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 산문에 나타난 ‘불온’의 논리 고찰

        이미나 ( Mina Lee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본 연구에서는 1960년 순수·참여 논쟁에서의 김수영과 이어령의 ‘불온시’ 논쟁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김수영의 산문에 나타난 ‘불온성’의 의미와 그가 주장하는 ‘불온’의 논리를 고찰해보았다. 또한 김수영의 ‘불온’의 논리를 바탕으로 그가 생각하는 ‘시의 자유’와 ‘참여시의 진정성’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김수영과 이어령의 순수·참여 논쟁은 한국 문화를 위협하는 주된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견해 차이로부터 시작되어, 문학과 정치·사회적 현실과의 문제, 문학의 현실 참여와 순수성, 문학의 불온성과 전위성 등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김수영이 말하는 ‘불온’은 정치적인 행위이자 문학적 행위를 포함하는 광의의 ‘불온’이며 문학의 본질까지 아우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김수영이 시를 보는 기준은 ‘자유의 회복’이며, 참여시는 ‘자유의 회복’을 지향하면서 예술성을 극복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순수·참여 논쟁의 과정에서 나타난 김수영의 ‘불온성’의 의미를 구명하고, 그가 추구한 ‘시의 자유’와 ‘진정한 참여시’의 의미를 밝히는 일은 김수영 산문의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데 일조할 것이다. This study took into the consideration of the ‘rebelliousness’ controversy between Sooyoung Kim and Eoryeong Lee in 1960. It also examined the meaning of ‘rebelliousness’ in Kim’s prose and the logic of ‘rebelliousness’ which he asserted. Also, based on the logic of Kim’s ‘rebelliousness’, this study examines what he thinks about the ‘freedom of poetry’ and the authenticity of participation poems. The controversy between Lee’s pure poetry and Kim’s participation poetry started from their different views about the main factor that threatens Korean culture. The debate progressed in regards to th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in life, literature’s role of participation and purity, literary rebellion and avant-garde, and so on. Kim says, Disobedience is the driving force of art and culture, and this cultural and art history of mankind straightly become the history of the suffering of disobedience. Kim regards poems as the ‘recovery of freedom’. For him, participation poem is the work of art that aims the ‘recovery of freedom’ as well as recovers the artistic value. Investigating Kim’s meaning of ‘rebelliousness’ which is appeared throughout the controversy of pure and participation poetry, and clarifying the meaning of ‘freedom of poetry’ and the ‘true participation poetry’ that he pursued will contribute to opening up various interpretations of Kim’s prose.

      • KCI등재

        코로나19 백신 관련 영상의 특성 및 이용자 반응에 대한 연구

        이미나,홍주현,Lee, Mina,Hong, Juhyu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3

        이 연구는 코로나19가 야기한 인포데믹 상황에서 유튜브상에서 확산된 코로나19 백신 관련 영상의 주요 특성과 이용자 반응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코로나19 백신 관련 영상 579개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허위정보는 모두 개인 채널이 저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관 및 단체, 언론사, 정부 채널에서는 사실 중심 보도와 더불어 허위정보에 대한 보도도 한 축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 성향의 채널은 백신 접종을 찬성하는 긍정적 정서의 비율이 높았고, 보수 성향의 채널은 백신 접종에 반대하는 부정적 정서의 비율이 높았다.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후에 정부 채널의 영상이 증가했고, 긍정적 정서의 영상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좋아요 수에 영향을 미치는 영상의 특성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개인 전문가 영상, 진보 성향 채널의 영상이 좋아요를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코로나19 백신 관련 정부 정책 홍보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OVID-19 vaccine-related videos spread on YouTube and differences in user responses in the infodemic situation caused by COVID-19.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of 579 videos related to the COVID-19 vaccine, it was found that all of the false information was written by individual channels. Institutions, organizations, media companies, and government channels reported spread of false information as well as fact-oriented reporting. The progressive channel had a high percentage of positive sentiment in favor of vaccination, and the conservative channel had a high percentage of negative emotion against vaccination. After the vaccination started, the number of videos on government channels in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ideos with positive emotions increased.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f video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number of likes indicated that personal expert videos and videos from progressive channels received more likes. Combining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a plan to promote government policies regarding the COVID-19 vaccine using social media.

