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디어 이용과 TV토론 이용의 효과 연구: 후보자 평가, 정치지식, 정치효능감과 여론 인식을 중심으로

        양승찬 ( Seungchan Yang ),이미나 ( Mina Lee ),신지희 ( Jihee Shin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19대 대통령선거에서 전통적인 미디어와 새로운 정보 채널이 폭넓게 활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해 이들의 효과를 유권자들의 후보자에 대한 감정적 평가, 정치지식에 미치는 영향, 유권자의 정치심리(정치효능감)와 여론 인식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연구문제 1은 미디어 이용과 TV 토론이 후보자의 감정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으며 연구문제 2는 정치지식, 연구문제 3은 정치효능감과 여론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설문은 대선 이전에 실시됐다. 비례층화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총692명의 표본을 구성했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인구구성학적 변인과 정치관심, 대선관심, 정치이념, 지지후보자들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텔레비전이 후보자의 평가와 정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주요 매체로 관찰되었으며 둘째, TV토론의 경우, TV시청 이외의 다른 노출(예, 온라인에서 편집본 시청등) 방식의 영향력이 관찰됐다. 셋째, 소셜미디어등 새로운 미디어의 효과는 일관적인 방향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가 유권자의 인지적 감정적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주요 변인을 통해 살펴봤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ditional media and new information channels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on affect of candidate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efficacy, and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RQ 1 analyzed the effects of media use and TV debate to the affective evaluation of candidates. RQ 2 addressed the effects by these variables to political knowledge and RQ 3 examined the effects to the political efficacy and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the presidential election. A total of 692 participants composed of the sample by using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Main findings were; First, television was seen as a major medium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ndidates' evaluation and political efficacy. Second, the ways to use TV debate revealed the different effects. Third, the effects of new media such as social media was found not to be coherent. This study contributes by exploring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edia including new media to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valuation of presidential candidates

      • KCI등재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방송의 시청자 평가프로그램 분석

        양승찬(Yang, SeungChan),이미나(Lee, MiNa),서희정(Seo, Hee-Jung) 문화방송 2014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4

        본 연구는 지상파 3사(KBS, MBC, SBS)와 종합편성채널 4개 방송사(채널A, JTBC, MBN, TV조선)의 시청자 평가프로그램의 시청자의견 코너를 대상으로 시청자의견이 어떻게 제시되는지를 내용 분석했다. 2012년 7월 1일부터 2013년 6월 30일까지 1년 동안 방송된 시청자 평가프로그램 중에서 30회(전체의 약 57.7%)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총 210회의 시청자의견 코너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시청자의견 코너의 방송시간과 시청자의견 수, 시청자의견이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장르, 시청자의견의 평가적 속성, 시청자의견이 제시되는 프로그램의 속성 등을 분석했다. 그러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의견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시청자 평가프로그램 내 시청자의 의견을 전달하는 시간이 충분한지 검토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둘째, 연예/오락 장르에 대한 의견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보도 장르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 제시는 지상파 및 종편 모두 부족했다. 셋째, 시청자의견에서 칭찬이 불만이나 제언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채널방송사의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시청자 평가프로그램이 시청자의 의견 제시의 장이 되고 시청자와 제작자의 소통 채널로서 역할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audiences’ opinions were presented in the ombudsman programs on national terrestrial broadcasting networks(KBS, MBC, SBS) and TV channels of general services(Channel A, JTBC, MBN, TV Chosun). In one year from July 1, 2012 through June 30, 2013, 30 programs per channel were randomly selected(N = 210, 57.7%) and the corner which presents audiences’ opinions were content-analyzed. Items were coded including a number of audiences’ opinions, average time, types of opinions, program genres mentioned in audiences opinions, and attributes of the program audience made comments on.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time spent in presenting audiences’ opinion is put into question and raised the issue that the average time is long enough to deliver a sufficient volume of the audiences’ opinion. Second, a greater number of audiences’ opinion involve with the entertainment genres with less number of comments involving with the news reporting genre. Third, audiences’ opinions addressed more praises rather than providing criticisms or suggestions.

      • 한국의 선거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이슈 고찰

        양승찬(Seungchan Yang) 한국언론학회 200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3 No.1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 한국의 선거과정에서 여론조사와 언론의 여론조사 보도에 대해 논의된 다양한 이슈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에서 여론조사와 관련한 제 문제를 다룬 언론학 분야의 논의를 크게 저널리즘 관련 이슈와 저널리즘 영역 외의 이슈로 나누어 쟁점을 소개했다. 선거 여론조사 보도를 둘러싼 저널리즘 차원에서의 논의가 가장 활발했는데, 이 연구에서는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함께 언론학자들과 언론인들이 여론조사 보도에 대해 갖는 인식의 괴리를 사회과학과 저널리즘의 입장 차이를 기초로 정리했다. 저널리즘 영역 외의 이슈는 제도적 이슈와 학술적 이슈로 분류했다. 여론조사와 관련한 공직선거법 제108조와 여론조사 보도 심의와 관련한 이슈를 제도적 차원에서 다루었고, 조사방법론과 미디어 효과 이론의 틀에서 학술적으로 다루어진 여론조사의 문제를 정리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선거 과정에서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평가에 있어 중요한 학술적 과제를 제안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various issues regarding public opinion polling and media's coverage of polls in Korean election. Particularly, it identifies two major areas of discussion in public opinion polling. The first area is related to journalism issues, this study categorizes various problems in Korean media's poll reporting while introducing differences in perspectives between journalists and social scientists. The second area deals with issues not directly related to journalism. The paper pays attention to the social discussion about regulatory policies and practices in public opinion polling and summarizes academic works for searching problems of survey methods in polling, and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polling under the context of media effect theories in Korean election.

