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 찾은 이용악의 『보람찬 청춘』과 시 작품연구

        이상숙(Lee Sang-sook)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이 논문은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이용악의 작품 몇 편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의 대상이 되는 실화문학 『보람찬 청춘』, 산문 「혁명사상으로 무장하련다」과 시 「산을 내린다」, 「앞으로! 번개같이 앞으로!」, 「피값을 천만배로 하여」 등은 정치적 부침없이 북한 문학계에서 활발히 활동한 월북 후 이용악 문학의 면모를 가늠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1955년에 발표된 『보람찬 청춘』은 전후 복구시기를 배경으로 전후 복구에 참여하는 청년들의 이야기를 옮긴 일종의 실화문학인데, 산문을 많이 남기지 않은 이용악의 작품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전후의 복구 건설을 위해 대중동원과 함께 청년의 역할을 강조하던 당시 북한문학계의 요구에 충실한 작품으로, 해방 전 이용악 작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특유의 인물 형상화 방식이 잘 드러난다. 또 이용악 초기시에 나타난 서사성과 비탄적 서정성은 이 실화문학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그 외 함께 발굴된 「산은 내린다」, 「앞으로! 번개같이 앞으로!」, 「피값을 천만배로 하여」 등의 시를 통해 북한 사회주의 시인의 역할에 충실했던 시인 이용악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newly discovered works by Lee Young-Ak’s. Rewarding Youth, his rare novel based on a true story, is especially significant as the poet left the world little prose. The novel faithfully reflects the demands of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to emphasize the primary role of young people in restoring the devastated nation in 1955 after the Korean War, and showcases Lee’s unique literary voice. The epic narrative style and grief-stricken lyricism emphasized in Lee’s early poetry are also evident in this novel. Through other works by Lee including Down the Mountains, Go Forward! Go Forward Like Lightning, and Revenge for Blood a Million Times, all of which were discovered along with Rewarding Youth, it can be seen how his poetic oeuvre unfolded in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fter his defection. This study also reveals how unlike other South Korean poets who had defected to North Korea, Lee was active in and faithful to socialist literature.

      • 기관지도말 표본에서 p53단백 발현의 진단적 의의

        이상숙,배지연,강유나,조영록,김시남,박남조,김선영,김정희,Lee, Sang-Sook,Bae, Ji-Yeon,Kang, Yu-Na,Cho, Young-Rok,Kim, Si-Nam,Park, Nam-Jo,Kim, Seun-Young,Kim, Jung-Hi 대한세포병리학회 1996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7 No.2

        Abnormalities of p53 gene are common in lung cancers and are associated with immunologically detectable p53 protein. p53 immunoreactivity is uncommon in normal cells but is frequently seen in neoplasia. Therefore, assessment of p53 expression may assist in the cytological diagnosis of malignancy. The usefulness of p53 immunostaining as a marker of malignancy in the cytological analysis of bronchial brush specimens from the patients with lung cancer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 total of 71 bronchial brush samples submitted for cytologic diagnosis were immunostained with D07, a monoclonal antibody to recombinant p53 protein. Resultant p53 data were correlated with cytologic diagnosis and clinical information. Of the 17 smears with a benign cytodiagnosis, all were p53 negative. Of the 40 cases with a malignant cytodiagnosis (histologically confirmed), 35 were p53 positive and 5 were negative. Of the 14 cases that were cytologically suspicious but nondiagnostic for malignancy, 11 were p53 positive, 9 of which were subsequently proved to be malignant by histologic examination, and the remaining 2 cases were tuberculosis clinically. Forty four of 51 histologically confirmed lung carcinomas were p53 positive, including 25 of 28 squamous cell carcinomas, 13 of 17 small cell carcinomas, 3 of 3 adenocarcinomas, and 3 of 3 large cell undifferentiated carcinom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53 immunostaining could be of value as a marker of malignancy in the cytologic examination of bronchial brush specimens. Furthermore, we have shown the possible clinical utility of p53 immunostaining in cytopathological diagnosis, that is, as a valuable adjunct to morphological assessment in the analysis of cytopathologically suspicious cases.

