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otivators and Demotivators of Chat Reference Service

        이성신 한국정보관리학회 2008 정보관리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factors which motivate academic library users to use chat reference service and which demotivate academic library users to use chat reference service. To achieve the study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 with the selected participants (Information Studies graduate students at Florida State University(FSU)) through email in April and May 2007. This study found that 1) convenience, 2) anonymity, and 3) inexpensiveness of the service served as incentives(motivators) for chat reference service consumers to use the service. On the other hand, chat reference service consumers mentioned the following factors as obstacles (demotivators) for using the service: 1) waiting time, 2) accessibility, 3) interface design, and 4) difficulties with expressing themselves in a virtual space.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이용자가 채팅을 통한 정보봉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요소에 의해 동기화가 이루어지며 또한 어떠한 요소에 의해서 동기화가 방해되는지를 밝혀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위해, 본 연구는 미국의 플로리다 주립대학에서 문헌정보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하여 2007년 4월과 5월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자료의 분석결과 채팅을 통한 정보봉사서비스를 대학도서관 이용자들이 이용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동기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용의 편리성, 익명성,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는 점. 한편, 채팅을 통한 정보봉사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방해요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언급되었다: 서비스를 기다리는 시간, 접근성,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상공간에서 자신의 의사를 정확히 표현할 수없는 불편함.

      • KCI등재

        정보격차 연구 동향 분석 — 문헌정보학분야와 일반사회과학분야와의 비교 —

        이성신,강보라,이세나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digital divide research trends of LIS fields and other social science fields through the analysis of author keyword network of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using NetMiner4 software. The author keyword was collected from KCI databas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igital divide studies were focused on information services provision for information disadvantaged group by the public libraries in LIS fields. However, the studies of other social science fields were focu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ciety and a new phenomenon of digital divide in the smart era, 2) compared with the other social science fields, there were a few researches about the old among the underprivileged, 3)there was little interest in other types of libraries except public libraries in LIS fields, 4)there is a need to study new types of digital divide in the smart era by LIS scholars.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분야와 일반 사회과학 분야의 정보격차 연구 동향을 관련 연구논문들의 키워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통해 2000년도부터 2019년 현재까지의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저자 키워드를 추출하여 NetMiner4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문헌정보학 분야의 경우 공공도서관의 정보소외 계층을 위한 정보서비스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비해 일반 사회과학 분야의 경우는 정보사회의 특성에 주목한 연구들과 최근의 스마트 환경에서의 정보격차 현상에 주목한 연구들이 많았다. 또한 소외계층 중에서는 노인에 대한 연구가 일반 사회과학 분야에 비해 많지 않았다. 따라서 노인의 정보격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공공도서관 중심에서 여러 관종의 도서관들에 대한 관심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또한 문헌정보학 분야의 경우 새로운 정보환경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이해를 시도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따라서 4차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새로운 스마트환경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 홍보를 위한 서포터즈 활용에 대한 제언

        이성신,백수민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or utilization of supporters to promote public librarie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n-depth interview with nine public library supporters of two public libraries was condu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method. The order in which the data analyzed is as follows: segmenting, first coding, in-depth coding, and theme discover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for the operation of public library supporters: 1) needed to assign roles based on supporters’ capabilities and personal characteristic, 2) needed proactive role by the librarian in charge, 3) needed proactive role by the public library, 4) needed adequate rewards, 5) needed prior education about the public library. 본 연구의 목적은 서포터즈 운영이 공공도서관에 대한 홍보 효과를 담보하기 위해서 어떤 점에 유의하면서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실제 서포터즈로 활동하고 있는 이들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개 공공도서관의 9명의 서포터즈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인터뷰자료는 녹음 후 전사하여 질적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질적분석은 세그멘팅, 초기코딩, 심층코딩, 주제의 발견 순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서포터즈를 통한 홍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서포터즈 운영과 관련한 다음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서포터즈의 개인 역량 및 특성을 고려한 역할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담당 사서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된다. 셋째, 도서관 측의 적극적 역할이 요구된다. 넷째,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서포터즈에 대한 사전 교육 시 해당 도서관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 KCI등재