      • KCI등재

        페이스북 이용자의 개인정보 공개와 결정 요인

        이미나 ( Mina Lee ),이승아 ( Seungah Lee ),최인혜 ( Inhye Choi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2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공개 현황을 살펴보고 개인정보 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공개 현황은 프로파일의 정보를 토대로 개인정보 공개여부와 공개 범위, 두 측면에서 분석됐다. 개인정보 공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페이스북 프라이버시 염려, 사회적 관계 유지 동기 등이 고려됐으며 성별, 이용기간, 이용시간 역시 분석에 포함됐다. 서베이 분석 결과, 페이스북 프라이버시 염려는 이용자에 관한 프라이버시 염려, 시스템에 관한 프라이버시 염려로 구분됐으며 개인정보 공개와 공개범위를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주요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개인정보 공개정도의 경우는 성별, 이용기간, 사회적 관계 유지 동기에 의해 설명되며 개인정보 공개 범위는 이용기간, 페이스북 이용자에 의한 프라이버시 염려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관찰됐다. 흥미로운 분석 결과는 공개정도 분석결과에서 사회적 관계 유지 동기가 페이스북 시스템에 의한 프라이버시 염려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관찰된 점이다. 이에 대한 함의를 실었으며 페이스북 국내 이용자의 개인정보 공개 현황을 공개정도와 공개범위에 따라 항목별로 분석해, 이용자의 개인정보 공개와 페이스북 이용을 통한 사회적 관계와의 관련성을 유추하고자 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file of a Facebook account to examine how personal information is revealed and what kinds of factors influence personal information revelation. Categories of user`s profile on Facebook were analyzed and two dimensions were developed; the degree that how much personal information is revealed and the network limits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accessed. Main variables to determine personal information revelation are Facebook privacy concern and uses for social relationships along with gender, the duration of Facebook use, and average time of use. Data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Factor analysis produced two factors of Facebook privacy concern, Facebook privacy concern with users and Facebook privacy concern with the Facebook system.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degree of information revelation and the network limits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esults found out that the degree of personal information revelation is explained by gender, the duration of use, and use for social relationships while the network limit is explained by the duration of use and Facebook privacy concern with users. Worthy of notice is that use for social relationships and Facebook privacy concern with the Facebook system offset each other.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Additionally and finally the categories of profiles are graphically re-grouped to show how personal information revelation is associated with social relationship generation and maintenance.