      • KCI우수등재

        이견추구성향, 사전 지식, 미디어 이용이 기사 읽기의 정보처리 과정에 미치는 효과

        양승찬(Seungchan Yang),이미나(Mina Lee),서희정(Heejung Seo) 한국언론학회 2014 한국언론학보 Vol.5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pinion-seeking propensity, prior knowledge, and media uses to information processing of news reading. The effects were observed by analyzing how much semantic information and of arguments in the news report were recalled.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phases. At the first phase, opinion-seeking propensity, prior knowledge, and media uses were surveyed. After ten days, the sam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pseudo-experiment. In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 read the news reports regarding the issue of reconstruction of the electricity power in Milyang. One report addressed the pro-opinion and the other report addressed the con-opinion about the issue. After reading both reports, the participants recalled the news reports. Three coders analyzed the participants’ recall in terms of semantic information and argument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and found out that: First, the main effect of opinion-seeking propensity is not significant, and meanwhil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opinion-seeking propensity and prior knowledge is significant. Second, the main effect of prior knowledge is significant in the condition wherein the participant’s issue position and the issue position of the news report are coherent in recalling the arguments. And finally, media use affects the argument recall in association with prior knowledge, especially in the condition wherein the participant‘s issue position and the issue position of news report are incoher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지지후보에 대한 의견 분위기 지각이 공개적 의견 표명과 투표에 미치는 영향

        양승찬(Seungchan Yang),이미나(Mina Lee),신지희(Jihee Shin)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사회과학논총 Vol.21 No.1

        19대 대선을 대상으로 유권자의 의견분위기 지각이 후보자지지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문제 1〉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후보자 지지율에 대한 의견분위기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문제2〉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 소외에 대한 두려움, 의견분위기 지각등이 투표참여와 지지후보에 대한 공개적 의견표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692명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의견분위기 지각을 예측하는 변인이 특별히 부각되지는 않았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공개적인 의견표명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투표참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뉴스미디어 이용의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의견분위기 지각이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voters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on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In Research Question 1, we analyzed how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about the candidate relates to the use of news media and the fear of alienation. In Research Question 2, we analyzed whether the use of news media, fear of isolation, and the perception of opinion climate affect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Th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election day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sample was 692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re is no particular variable to predict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Secondly, fear of isol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limate of opin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the voting. In addition, the significant effect of using news media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climate of opin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pinion expression and voting participation.

      • KCI등재
      • KCI등재

        페이스북의 의견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뉴스 전달 방식, 다수 의견 인식, 페이스북 뉴스 이용 정도의 효과

        이미나 ( Mina Lee ),양승찬 ( Seungchan Yang ) 서강대학교 언론문화연구소 2018 언론문화연구 Vol.25 No.-

        페이스북에서의 의견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밝히고 그 효과를 점검했다. 페이스북의 특성을 고려하여 여론 환경을 인식할 수 있는 뉴스 전달 방식의 차이, 다수 의견에 대한 인식, 페이스북에서 뉴스를 이용하는 정도 등 세 요인을 고려했다.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했으며 뉴스 전달 방식의 차이와 다수 의견과 개인 의견과의 일치 여부는 온라인 서베이에서 실험처치를 통해 조작했다. H1는 다수 의견과의 일치 여부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분석 결과 다수 의견과 개인 의견 간의 불일치 조건에서 의견 표현 의도는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관찰됐다. RQ1과 RQ2에서는 페이스북 네트워크의 특성과 페이스북에서의 뉴스 이용 정도의 효과를 각각 분석했으며, 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동질성과 뉴스 공유 정도가 페이스북에서의 의견 표현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ffecting factors influencing opinion expression on Facebook and examine their effect.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sidered three investigative elements, namely the mode of news exposure, perceptions of majority opinion, and news usages on Facebook. An online survey was used wherein perceptions of majority opinion were manipulated. H1 examined the intention to post a comment when the views of the majority are contrary to one’s own. The results showed the spiral of silence is present on Facebook. RQ1 and RQ2 questioned the effects of the properties of the Facebook network and Facebook usage. It was revealed that homogeneity is a significant contributor, and news sharing behaviors is the powerful predictor of opinion expression on Facebook.