        근거이론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도서관서비스 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모델 제안

        이성신 한국문헌정보학회 20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service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fter interviewing twelv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earcher coded the data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a result of the entire coding processes, this study constructed the library service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odel. According to the model, the following ten factors are important when explaining library service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e information users' environment, other people, users' experiences, recognition of information sources, information provided, memory, a need-creating environment, information gathering, information use, and satisfaction and/or dissatisfaction. 본 연구는 도서관 서비스이용자와의 인터뷰자료를 근거이론방법론을 기초로 분석하여 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상의 특성을 파악하고자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모델에 따르면 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정보추구행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음의 열 가지 요소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이용자의 환경, 의미 있는 주변인, 정보제공, 정보원의 인지, 개인의 과거경험, 기억, 정보수집, 요구를 발생시키는 사건 혹은 환경의 발생, 정보이용, 만족 혹은 불만족의 경험

      • KCI등재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의 상관관계분석 및 매개변수

        이성신,Lee, Seongsi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1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recent research in Business field, the correlation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s not strong.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 user satisfaction and public library service user loyalt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40 public library us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1) the correlation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 user satisfaction' and 'public library service user loyalty' exists. However the strength of the correlation is moderate, 2) the correlation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 user satisfaction' and 'public library service users' intention to use new library services' is the weakest among the variables of 'public library service user loyalty', and 3) the correlation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 user satisfaction' and 'public library service users' intention to recommend library services to others is the strongest among the variables of 'public library service user loyalty'.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moderator variables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 user satisfaction and public library service user loyalt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moderate variables are found: 1) physical accessibility, 2) lack of diversity in library service, 3) car-parking issues, 4) lack of diversity and recency in collections, and 5) lack of convenience in facil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사이의 상관관계가 알려진 것처럼 높지 않다는 일부 경영학분야의 연구결과가 공공도서관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들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에도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하는데 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사이의 상관관계는 존재하나 그 정도는 높지 않다, 2)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들 중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 이용의사'라는 변수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낮다, 3)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지표들 중 '타인에게 사용을 권할 의사'라는 지표와 이용자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목적이다. 데이터의 질적분석을 통해 발견된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1) 지리적 접근성, 2) 서비스의 다양성 부족, 3) 주차문제, 4) 도서관 자료의 부족 및 최신성과 다양성 부족, 5) 도서관내의 편의시설 부족.

      • KCI등재

        북한 도서관잡지 「도서관일군 참고자료」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이성신,김현숙,백수민,윤수빈,최재황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도서관운영방법연구소가 간행한 2년간의 「도서관일군 참고자료」(2016~2017)를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해 보는데 있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은 단순 단어의 빈도분석을 뛰어넘어 단어 간의 연결성과 관계성을 파악하여 특정 단어가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으며, 특정 사회현상에 대한 해석과 시사점 도출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용어의 빈도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매개중심성 분석, 군집분석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도서관일군 참고자료」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북한의 도서관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용어들은 ‘리용자’, ‘정보봉사’, ‘정보요구’, ‘정보기술’, ‘과학기술’, ‘사회적학습’, ‘콤퓨터’, ‘자료기지’, ‘정보수집’, ‘정보검색’, ‘도서관일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귀인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서관 SST(Self-Service Technology)기반 서비스실패와 서비스회복 전략 탐색

        이성신,Lee, Seong-S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general overview of SST-Based(Self-Service Technology Based) services and understand SST-Based service failure by users and service recovery strategy based on attribution theor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tudy reviewed literature related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ST-Based service and user studies of SST-Based servi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SST-Based service and library SST-Based servic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appropriate service recovery strategies of service failure by user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attribution theory. The finding was that the most important SST-Based service recovery strategy is to improve technical service quality of the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SST(Self-Service Technology)기반 서비스 이용자 관련 연구를 개관하고 귀인이론을 통해 이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서비스실패와 이에 대한 회복전략을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적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는 SST기반 서비스의 특성 및 이용자연구를 문헌조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도서관 SST기반 서비스도 일반적인 SST기반 서비스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인 서비스와 다른 특성을 지니는 SST기반 서비스의 경우 이용자에 의한 서비스 실패가 발생했을 경우 적합한 회복 전략은 무엇인지를 귀인이론을 기초로 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SST기반 서비스를 비롯한 SST기반 서비스의 이용자에 의한 실패를 회복하기위한 전략은 서비스자체의 기술적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 서비스 포지셔닝 전략