      • SCOPUSKCI등재

        도시(都市)와 농촌(農村) 약년자(若年者)의 혈액(血液)가스 및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 비교(比較)

        이상숙,김두희,Lee, Sang-Sook,Kim, Doo-Hie 대한예방의학회 1985 예방의학회지 Vol.18 No.1

        도시인(都市人)과 농촌인(農村人)간의 혈중(血中) 가스 및 중금속(重金屬) 농도(濃度)를 비교(比較)하기 위하며 1985년 5월에 대구지역(大邱地域)에서 15년이상 거주(居住)한 모(某) 고등학교(高等學校) 3학년(學年) 재학생중(在學生中) 34명(名)과 대조군(對照群)으로서 의성군(義城郡) 소재(所在) 동급(同級) 학생(學生) 37명(名)을 대상(對象)으로 하였다. 다만 흡연(吸煙)한 경험(經驗)이 있는 학생(學生)은 포함되지 않았다. 시료(試料)는 Heparin으로 처리된 1회용 주사기로 정맥혈액(靜脈血液)을 채혈(採血)했다. 혈액(血液)가스는 CO-Oximeter(IL. 282)가 부착(附着)된 Blood Gas Analyzer(IL. 1301)로 분석(分析)하였으며, 연(鉛)은 원자화(原子化) 무염광여(無焰光廬)(flameless furance atomizer, IL. 655)가 부착(附着)된 원자(原子) 흡광(吸光) 광도계(光度計)(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IL. 551)로 분석(分析)하였고 카드뮴과 동(銅)은 염광(焰光) 원자(原子) 흡광(吸光) 광도계(光度計)(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로 분석(分析)하였다. $PO_2$와 $O_2-Hb$은 농촌(農村) 거주군(居住群)에서 각각 $29.34{\pm}7.37mmng,\;48.30{\pm}15.23%$로 도시(都市) 거주군(居住群) 보다 높았다(각각, p<0.01, p<0.03). ${HCO_3}^-$와 $TCO_2$는 도시(都市) 거주군(居注群)에서 각각 $28.01{\pm}1.58mM/L\;29.66{\pm}1.69mmHg$로 농촌(農村) 거주군(居住群) 보다 높았다(각각, p<0.01, p<0.01). CO-Hb는 도시(都市) 거주군(居住群) 보다 농촌(農村) 거주군(居住群)에서 $1.82{\pm}0.36%$로 높았다(p<0.03). Met-Hb은 도시(都市) 거주군(居住群)에서 $0.36{\pm}0.24%$로 농촌(農村) 거주군(居住群)보다 높았다(p<0.01). 도시(都市) 거주군(居住群)의 혈중(血中) 연(鉛)과 카드뮴 함량(含量)은 각각 $0.142{\pm}0.084ppm,\;0.029{\pm}0.007ppm$으로 농촌(農村) 거주군(居住群)의 $0.099{\pm}0.082\;ppm,\;0.025{\pm}0.006\;ppm$보다 높았다(각각, p<0.03, p<0.02). 이상의 결과(結果)로 보아 도시(都市) 거주자(居住者)는 각종 차량(車輛)의 배기(排氣)가스로 인한 대기오염(大氣汚染)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농촌(農村)에서는 주택(住宅) 구조(構造)가 개선(改善) 되지 않은 상태(狀態)에서 연탄(煉炭) 난방시설(煖房施設)이 보급(普及)된 관계(關係)로 실내(室內) 일산화탄소오염(一酸化炭素汚染)이 문제(問題)가 된다고 추측(推測)되는 바이다. This paper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venous blood gas components and heavy metals, such as lead, cadmium and copper, in blood between urban and rural teenager. The subjects were 34 in urban, Taegu city and 37 in rural, Euisung-Gun. But smokers were excluded. The specimens were sampled in May, 1985. The heavy metals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IL. 551) and carboxy-Hb, Met-Hb, Hb, $O_2\;and\;CO_2$, blood gas analyzer (IL. 1301) and CO-oximeter (IL. 282). In urban group, $PO_2\;and\;O_2-Hb$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rural (p<0.01, p<0.03, respectively), and ${HCO_3}^{-}\;and\;TCO_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rural (p<0.01, p<0.01, respectively). CO-Hb concentration was rather higher in the rural group than the urban (p<0.03), other Met-Hb was higher in urban group than in the rural (p<0.01). Lead and cadmium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rban group (p<0.03, p<0.02, respectively).

