifold 개발 과정 상의 NVH 특성 시험 및 평가

        이수열(Soo-Yeol Lee),송재은(Jae-Eun Song),서인수(In-Soo Suh) 한국자동차공학회 199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1998 No.11_2

        Recently, intake manifold has been changed from aluminum casting to plastic molding, which is a successful example of weight reduction keeping about the same cost and engine performance for modern passenger car engines.<br/> In view of noise and vibration of an engine, however, the lower stiffness plastic manifold can naturally cause higher vibration and noise level. In this study, the NVH development process for newly designed plastic intake manifold is introduced. The test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aluminum manifold in terms of vibration and noise level, and their characteristics. By optimizing the thickness and adding appropriate brackets, we achieved the comparable level of radiated noise level from the engine.<br/>

      • 근대 일본사상과 상하이

        이수열(Lee, Soo-Yeol)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6 No.10

        In modern times, Shanghai was the foreign metro city that most Japanese visited. This article thought about a meaning of Shanghai as the space of the cultural contacts through analyzing some modern Japanese literary works. To say conclusively, among the literary people who noticed Chinese political reality through service in a war and domiciliation with the people who visited Shanghai as a tourist based on exoticism, many differences were watched. The article thought about possibility of the de-nationalism by taking up diverse aspects of such cultural contacts.

      • 근대 일본작가의 上海 체험

        이수열(Lee, Soo-Yeol)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0 해양도시문화교섭학 Vol.- No.2

        In modern times, Shanghai was the foreign metro city that most Japanese visited. This article thought about a meaning of Shanghai as the space of the cultural contacts through analyzing some modern Japanese literary works such as Muramatsu Shohu, Tanizaki Junichiro, Akutagawa Ryunosuke, Takeda Taijun, Hotta Yosie. To say conclusively, among the literary people who noticed Chinese political reality through service in a war and domiciliation with the people who visited Shanghai as a tourist based on exoticism, many differences were watched. The article thought about possibility of the de-nationalism by taking up diverse aspects of such cultural contacts.

      • KCI등재

        16세기 동아시아해역의 군수물자 유통-일본열도와 왜구-

        이수열(Lee, Soo-Yeol) 한일관계사학회 2021 한일관계사연구 Vol.71 No.-

        오늘날 일본 학계에서는 16세기 동아시아해역에서 활동하던 왜구를 ‘상업의 시대’의 한 주체로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왜구상의 변화를 초래한 배경에는 민족과 국가에서 벗어나 동아시아해역의 역사를 새로이 서술하려는 해양사관의 대두가 있다. 왜구는 ‘바다의 시좌’를 거치는 과정 속에서 종래의 폭력적인 침략자에서 동아시아해역의 교역자로 변모해갔다. 왜구를 국제상업의 교역자로 묘사하는 일본 학계의 평가는 중국이나 한국 사회의 일반적인 역사 인식과 커다란 괴리를 보이고 있다. 과연 16세기 동아시아해역은 일본 학계의 연구 성과가 밝히고 있는 것처럼 국가나 민족적 귀속이 애매한 ‘경계인’들의 활동 무대였을까? 16세기 왜구는 중국인이 다수였고, 일본은 단지 ‘근거지와 구성원을 제공하는’ 수동적인 위치에 머물렀을까? 이 논문은 왜구의 군수물자 유통, 그 중에서도 화기와 염초무역을 통해 16세기 왜구의 한 단면에 접근하고자 하는 것이다. 16세기 중엽에 시작된 지구적 차원의 은 순환은 동아시아해역의 물자와 사람의 흐름을 크게 바꿔놓았다. 상황 속에서 포르투갈이 들여온 신식 화기는 동아시아의 전통 화기를 대신하며 아시아사회에 군사혁명을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내전 하에 있었던 일본은 포르투갈 상인을 통해 전래된 조총을 자체 생산하는 데 성공했지만, 화약 원료인 염초는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일본열도가 왜구 물자가 대량으로 거래되고 소비되는 일대 시장이 된 것은 그러한 이유에서였다. 논문에서는 동아시아해역의 군수물자 유통을 통해 16세기 왜구와 일본열도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한다. Today, Japanese academia generally regards Waegu and Wako, who were active in the East Asian seas in the 16th century, as among the main traders in the "age of commerce." The background to such a change in the image of the Waegu is the rise of maritime history, which attempts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e East Asian seas beyond ethnic groups and nations. In the process of going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sea," Waegu changed from violent invaders to traders in East Asian seas. The evaluation of Japanese academia describing Waegu as traders of international commerce is very different from the general perception of history in Chinese society and Korean society. Were the East Asian seas in the 16th century the stage for the activities of "marginal men" whose national and ethnic attributes were ambiguous, as recent research by Japanese scholars revealed? The majority of Waegu in the 16th century were Chinese, and Japan was simply passive in providing bases and memb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distribution of munitions by Waegu, especially in the trade of firearms and saltpeter. The global silver circulation, which began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greatly changed the flow of goods and people in the East Asian seas. Under these circumstances, Portugal"s new firearms replaced traditional East Asian firearms and triggered a military revolution in local communities. In the case of Japan, which was in a state of civil war at that time, they succeeded in domestically producing guns introduced through Portuguese merchants, though they had no choice but to import saltpeter, a raw material for gunpowder. This is why the Japanese archipelago became a large market where a large amount of Waegu goods were traded and consumed. This paper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16th century Waegu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근대 일본의 상선 선원 : ‘고급’선원과 ‘보통’선원