      • KCI등재

        소셜미디어에서의 뉴스 정보 수용과 전통 미디어 뉴스 읽기의 비교

        이미나(Mina Lee),양승찬(Seungchan Yang),서희정(HeeJung Seo)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1 No.1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의 뉴스 정보 수용을 기존의 전통적인 신문기사 형식의 뉴스 읽기와 비교·분석했다. 전통적인 신문기사 읽기 조건과 비교할 때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 전달은 대화저널리즘 양식으로 이뤄진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양식의 차이가 뉴스 정보의 기억과 구성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유사실험을 통해 관찰했다. 실험에서는 동일한 내용의 가상의 기사를 전통적인 신문기사 형식과 소셜미디어의 대화체 이야기 정보 방식으로 제작해 신문기사 조건과 소셜미디어 조건에 활용했다. 뉴스의 이해 정도를 정보 기억(전체 내용 기억, 주요 내용 기억, 내용을 틀리게 기억한 정도, 부가적인 정보의 기억, 사실 정보 획득)과 구성(인과관계 기억)의 두 가지 측면에서 관찰했다. 분석결과, 신문기사 조건은 소셜미디어 조건보다 정보 기억에서 더 뛰어났다. 전체 내용의 기억 정도, 주요 내용을 기억한 정도, 부가적인 정보를 기억한 정도, 사실 정보 획득 등에서 신문기사 조건이 우세했으며, 내용을 틀리게 기억한 정도는 소셜미디어 조건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관계 기억의 경우, 일반적 인과관계를 기억하는 정도는 소셜미디어 조건이 더 뛰어났지만 해당 기사에 특정한 인과관계를 기억하는 정도는 신문기사 조건이 소셜미디어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신문기사 형식이 뉴스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news comprehension via the social media by comparing the reading of a news story on the news paper. A news story on the social media was suggested to present information in a conversational form, which differs from a traditional reporting style. To compare the different forms of news information presentation, two conditions were created: in a control condition, a news story was written in a traditional reporting form.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the same news story was constructed in a conversational form.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in one of two conditions. They read the news story and afterwards, they were asked to recall firstly, the core idea of the news story, secondly the whole news story, and finally to answer to the 10 questions that assessed how well they learned from the news story. Participants’ responses were content-analyzed and produced six variables, the extent to recall the core idea, the extent to recall the whole story, the extent to recall wrong information, the extent to recall additional information, the extent to recall causally related contents in general, and finally the extent to recall causally related contents in story-specific. Analyses on the six variables revealed that the group in the news paper condition recalled more core idea, the whole story,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an the group in the social media. But the news paper condition recalled less of wrong information than the group in the social media condition. Additionally, the news paper condition learned more than the group in the social media. Regarding the recall of causally related contents, the general causal relationships were recalled more in the group in the social media condition but the story specific causal relationships were recalled more in the group in the news paper condition. The findings seemingly indicated that a traditional news reporting contributes to news story comprehension more than the conversational form. Authors however added discussions and advised that the findings needed to be read under caution.

      • KCI등재후보

        공영방송의 위기

        강형철(Hyung Cheol Kang),양승찬(Seungchan Y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2 No.-

        이 연구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한국 공영방송의 자리 찾기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현상 분석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공영방송이 지니는 위기의 본질과 위기에 대한 각국의 대응 방식을 유형화하고 그에 비추어 한국 공영방송의 대응방식을 진단해보았다. 한국의 주류 공영빙송은 비차별적인 편성으로 시청 점유율을 높이려고 하고 있으 며, 그 재원으로 광고 비중을 현상태로 유지 또는 확대하는 기조다. 또한 다소 독특한 형태의 전략으로서 실제 방송 내용을 이용해 사회 내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공영방송은 국가, 자본, 시민 사회 모두에서 독립된 방송인들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송의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 이상의 네가지 전략(또는 지향성)은 단기적으로는 기존의 공영방송이 가지고 있는 특혜를 유지하는 데는 효율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인 면에서는 공영빙송의 전통적 개념에서 너무 멀리 유리되어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 내 위상을 불안정한 상태로 만될 것이다. 한국의 공영방송은 스스로의 생존을 위해서, 또한 절박한 사회적 기능의 수행을 위해서 비차별화로 단기적 생존을 보존하기보다는 보다 현실적인 장기적 선택지를 찾아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primarily concerned with the discussion about the crisis of Korean Public Service Broadcasting within the context of changing media environment. The study firstly attempts to explain the causes of current problems of Public Service Broadcasting in general, and categorizes the patterns of Western countries' reactions to cope with the problems. Secondly,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case of Korean Public Service Broadcasting. This paper argues that Korean Public Service Broadcasters have adopted four salient strategies: 1) They have tried to achieve high program ratings based on non-distinctive programming; 2) They have preferred the commercial advertising revenues as the primary financial resource; 3) They have attempted to expand their social power while exploiting their program contents; 4) Finally, they have tried to be a sole player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dependent from all the other social forces such as the state, capital, and the civil organizat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four strategies should be reconsidered because those are far from the original ideas of Public Service Broadcas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