      • KCI등재

        소셜미디어에서의 뉴스 정보 수용과 전통 미디어 뉴스 읽기의 비교

        이미나(Mina Lee),양승찬(Seungchan Yang),서희정(HeeJung Seo)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1 No.1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의 뉴스 정보 수용을 기존의 전통적인 신문기사 형식의 뉴스 읽기와 비교·분석했다. 전통적인 신문기사 읽기 조건과 비교할 때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전달은 대화저널리즘 양식으로 이뤄진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양식의 차이가 뉴스 정보의 기억과 구성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유사실험을 통해 관찰했다. 실험에서는 동일한 내용의 가상의 기사를 전통적인 신문기사 형식과 소셜미디어의 대화체 이야기 정보 방식으로 제작해 신문기사 조건과 소셜미디어 조건에 활용했다. 뉴스의 이해 정도를 정보 기억(전체 내용 기억, 주요 내용 기억, 내용을 틀리게 기억한 정도, 부가적인 정보의 기억, 사실 정보 획득)과 구성(인과관계 기억)의 두 가지 측면에서 관찰했다. 분석결과, 신문기사 조건은 소셜미디어 조건보다 정보 기억에서 더 뛰어났다. 전체 내용의 기억 정도, 주요 내용을 기억한 정도, 부가적인 정보를 기억한 정도, 사실 정보 획득 등에서 신문기사 조건이 우세했으며, 내용을 틀리게 기억한 정도는 소셜미디어 조건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관계 기억의 경우, 일반적 인과관계를 기억하는 정도는 소셜미디어 조건이 더 뛰어났지만 해당 기사에 특정한 인과관계를 기억하는 정도는 신문기사 조건이 소셜미디어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신문기사 형식이 뉴스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news comprehension via the social media by comparing the reading of a news story on the news paper. A news story on the social media was suggested to present information in a conversational form, which differs from a traditional reporting style. To compare the different forms of news information presentation, two conditions were created: in a control condition, a news story was written in a traditional reporting form.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the same news story was constructed in a conversational form.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in one of two conditions. They read the news story and afterwards, they were asked to recall firstly, the core idea of the news story, secondly the whole news story, and finally to answer to the 10 questions that assessed how well they learned from the news story. Participants’ responses were content-analyzed and produced six variables, the extent to recall the core idea, the extent to recall the whole story, the extent to recall wrong information, the extent to recall additional information, the extent to recall causally related contents in general, and finally the extent to recall causally related contents in story-specific. Analyses on the six variables revealed that the group in the news paper condition recalled more core idea, the whole story,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an the group in the social media. But the news paper condition recalled less of wrong information than the group in the social media condition. Additionally, the news paper condition learned more than the group in the social media. Regarding the recall of causally related contents, the general causal relationships were recalled more in the group in the social media condition but the story specific causal relationships were recalled more in the group in the news paper condition. The findings seemingly indicated that a traditional news reporting contributes to news story comprehension more than the conversational form. Authors however added discussions and advised that the findings needed to be read under caution.

      • KCI등재

        청소년을 위한 비폭력대화 프로그램 효과 연구

        이미나(MiNa Lee),나옥희(OkHee Na)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5

        본 연구는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공감능력 및 적응유연성에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청소년(실험집단 14명, 통제집단 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시 기간은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이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공감능력, 적응유연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Window용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효과 검증을 하였다. 시작단계(1회기-3회기)와 준비단계(4회기)에서는 감정의 개념과 비폭력대화법을 소개하였다, 작업단계(5회기-8회기)에서는 자신의 부적응적 감정을 다루면서 표현하는데 비폭력대화법을, 타인을 공감하는 대화법을 사용하여 연습하였다. 마지막, 종결단계(9회기-10회기)에서는 긍정적 정서를 재 경험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부탁하기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의 감정과 욕구를 알고, 내면 탐색을 통해 자기에 대한 이해를 보다 더 깊게 하여 있 는 그대로의 나 자신을 수용하고 공감을 통해 스스로를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질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타인이 처한 상황에서 느낌, 감정, 욕구를 인식하게 될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공감능력이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폭력대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적응유연성이 유의미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생활에서 공감과 적응유연성과 밀접하게 관련된, 교사, 교우, 학습, 규칙 등 환경에 대해 조절 및 변화시키고 수용하므로 학교생활이 원만하여지고 긍정적인 상호작용 적응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empathy and adaptive flexibility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dolescents (14experimental group, 14 control group). The implementation period is 3 month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6.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ata on empathy ability and adaptive flexibil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for Windows. In the beginning level(one session - three session) and a preparatory level(four session), the concept of emotion and the non-violence communication introduced. At the job level(five session - eight session), youth practiced using non-violence communication as a dialogue empathizing with others and expressing own maladaptive emotions In the closing phase(nine session - ten session), youth was centrically made up of asking to be re-experienced for positive emotions. First, it significantly showed that the empathy ability of the experiment group performed the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Second, the adaptive flexi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nonviolent dialogu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school life can be smooth and adapt to positive interactions by adjusting, changing, and accepting environment such as teacher, friendship, learning, and rule closely related to empathy and adaptation flexibility in school life.

