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6개월 여아에서 발생한 슬관절 외측 원판형 연골 파열의관절경적 치험례 -증례보고-

        이병일,최형석,민경대,조영일,Lee Byung-Ill,Choi Hyung-Suk,Min Kyung-Dae,Cho Young-Il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1

        소아에서의 슬관절 탄발음은 주로 원판형 연골에 의해서 발생되며 슬관절의 신전제한은 원판형연골의 파열을 강력히 시사하는 소견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3세미만 소아에서의 보고는 극히 적은 실정이다. 또한 3세 미만의 증상이 있는 원판형 연골의 치료방법에 있어서는 정설이 없고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자들은 신전제한을 주소로 내원한 25개월 여아에서 자기 공명영상검사상 외측 원판형 연골 파열을 확인하고 관절경하 부분 절제술 시행 후 2년 9개월간 추시 한 바 합병증이나 증상의 재발없이 임상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 이에 대한 증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In children, the snapping-knee syndrome is strongly suggestive of a diagnosis of discoid menisci. Furthermore the loss of extension of the knee suggests a diagnosis of torn lateral discoid meniscus. Symptomatic lateral discoid meniscus tear in a very young child, especially under the 3-year-old, was very rarely reported and the treatment protocol has not been established. Some therapeutic advancement was achieved in symptomatic lateral discoid meniscus but still technical difficulties exist. We undergone arthroscopic meniscal reshaping in a 26-month-old girl. At the time of postoperatively 2-year 9-month follow up, excellent result has achieved in clinical and functional outcome according to the scale of Ikeuchi without recurrence of symptom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 We reported out experience and results that arthroscopic reshaping procedure was done for management of symptomatic lateral discoid meniscus in a 26-month-old girl.

      •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 잔류조직 보존술식 -

        이병일,천동일,Lee, Byung-Ill,Chun, Dong-Il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2

        Optimal treatment of the tor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mains controversial. The complexity of surgically reproducing the natural biomechanical and anatomical function of the ACL has led to a diversity of reconstructive procedures. Controversy continues to exist regarding the best reconstructive procedure for the ACL deficient knee, but currently, there is no ideal method. Because of the increased frequency of ACL injury and the functional impairment resulting from that, the role of mechanoreceptors in the ACL recently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Proper reconstruction of the ruptured ACL does not always have good results. Success after operation may depend not only on the mechanical stability but also on the quality of recovery of proprioception. It is well known that most ACL are ruptured in proximal half and most mechanoreceptors have been reported to be located in the subsynovial layer and near the tibial insertion of the ACL. Expected roles of tibial remnant is to enhance the revascularization and cellular proliferation of the graft, to preserve proprioceptive function, and to be able to acquire anatomical placement of the graft without roof impingement. The remnant of the ruptured ACL has been removed to clearly visualize the ACL footprint or decrease the risk of impingement and Cyclops lesion in most current techniques for ACL reconstruction. Therefore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preserving the tibial remnant as much as possible as a source of reinnervation, if technically possible without causing impingement, would be of potential benefit to the patient. In addition, it will facilitate the vascular ingrowth and ligamentization of the grafted ACL.

      • 슬관절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의 장기 추시 결과 (5년이상)

        이병일,최형석,민경대,나수균,조상혁,Lee, Byung-Il,Choi, Hyung-Suk,Min, Kyung-Dae,Rah, Soo-Kyun,Cho, Sang-Hyuck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7 No.1