        이수열(Lee, Soo-Yeol),안미정(An, Mi-Jeong)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19 No.-

        지금까지 일본 선원의 역사에 관한 연구는 해운경영사, 기업사, 노동운동사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 가운데 선박노동자의 권리 투쟁을 주제로 하는 노동운동사를 제외하고 해운경영사나 기업사에서 선원은 관리나 경영의 대상‧객체로 그려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선원을 한 묶음의 노동자 집단으로 다루는 노동운동사 또한 이 점에서 완전히 자유롭다고는 할 수 없다. 1980-90년대 전후부터 선원 관련 연구는 양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그 배경에는 선원의 ‘소멸’이라는 상황이 존재하고 있었다. 경영합리화를 이유로 일본인 선원의 감소, 바꿔 말하면 외국인 선원의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선원은, 외국인 선원이 여전히 다수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점차 연구자들의 문제관심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선원을 ‘고급’선원과 ‘보통’선원으로 구분하는 근대 일본의 이원적인 선원 정책을 그 양성 과정과 노동 현장의 실태를 통해 밝히고, 그러한 차별을 낳은 주된 원인으로서 국가의 해운 정책에 관해 살펴보는 것이다. 선원을 일컬어 하는 말 ‘바다의 囚人’에는 고립된 환경에서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육체적인 고통뿐만 아니라 선상에서의 차별적 대우도 포함되어 있었다. 선박 중앙부의 독실에 거주하는 고급선원과 파도소리가 진동하는 선수의 방 한 칸에서 공동생활을 하는 보통선원은 작업 환경이나 보수에서는 물론 식사에 이르기까지 모든 점에서 차이가 났다. 보통선원은 매 항해마다 고용되는 임시고용의 형태로, 직원록에도 실리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었다. 단순히 업무상의 차이를 넘어 인격적인 차별로까지 이어지는 선원사회의 계급적 질서는 교육, 취업, 노동, 군복무, 퇴직 후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근대 일본에서 해운 확장은 국가의 팽창과 궤를 같이 하고 있었다. 국가는 선사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항로 개설을 명령했다. 한편 선사는 정치권력과 결탁함으로써 비대해져갔다. 해운업은 국가의 대외 진출을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기간산업이었다. ‘방선방인주의’는 이 기간산업에 대한 일본 정부의 기본 방침으로서, 그것은 해운이 갖는 군사적 성격에서 비롯하고 있을 뿐 아니라 당시 턱없이 높은 임금을 받았던 외국인 선원을 구축함으로써 해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이기도 했다. 고급선원의 양성은 방선방인주의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조건이었다. 그러나 보통선원 육성에 관해서는, 2차 대전 시 전사 선원을 메우기 위한 일시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끝내 미온적인 태도로 일관했다. 이러한 근대 일본의 이원적 선원 정책이 고급선원과 보통선원 사이의 차별을 낳은 근본적인 이유였다.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 on the history of Japanese seafarers has been done in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shipping management or the history of the labor movement. Around the 1980s and 1990s, seafare research began to decline quantitatively. In the process of decreasing the number of Japanese seafarers due to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the seafarers gradually became out of the interest of research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modern Japan"s dualistic seafarers policy, which divides seafarers into "high-class" officers and "low-class" seamen, through its training process and labor conditions, and to examine the nation"s shipping policy as the main cause of such discrimination. The term "prisoner of the sea," which refers to seamen, includes not only physical suffering from hard labor in isolated conditions but also discriminatory treatment on board. High-class officers living in single rooms in the center of the ship and low-class seamen living together in a single room where the sound of waves vibrated differed in every way, from working conditions to meals. Low-class seamen are employed on every voyage in the form of temporary employment, which is not even on the employee list. This hierarchical order of seafarers society can be found in almost every process, from education, employment, labor, military service, to post-retirement. In modern Japan, shipping expansion was in line with national expansion. The state subsidized shipping companies and ordered them to open routes. Meanwhile, the shipping company has become bloated by colluding with politics. The shipping industry was an indispensable key industry for the country"s entry into foreign markets. Training high-class officers was an indispensable condition for achieving shipping independence. However, when it comes to low-class seamen, they have remained lukewarm in the end. This dualistic seafarers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was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discrimination between high-class officers and low-class seamen.