      • KCI등재

        자연놀잇감을 활용한 숲놀이 프로그램이 배려 및 친사회성에 효과 연구

        이미나(MiNa Lee),박수영(SuYoung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rest play program using natural toys. Nature is the best teacher for infants. They play in mature, explore the surrounding, and are curious about things. The program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5, 2016 to November 15, 2016, with 32 children aged 5 to 5 in a nursing home located in G city. First, what is the forest play program that uses natural toys in children s careful thinking? Second, how does a forest play program using natural toys affect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The research tools used careful thinking and prosocial behavior measurement t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orest play program using nature friendly toy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pro-social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nature-friendly toys help to understand the forest and nature, and promote the child s caring attitude and pro-social behavior. This will lead to more imagination and creativity in children playing with nature friendly toys. 본 연구는 자연놀잇감을 활용한 숲놀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유아에게 있어 자연은 가장 훌륭한 교사이다. 자연에서 신나게 놀고 주변을 탐색하고, 사물에 대한 호기심을 갖는다. 본 프로그램은 2016년 9월 15일부터 11월 15일까지 G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만5세반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는 첫째, 자연놀잇감을 활용한 숲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어떠한가? 둘째, 자연놀잇감을 활용한 숲놀이 프로그램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가? 연구도구는 배려적 사고의 측정도구와 친사회적 행동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연친화적 놀잇감을 활용한 숲놀이 프로그램에서 배려적 사고는 통제집단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친사회적 행동은 통제집단 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즉, 자연친화적인 놀잇감은 숲과 자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아울러 유아의 배려적인 태도와 친사회적인 행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연친화적 놀잇감을 가지고 노는 유아들에서 상상력과 창의력이 더 많이 발휘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투표인증샷 분석

        이미나(Mina Lee),서희정(HeeJung Seo),김현아(Hyunah Kim) 한국언론학회 2012 한국언론학보 Vol.56 No.6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n the tweets which include their pictures of the voting of the 18th general election on April 11, 2012. Tweets were retrieved through the Twitter, involving the total number of 49,887 tweets. The purposes of the analysis is to reveal why and how people post the twitter mentions with their picture of voting. Two themes were introduced: self-expression and persuasion. Self-expression refers to the ways people express themselves while letting others know of their voting (i.e., people mentioned how they look on the picture, what they were doing before and after voting). Persuasion is related to that people post the tweet in order to encourage others to go out to vote. Three coders analyzed about 1,127 tweets with about 2.5 % of a sampling frame. The intercoder reliability was measured on Holsti coefficients and turned out to be accept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witter users demonstrated a variety of ways of self-expression while proving their voting and indeed displayed different strategies of persuading others for voting. Moreover, the types of tweet such as Original Tweet, Mention, RT, and Comment RT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heme of self- expression and persuasion. Finally, the communication network, measured by the number of followings and followers, also were related to the theme of self-expression and persuasion.