        목적: 슬관절에 발생한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 환자에 대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후 5년 이상 장기 추시하여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8년 3월부터 2002년 6월까지 관절경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으로 확진된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관절경을 이용하여 병변을 확인한 후 관절경적 방법만으로 절제적 생검술을 시행하도록 노력하였으나, 2예에서는 소절개를 이용하여 적출하였다. 술전 증상의 소실 여부 및 이학적 검사 등을 통하여 재발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관절경 소견상 국소형이었고 그 중 3예는 자루형, 2예는 결절형, 1예는 혼합형 종물이었다. 3예의 자루형중 1예에서 뚜렷한 염전 소견이 있었고, 종물의 크기가 매우 커서 전내측에 소절개를 가하여 적출한 1예 및 후방구획에 존재하여 후내측에 소절개를 시행하였던 1예를 제외하고는 관절경적 방법만으로 적출하였다. 모든 예에서 술전 증상은 소실되었고 최종 추시시 재발을 의심할만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국소형 색소융모결절성 활액막염은 특히 관절경을 이용한 경우 정확한 병소파악을 통한 진단과 완전 절제에 의한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여 장기 추시시에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ong-term follow up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of the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in the knee.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and analyzed 6 patients (6 cases) who underwent arthroscopy and excisional biopsy as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from March 1988 to June 2002. The clinical diagnosis was confirmed by pathologic findings. All patients had been managed with arthroscopic excision, but two patients underwent mini-open excision. The recurrence was evaluated by the loss of preoperative symptom and physical examination for range of motion, pain and finding of swelling. Results: According to the arthroscopic findings, all patients had localized form of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Three patients had pedunculated type (one of them had torsion) and the two patients had nodular type and one patient had mixed type. All patients had improvement in pain, swelling and range of motion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recurrence. Conclusion: In terms of long term follow up results, precise preoperative diagnosis and the adequate surgical treatment, especially arthroscopic excision for the localized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would be considered one of the fundamental modality to expect the good results.

      • SCOPUSKCI등재

        Ni과 Pd을 이용한 비정질 실리콘의 저온 측면 결정화에 관한 연구

        이병일,김광호,정원철,신진욱,안평수,주승기,Lee, Byeong-Il,Kim, Gwang-Ho,Jeong, Won-Cheol,Sin, Jin-Uk,An, Pyeong-Su,Ju, Seung-Gi 한국재료학회 1996 한국재료학회지 Vol.6 No.9

        비정질 실리콘의 표면에 Ni과 Pd를 형성하여 측면으로의 결정화 속도를 향상시켰다. Ni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이 측면으로 결정화될 때 그 성장 속도는 50$0^{\circ}C$에서 3w$\mu\textrm{m}$/hour였으며 이때의 활성화 에너지는 2.87eV로 나타났다. Pd의 경우는 Pd2Si의 형성에 의해 압축 응력이 유발되어 Pdrks의 간격이 좁을수록 측면으로의 결정화 속도가 증가하였다. Ni과 Pd을 각각 다른 부분에 증착시키고 결정화시키면 Ni에 의해 측면으로 결정화되는 속도가 Ni만으로 결정화시킬 때 보다 약 2배 이상의 측면결정화 속도를 보였다.

      • KCI등재

        상온 플라즈마 질화막을 이용한 새로운 부분산화공정의 물성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병일,주승기,Lee, Byung-Il,Joo, Seung-Ki 대한전자공학회 1989 전자공학회논문지 Vol. No.

        부분산화공정(LOCOS : local oxidation of silicon)에서 발생하는 새부리의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상온 플라즈마 질화막을 잉요한 시로운 공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400W, 100kHz의 교류 전력에 의한 질소 플라즈마로 실리콘 위에 두께가 $100{\AA}$ 미만의 균일한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형성된 질화막은 실리콘을 4000${\AA}$두께로 산화시키는 공정에서 실리콘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었고 새부리의 길이를 0.2${mu}m$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SEM 단면도로 확인하였다. 이 길이는 두꺼운 LPCVD 질화막을 이용한 기존의 부분산화공정에서의 0.7${mu}m$ 보다 훨씬 줄어든 것이다. Secco에칭 후 SCM으로 단면을 보았을때 새부리 근처에서 결정 결함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 새로운 LOCOS공정으로 $N^+/P^-\;well,\;P^+/N^-$ well 다이오드를 만들어 누설전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LOCOS 공정에 의한 성질보다 우수하거나 동등한 성질을 나타내었다. Room Temperature Plasma Nitridation of silicon was investigated as a new LOCOS (local oxidation of silicon) process in order to reduce the bird's beak length. In $N_2$ plasma formed by 100kHz, 400W AC power, a thin silicon nitride film (<100${\AA}$) was uniformly grown on a silicon substrate. SEM studies showed that the nitride layer formed by this method can effectively protect the silicon from oxidation and reduce the bird's beak length to $0.2{mu}m$ when 4000${\AA}$ field oxide is grown. This is a considerable improvement comparing with 0.7${mu}m,$ the bird's beak, for the conventional LOCOS process using a thick LPCVD nitride. No appreciable crystalline defect could be found around the bird's beak with SEM cross-section afrer Secco etch. Leakage current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N^+/P^-$ well and $P^+/N^-$ well diodes formed by this new LOCOS process. The electrical tests indicate that this new process has electrical properties similar or superior to those of the conventional LOCOS process.