      • 방광암 환자의 요세포 검사에서 p53 단백 발현의 의의

        이상숙,배지연,강유나,조영록,박남조,김선영,김정희,Lee, Sang-Sook,Bae, Ji-Yeon,Kang, Yu-Na,Cho, Young-Rok,Park, Nam-Jo,Kim, Seun-Young,Kim, Jung-Hi 대한세포병리학회 1996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7 No.2

        Although bladder cancers are very common, little is known about their molecular pathogenesis. It is known that p53 alteration is found in about 60% of 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necessiating aggressive therapy and poor outcome. We examined the nuclear expression of p53 protein, using D07 monoclonal antibody in the urine samples from 31 patients with transitional cell carcinoma of the blad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p53 overexpression with histologic grades and depth of invasion. The positive rate of p53 protein was 27% in superficial bladder tumor, but increased up to 71% in the invasive bladder carcinomas. The overexpression of p53 protein increased according to Mostofi grading system from 18% in grade I, 45% in grade II, and up to 100% in grade III. The p53 expression tended to be higher in the invasive and high grade bladder cancers than in the superficial and low grade ones(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the urine specimen in the bladder cancer patients could be a useful method of screening for the presence of p53 mutant protein. The mutant p53 protein expression may be an indicator of bladder cancer with more proliferative potential and/or aggressive biologic behavior.

      • KCI등재

        북한문학 속의 백석Ⅰ

        이상숙(Lee Sang-sook) 한국근대문학회 2008 한국근대문학연구 Vol.9 No.1

        이 논문은 북한문학에 나타난 시인 백석의 흔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백석은 재북 시인으로서 해방 후 북한문학에 편입되어 활동하였다. 주로 중국과 러시아 시를 번역하고 동시를 창작하며 북한문단에서 활동하였고, 19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초에 이르는 몇 년가 몇 편의 시를 발표한 후 북한문단에서 사라졌다. 백석의 문학적 활동의 특징과 문단에서 사라진 시점은 북한문학계의 변화와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서 주체 문예이론으로 나아가는 변화의 시기에 백석을 포함한 많은 월북 문인들이 문학사에서 사라졌기 때문이다. 북한문학의 변화와 그 안에서 시인 백석이 받은 평가와 시작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방 전 향토색 짙은 방언과 향리의 전설, 고독과 외로움의 정서를 주로 시를 표현했던 백석이 북한문학에서 평가받는 대목을 주로 류만의 문학사를 통해 살펴볼 것이다. 단편적이나마 드러나는 백석의 평론을 통해 북한문학에 편입된 그가 견지하고 있는 문학관을 살펴볼 수 있고 이를 그의 시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백석이 1960년대 초 남긴 몇 편의 시에는 해방 전 백석시의 면모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으나 북한문단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 논문에서는 당시 북한문학계의 백석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는 것은 물론 1990년대 중반에 달라지는 백석에 대한 평가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것이 분단으로 감추어진 백석 문학의 후반부를 완성시키는 작업 중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aims at identifying Back Suk, a North Korean poet. He had made his debut in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nd continued his literary activities since Liberation. He mainly translated Russian literary works and wrote poetry for children and then became obscure betwee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after publishing several poems. Considering the attributes of his works, his obscurity is widely recognized to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North Korea. In other words, the shifting era to Juche ideology from socialistic realism coincided with the vanishment of a plethora of literary figures who went to North Korea, inclusive of Back Suk. This thesis includes his translated works, children poetry and poems he published to protect himself from North Korea, who typically employed richly indigenous dialects and folk tales to depict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loneliness in his writing. In this regard, it will be greatly enthusiastic for researchers to appreciate his perspective and passion on poetry hidden in translated Russian poems and his pursuit of vernacular words and relics veiled in fairy tale poems. In fact, a few poems he wrote in the early 1960s reminds us of his pre-liberation literary style, which, nevertheless, seemingly didn't lead him to eminence. This thesis will also take a close look at the reviews on Back Suk made by North Korean literary circle as well as those altered in the mid-1960s. It is hoped that this thesis will pave the way for the culmination of the latter period of his literature which the division of Korea has kept in the dark.