      • KCI등재

        Rasch 모형을 통한 성인기질(ATQ)의 초간편형 구성을 위한 기초 연구

        이미나(Lee, Mina),변혜원(Byun, Hyeweon),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Evans와 Rothbart(2007)가 개발한 ATQ는 77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형 검사로서 성인의 기질을 부정적 정서성, 민감성, 의도적 통제, 외향성으로 나누어 측정한다. 그러나 Rothbart 기질 척도의 문항이 다소 많아 연구나 실제에서의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질척도인 ATQ의 단축형인 초간편형 척도를 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생 32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 료를 바탕으로 ATQ의 네가지 요인별로 Rasch 평정척도모형을 적용하여 요인별 문항의 적합도와 곤란도를 분석하였다. 각 요인에 대한 문항의 적합도와 곤란도 분석을 위해 infit과 outfit지수를 고려한 결과, 부정적 정서성은 17개 문항, 민감성은 10개 문항, 의도적 통제는 11개 문항, 외향성은 9개 문항을 선정하여 최종적으로 47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초간편형 ATQ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Rasch 모형 적용으로 문항의 적합도와 난이도를 평가함으로써 척도의 완성도를 높이고 엄격한 기준으로 문항을 제거함으로써 ATQ 척도의 활용도를 높이면서도 완성도를 함께 확보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ATQ developed by Evans and Rothbart (2007) is a self-report test consisting of 77 items. Adult temperament is divided into negative emotion, sensitivity, effortful control, and extroversion. We intend to construct a very short form scale, which is a short form of ATQ, an adult temperament scale. To do this, we collected data from 320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the fit and difficulty of each item by applying the Rasch rating scale model for each of the four factors of ATQ. As a result, 47 items were selected at the end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items was presented. Finally, the meaning of the transient ATQ,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메르스 확산에 따른 정부의 위기 대응 메시지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이미나(Mina Lee),홍주현(Juhyun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최근 몇 년간 거듭된 재난·재해 발생으로 인해 재난·재해 발생 시에 정부의 위기 대응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15년 발생한 파급력이 큰 재난 위기 상황이었던 메르스 위기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 메시지를 분석하여 정부가 위기를 어떻게 인식 하였고 어떤 대응을 하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르스 확산 양상에 따라 3단계로 시기를 나누고, 중앙정부와 지방자치정부의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된 메르스 관련 보도자료 총 134건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메르스 확산 시기에 따라 보도자료에 나타난 정부의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에 대해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메르스 초기에 중앙정부에서 위기 상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환자 경유 병원과 예방법 등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하며 충분한 정보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점이 가장 큰 문제로 드러났다. 메르스 확산기와 쇠퇴기에 서울시와 경기도에서는 중앙정부에 비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일상생활에서의 행동 수칙, 의료인 및 해제자 대상 심리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에 대한 메시지를 중점으로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전염병 관련 재난 상황에서의 위기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그 메시지에 내포된 의미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ecause of continuous outbreaks of disasters and emergencies, the importance of government crisis management has been increased.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n government’s response messages during the 2015 MERS outbreak, which was an emergency issue that showed a great ripple effect. According to the three diffusion phases of MERS,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134 press releases o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fficial web sites of MER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the early stage of MERS, the central government misperceived the crisis situation, and as a result, specific and enough information was not provided promptly regarding a list of hospitals with known MERS exposure and prevention method. During MERS diffusion and decline stages, Seoul and Gyeonggi-do provided more specific and actionable messages than the central government.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and evaluated crisis communication messages during an outbreak of the infectious disea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government officials in their crisis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strategy during emergency risk situations.

      • KCI등재

        코로나19에 따른 유치원교사의 원격수업 실행경험과 지원요구

        이미나 ( Mina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등교수업이 불가함에 따라 시작된 원격수업에 관한 유치원교사의 실행경험과 지원요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공·사립 유치원에서 근무하며 원격수업을 실행하고 있는 7명의 교사를 편의표집하여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교사들의 원격수업 실행경험은 ‘시행착오 과정’, ‘엉켜진 실타래 풀기’, ‘학부모와 관계 속 줄다리기’, ‘무거워진 어깨’로 범주화되었다. 또한, 원격수업 지원요구로는 ‘정서적 지원’, ‘교육적 지원’, ‘물리적 지원’이 나타났다. 이러한 유치원교사의 원격수업 실행경험과 지원요구에 대한 탐색은 유치원 현장의 원격수업 전반에 대한 이해와 향후 효율적인 원격수업 운영 방향, 원격수업의 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을 위한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ementation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f kindergarten teachers regarding distance learning, which began due to the inability to attend school due to COVID-19. For the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selecting 7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onducting distance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distance learning by kindergarten teachers was categorized into ‘Trial and error process’, ‘Solving the dilemma’, ‘Relationship difficulties with parents’, and ‘Overwork.’ In addition, the demands for support for distance learning were ‘emotional support’, ‘educational support’, and ‘physical support.’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in distance learning and the search for support needs will provide meaningful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overall distance clas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direction of effective distance learning operation in the future, and support for the settlement of distanc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