      • KCI등재

        재조일본인 2세의 식민지 경험

        이수열(Lee, Soo-Ye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한국민족문화 Vol.50 No.-

        근대 시기 재조일본인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최근의 연구는 적어도 이주일본인들을 ‘침략의 첨병’으로만 바라보는 기존의 연구와는 관점을 달리하고 있다. 한마디로 식민지 시기 연구는 ‘수탈이냐 근대화냐’하는 이분법적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의 목적은 재조일본인들을 세대적으로 구분하여, 그중에서도 주로 식민 2세들의 경험과 의식을 그들이 남긴 문학작품이나 체험기를 통해 살펴보는 일이다. 식민 2세란 어린 시절 식민지로 이주해왔거나 또는 식민지에서 출생한 사람을 지칭하는 말로, 그들 대부분은 패전 이후 일본으로 되돌아갔다. 역동적인 역사경험 속에서 형성된 그들의 정신구조는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식민 지배의 책임 분담자로서 강렬한 제국 의식과 사명감으로 무장한 식민 1세들이 확고한 국가관을 지니고 있었던 것에 비해, 식민지에서 태어나 자란 2세들에게 고국은 환상 속에서나 존재하는 의식적인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들은 일본인이면서 일본을 몰랐다. 자신들이 타자들로 둘러싸인 식민지에서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안타깝게 생각했다. 그러한 고향상실자로서의 의식과 식민지적 차별과 수탈 위에 성립하는 그들의 생활은 식민 2세들을 나약하고 무능한 세대로 만들어갔다. 패전 이후 일본에서 식민 2세들에 의한 회상기와 체험담이 출현하기 시작하는 것은 1970년대 전후부터였다. 그것들을 살펴보면 패전 직후의 기아 상태와 곧이어 시작된 고도경제성장 속에 해소된 듯 했던 전후일본사회에 대한 식민 2세들의 위화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출신 식민 3세 시인 무라마츠 다케시는 그러한 식민 2세들의 정체성을 ‘반일본인?반조선인’이라고 표현했다. 식민 2세는 전후일본사회가 망각해온 식민지의 기억을 되살리는, 다시 말해 제국 일본과 현대 일본을 가교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본고가 식민 2세의 역사와 의식구조에 주목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Studies on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are taking on a new aspect. Recent studies, at the least, are assuming a different standpoint from existing researches, which view Japanese settlers as "spearheads of invasion." Simply put, studies of colonial era are welcoming a turning point, breaking away from the dichotomous frame of determining "either exploitation or moder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by generation and to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through literature and stories they left behind.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refer to Japanese people who immigrated to the colony when they were young or were born in the colony. Most of them returned to Japan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Their mental structure formed in the midst of dynamic experiences of the time show complicated aspects. Unlike the first generation settlers who shared a firm viewpoint of state armed with intense imperial consciousness and sense of duty as people sharing the responsibility of colonization,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who were born and raised in the colony regarded their homeland Japan nothing more than a ritual that exists merely in their fantasies. They were Japanese people, and yet were ignorant of Japan. They felt sorry for the fact that they were living in a colony surrounded by others. The awareness as person rid of hometown and the living that came into existence upon colonial discrimination and exploitation made these second generation settlers become feeble-minded and incompetent.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who had returned to Japan after the 1945 defeat started to publish memoirs and stories since the 1970s. Examining these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incompatibility among the second generation settlers for the post-war Japanese society, which seemed to have healed over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Japan that began right after the post-war famine, was still prevalent among these generation. Muramatsu Takeshi, a poet and a third generation of colonial Korea, described such identity of second generation settlers of colonial Korea as "half Japanese-half Korean." These second generation Japanese settlers of colonial Korea are people who revive the colonial memory that post-war Japan have been neglecting. In other words, they act as a bridge between the Imperial Japan and the Japan today. This is the very reason why the present study underlines the history and consciousness structure of the second generation Japanese settlers of colonial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오자키 호츠미(尾崎秀實)의 중국인식과 上海 경험

        이수열(Lee Soo-yeol) 부산경남사학회 2010 역사와 경계 Vol.75 No.-

        Ozaki Hotsumi was not only a well-known socialist but a famous China watcher of modem Japa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hink about the Chinese policy theory of Ozaki with connection with his Shanghai experience. Ozaki was a reporter for Osaka Asahi Shimbun. He met various people like Chinese socialism writers and some international communists in Shanghai. The papers of enormous quantity announced in 1930's was based on such Shanghai experience.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focuses at Shanghai as the center of the socialism network of the East Asia while paying attention to Ozaki's Chinese policy theory. Including Ozaki, many various people gathered in Shanghai of around 1930 and aimed at the world socialization. In this article, I thought about the meaning of Shanghai as the center of the socialism network of East Asia.

      • KCI등재

        로망스어의 강세 구조에 관한 비교 연구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를 중심으로-

        이수열 ( Soo Yeol 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4 언어와 언어학 Vol.0 No.65

        The stress is the important factor in Romance languages and plays a role to distinguish the words that have the same pronunciation and the different meaning. In this study I analyze the prosodic structure of Spanish, Italian and Portuguese and propose the unified stress rule in these languages, according to their prosodic structure. The Romance languages reserve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the Latin and one of these is the sensibility to the syllable weight. According to this principle, the Romance languages stress tends to fall on the heavy syllable. Also I analyze if this principle applies to Spanish, Italian and Portuguese and with this analysis realized I propose the ‘four-mora window’ in the Romance langu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