      • KCI등재

        1950~1960년대 조선족의 북한 이주와북·중 협력

        이상숙 ( Sang Sook Lee ),宋文志 ( Wen Zhi Song ) 북한연구학회 2012 北韓硏究學會報 Vol.16 No.1

        이 연구는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북·중 간 조선족 이주 정책 협력과 불법월경자에 대한 협력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50년대 말 북한과 중국의 경제 상황을 검토하여 북한이 조선족의 이주 정책을 적극화한 원인과, 북·중 협력 원인을 분석하였다. 1945년 해방 직후 중국 동북지역 조선인들은 조선인이면서 중국 국민이라는 정체성을 동시에 가지도록 중국공산당에 의해 독려되었다. 이러한 조선족의 이중 정체성은 1946년 3월 중국공산당의 토지개혁 시기에 더욱 부각되어 자신의 토지를 보호받았거나 분배 받은 조선인들은 국공내전 시기 중국공산당을 지원하게 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말부터 북한은 적극적 이주정책을 실시하였다. 북한의 이러한 정책에는 당시 북한의 노동력 부족 상황과 대중 동원형 경제노선이 배경이 되었다. 북한의 노동력 부족은 같은 시기 재일조선인의 대규모 입북과 동시에 조선족 이주정책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칙적으로 1955년 북한과 중국은 불법월경자에 대해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원칙적으로 중국에 송환하기로 하였으나,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초까지 이러한 원칙을 지키지 않았다. 중국은 북한의 노동력 부족 상황을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불법월경자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수용한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agreement, co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policies on Korean-Chinese migrants and illegal immigrants between Chinese and North Korean borders from the late 1950s to the early 1960s. Along this course, the labor shortages in North Korea and the active cooperation with China were confirmed. After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Chinese in northeastern China had identified themselves as Korean, while also adopting the Chinese identity, which was encourag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This Korean-Chinese dual identity had been highlighted in March 1946, when the CCP implemented land reforms. The Chinese-Koreans, who received land or protection from the CCP, supported the communists during the civil war. Meanwhile, North Korea had an active immigration policy in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labor shortages and economic mass mobilization of North Korea. As per the agreement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in 1955, the illegal Chinese migrants in North Korea were to be deported back to China, but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migrants, North Korea did not abide by this principle. This has attributed to the enhanced cooperation in bilateral relations.

      • KCI등재후보

        영어의 이해와 표현 과정에서의 영상 매체의 역할

        이상숙(Lee Sang Sook) 영상영어교육학회 2005 영상영어교육 (STEM journal) Vol.6 No.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define the role of iconic media in English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iconic media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their role was analyzed using the construction-integration theory of Kintsch (1992). The effective applications of the role of iconic media for educational purpos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three levels of the construction-integration theory.