        이성신,Lee, Seongs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를 충성도에 따라 세분화하고 각 세분시장을 목표시장으로 하는 공공도서관서비스 포지셔닝전략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결과는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충성도가 낮은 집단에 제시된 포지셔닝전략은 첫째, 이동도서관서비스의 확대실시 및 셔틀버스의 활용, 둘째,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이용자조사, 셋째, 공공도서관 서비스 홍보방식의 다양화, 넷째, 이용자조사를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 구비 등 이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집단에 대한 포지셔닝전략은 첫째, 내부마케팅, 둘째, 도서관 시설 및 설비 품질의 일정 수준 유지, 셋째, 취학 전 아동 및 초, 중, 고등학생과 학부모를 위한 독서프로그램 기획 및 제공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ublic library service positioning strategies for the segmented markets according to public library service users' loyalty.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 with public library users. Qualitative method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public library service positioning strategies for the both segmented groups were suggested: 1) expanding of bookmobile service and utilization of shuttle bus, 2) regular and systematic user study, 3) diversification of public library service promotion methods, 4) user survey, 5) internal marketing, 6) increasing environmental qua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and 7) provision of reading programs for preschoolers, students, and their parents.

      • KCI등재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마케팅

        이성신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 정보관리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that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can have in public library collection selection and service development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GIS is a computer system capable of assembling, storing, manipulating, and displaying geographically referenced inform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GIS, we can collect geographical, transportation, political, legal, demographic, economic, social, cultural,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information of the community. Public libraries can utilize GIS for market research, including customer analysis to select library collection and develop library service based on library users' needs. As a result, public libraries can find a way to make a lasting relationship with users which is the final goal of marketing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정보시스템(GIS)이 공공도서관 자료선정과 서비스개발에 갖는 의미를 마케팅적 시각에서 탐색해보고자 하는 데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이란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고, 조작해서 표현해낼 수 있는 컴퓨터시스템이다. 지리정보시스템을 통해,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의 교통관련정보, 정치적, 법적, 인구 통계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은 지리정보시스템을 마케팅의 첫 단계인 시장조사 즉 이용자분석에 활용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자료선정과 서비스개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또한 이용자와의 지속적 관계형성이라는 마케팅의 최종목적을 달성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S-Function Builder를 이용한 UWB 시스템의 성능해석

        이성신,변건식,Lee Sung-Sin,Byon Kun-Sik 한국정보통신학회 2005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9 No.3

        UWB 통신 기술은 초광대역 특성 때문에 높은 전송 속도와 저전력 통신이 가능하여 의료장비에 응용이 가능하다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는 UWB 통신 기술의 응용으로 의료 측정기인 ECG 센서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선 심전도 센서를 무선 링크로 대체하는 것으로, UWB에 사용가능한 각종 펄스의 스펙트럼 특성을 FCC Spectral Mask와 FCC indoor limit에 비교하였다. 또한, 적용하고자 하는 시스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UWB 신호 간섭의 영향에 따른 UWB 송수신 시스템을 근거리 송수 거리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Rake 수신기를 사용하면 약 10m까지 신뢰성을 가지는 통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application of UWB not only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remote sensors system(ECG), it also contribute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ations through its unique qualities such as ultra low transmission power - an important factor when dealing with biomedical equipment. In this paper, the aim is to replace the wired ECG sensors with a wireless link and design wireless UWB communication system. The various pulse shapes are presented that satisfies the FCC spectral mask and FCC part 15 rule. It is shown that UWB can be a high rate transmission over short ranges using Rake receiver, with the capability for reliably transmitting 100Mbps over distance at about 10 me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