      • 전십자인대 재건술 후 고식적 재활과 적극적 재활의 결과

        이병일,민경대,최중근,유재응,손치수,Lee, Byung-Ill,Min, Kyung-Dae,Choi, Joong-Keun,You, Jae-Eung,Son, Chi-Soo 대한관절경학회 199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conventional and accelerated rehabilitation program following ACL reconstruction using bone-patellar tendon-bon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focused on protecting the new ligament by blocking terminal extension and avoiding active quadriceps function in the terminal degrees of extension. But there is current trend toward early postoperative mobilization and intensive. so called 'accelerated', rehabilitation stressing hyperextension of the knee. The results of intraarticular ACL reconstruction with conventional and accelerated rehabilitation were prospectively compared for one year postoperatively in a series of 27 patients. Range of motion and thigh circumference were checked preoperatively, and weekly up to 8 weeks,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postoperatively. Stress radiologic test, KT-1000 arthrometer. Cybex II dynamometer were checked in preoperatively, and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postopera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objective stability and restoration of muscle power. But the accelerated group had a low incidence of extension loss. excellent range of motion, and less difference of thigh circumference. We concluded that accelerated rehabilitation program is recommendable due to superiority in terms of range of motion, especially less extension loss without increasing laxity of knee joint.

      • 슬개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이병일,최형석,Lee Byung-Il,Choi Hyung-Suk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3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2 No.2

        자가 중간 1/3 슬개건골을 이용한 관절경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슬관절의 안정성 회복 및 임상적 결과가 비교적 만족 할만 하나 슬개-대퇴간 동통 공여부 감각 소실 또는 저하 등의 슬개골 주위 합병증이 발생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가능한 줄이고 기능적 회복을 도모하는데 이식건 채취 방법에 있어서 분리된 절개를 이용하고 속이 빈 원형의 톱날 기구(Hollowsaw)를 사용함으로써 결과의 향상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추후 보다 면밀하고 장기적인 추시 관찰이 됫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 전방십자인대의 고유수용 감각

        이병일,유재응,Lee, Byung-Ill,Yoo, Jae-Eung 대한관절경학회 199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 No.1

        In the present paper the current clinical knowledge about proprioception is given for the shoulder, knee, ankle, elbow and the radiocarpal joint. Proprioceptive capabilities are decreased after knee joint injury such as anterior cruciate ligament. Joint position sense is significantly improved by cruciate reconstruction. Thus, we review of the articles for the proprioception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of the knee joint. The present information on proprioception will influence our clinical practice in the future. We should choose surgical procedures that not only reconstruct the anatomy, but also the neurophysiologic feed-back mechanism.

      • 벤치프레스 도중 발생한 대흉근 파열 -증례 보고-

        이병일,이현욱,최호림,최형석,김준범,민경대,권세원,Lee, Byung-Ill,Lee, Hyun-Uk,Choi, Ho-Rim,Choi, Hyung-Suk,Kim, Jun-Bum,Min, Kyoung-Dae,Kwon, Sai-Wo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6 No.2

        대흉근 파열은 주로 활동적인 젊은 성인이나 격렬한 경기와 관련된 운동선수에게서 발생하고, 특히 웨이트 트레이닝 도중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흔치 않은 손상이 나 최근 스포츠 활동 인구의 증가로 대흉근 파열의 발생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기능적 및 미용적 회복을 위한 다양한 수술적 치료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저자들은 벤치프레스 도중 발생하였으나 진단이 불명확하여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지 못하고 수상 후 5개월 만에 진단된 대흉근 파열에 대하여 골경유 봉합 및 봉합나사를 이용한 봉합술을 시행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Rupture of the pectoralis major muscle may occur in youngers or athletes associated with extreme sports, especially during the weight training. It is uncommon, but the incidence is increased by the recent growth of athletic population, According to the drift, variable methods of operative treatment for the functional and cosmetic recovery are introduced. We report a case of pectoralis major muscle rupture which was successfully repaired using transosseous repair and suture anchors five months after the initial injury during the bench-pr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