      • KCI등재후보

        1958년 북한주둔 중국인민지원군 철수의 원인과 영향: 북한의 대중국 협력 확대와 대중동원 경제노선 강화를 중심으로

        이상숙 ( Sang Sook Lee ) 북한연구학회 2009 北韓硏究學會報 Vol.13 No.1

        본 연구는 1950년대 중후반 북한이 대중동원형 자립경제적 경제 발전 유지·강화가 북한의 중국지원군 철수과정을 통한 대중국관계 강화와 연관이 있음을 분석하였다. 북한과 중국의 대내외적 상황 속에서 중국지원군 철수 원인을 설명하고, 중국지원군 철수가 북중관계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는 1953년부터 1955년 말까지 이어졌으나 1956년 북한의 `종파 사건`을 전후로 철수 논의가 중단되었다. 이후 북한이 1957년부터 제1차 경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면서 북한과 중국의 대내외적 필요성에 따라 중국지원군 철수가 전격적으로 합의되었다. 특히 북한은 소련의 대외원조 축소로 경제 계획 추진의 어려움을 겪었고, 소련으로부터의 안보 지원도 중단 되었던 것은 북한의 대중국관계 강화의 필요성을 확대시켰다. 중국지원군 철수과정에서 북한과 중국의 긴밀한 의사소통은 북중협력을 강화시켰고, 중국은 북한에 대한 안보 및 경제 지원을 확대시켰다. 북한은 중국지원군 철수에 대한 북한의 안보력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중국으로부터의 안보지원을 확보한 것이다. 중국은 중국지원군을 철수시키는 대신북한에 대해 군사 및 경제지원을 확대함으로써 북한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확보하였다. 결국 1958년 중국지원군 철수를 계기로 북한과 중국은 경제 협력 강화를 통하여 협력을 강화하였고 대중동원형 경제 성장 노선의 공통성을 강화하였다. This research analyses the causes and effects the evacuation of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PVA) from North Korea in 1958. And it analyses the reinforcement of the mass mobilization oriented self-supporting economy and Sino-North Korean relations in the end of 1950` after the withdrawal of PVA. The North Korea and China partly withdrew PVA from North Korea in 1953-1955. It did not happened in 1956, owing to `August Faction event` of KWP (Korean Worker`s Party). Because North Korea suffered from the shortage of overseas aids, two nations agreed the evacuation of PVA in the end of 1957. Specially, the USSR stopped the military aids toward North Korea. The China increased the economic and military aids toward North Korea after the withdrawal of PVA. Moreover, North Korea and China progressed forward the mass mobilization oriented self-supporting economy direction.

      • KCI등재

        백석 번역시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이상숙(Lee, Sang Sook)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이 논문은 백석 번역시 연구를 위한 시론이다. 백석은 1930 년대부터 1950 년대 후반까지 시, 소설, 아동문학, 평론 등의 장르를 망라하여 활발하게 번역을 하였고, 그 양 또한 적지 않았지만 백석 번역에 대한 연구는 매우 소략하다. 분단 전 백석시가 꾸준히 학계의 관심을 받으며 관련 연구가 심화되고 확장되는 만큼, 번역을 포함한 분단 후 북한 문단에서의 백석 문학에 대한 학계의 관심도 커지리라 기대한다. 이에 이 연구는 백석 번역시 연구를 위해 필요한 논의를 점검하고자 한다. 수백 여 편에 이르는 번역시와 십 수 명의 대상 작가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란 논문 한두 편으로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그를 위해 방향과 경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목표를 한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백석 번역 문학과 번역시의 경계를 조망하고 대상 작품을 정리할 것이다. 요즈음 백석 번역 문학에 대한 발굴이 학계 내외의 노력으로 본격화되고 있어 1차 텍스트의 확보와 텍스트 한정이 매우 유동적이지만 현재 확보된 텍스트에 대한 규정은 필수적인 작업일 것이다. 또, 대상 작가와 작품에 대한 문학적 배경과 문학 일반의 이해를 시도한다. 이 논의가 백석의 번역시, 번역 문학에 대한 후속 논의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oems translated by Baek Seok. Although Baek was a prolific translator of literary works ranging from poems, novels, children’s literature and literary reviews from the 1930s until the late 1950s, his work as a translator has received limited academic attention. With an increasing scholarly awareness of Baek Seok’s collection of pre?Korean War poetry, it is expected that greater academic attention will be placed on the translations and other literary works he produced in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discourses required to study the poems translated by Baek Seok. A full?scale study of hundreds of poems and more than a dozen authors is a journey that cannot be completed in one or two paper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fine the direction and boundaries of ongoing efforts. This paper will shed light on the division between Baek Seok’s literature in translation and the poems he translated, limiting the works to objects of study. Through the efforts of people within and outside of academia, the unearthing of Baek Seok’s translation works has been gaining momentum, thereby facilitating the acquisition and selection of primary texts. Nevertheless, it is still indispensable to identify the texts currently available. Another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literary background of the author and his works. Also included in this essay are observations on the preparation required in assessing the translation works of Baek Seok, objectively reviewing his role as a translator of poetry and not as a poet. It is hoped that the dialogue initiated in this paper will be followed by additional debates on the poems and other literary works translated by Baek Seo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