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론의 정치적 성향이 뉴미디어 정책 관련 사설의 의제 및 보도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주현(Juhyun Hong),김경희(Kyung-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한국사회에서 뉴미디어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언론이 뉴미디어 의제를 어떻게 다루었는지 분석하고, 언론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뉴미디어 정책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사설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언론과 정부의 정치적 성향 일치 여부가 정부의 뉴미디어 정책에 대한 태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수 정권이 집권한 시기에 보수 언론은 뉴미디어 정책을 지지한 반면, 진보 언론은 정부의 정책을 반대했다. 이용자 관점, 사회적 관점, 정책적 관점에서 뉴미디어 의제를 분석한 결과, 신문사들은 뉴미디어 도입에 대한 찬반 입장, 정책에 대한 설명 등 정책적 관점에서 주로 접근했다. 사설이 뉴미디어 정책 효과에 대한 언론사의 의견을 밝히고 여론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뉴미디어 정책에 사설대한 언론의 태도가 정부의 정치적 성향과의 일치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뉴미디어의 도입과 확산에 정부의 투자와 인력 등 많은 자본이 투입되는 만큼 언론의 비판적인 시각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media covered the new media agenda in the process of the diffusion of new media and what the press’s attitude about new media policy i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based on the political tendency.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network analysis. The agreement of political tendency between the press and the government is important variable to decide the attitude of the press about the new media policy. Under the conservative government, the conservative press supported the new media policy, however the opposite opposed it Even if opinion page can take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public opinion, the tone pf editorial page on the new media policy differs from its political tendency. It costs tremendous investment in introducing new media, journalists have judge.

      • KCI등재

        정부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

        홍주현(Juhyun Hong),차희원(Heewon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의약품 부작용과 같이 국민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전문적인 이슈의 경우 언론 보도는 국민들의 위기 대응과 정부의 위기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의약품 부작용과 관련된 언론 보도를 주요 주제, 정보원, 위기 책임 귀인, 프레임을 분석하고 언론의 주목을 받은 의약품 부작용 보도에 대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해 정부의 위기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일간지, 경제지, 전문지의 보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일간지는 부작용 발생과 같은 위기 발생을 중심으로, 경제지는 제약업계 관련된 기사를, 전문지는 의약품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 중심으로 보도했다. 의약품 부작용과 관련된 주요 정보원은 국회의원이었다. 위기의 책임을 언급한 기사는 적었지만, 위기 해결의 주체에 대해서는 의약품을 생산한 업체가 해결해야 한다는 기사가 많았지만 전문지의 경우에는 정부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기사에서 중요하게 언급된 단어를 찾고, 단어와 단어의 관계 분석으로 기사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찾았다. 이 연구는 내용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의약품 부작용 기사를 분석하고 정부의 위기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공중별 정부의 위기 대응 방안을 고려해봤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side effects of drug is closely linked to the people’s health and professional. In this case, press report is very important in evaluating the side effects of drug and people’s attitude of government’s health policy. This study analyzed press report on the side effects of drug based on the main theme, source, responsibility attribution on crisis, frame and network analysis. Theses is a difference of main theme between the press. Daily newspaper focused on the occurrence of crisis and economical newspaper focused on the manufacture company. Professional paper focused on the criticizing of the health policy. The main source of the press on the side effects of drug is the Congressman. There are few articles which mentions about the crisis responsibility. However most articles mentioned that the subject of crisis solutions is the manufacturer. This study found the main meaning by network analysis. This study highlighted the government’s crisi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 KCI등재

        소셜 미디어의 매체 환경적 특성이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 및 메시지 확산 유형에 미치는 영향 :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 대응 및 국민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홍주현 ( Juhyun Hong ),이미나 ( Mina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7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8 No.1

        이 연구는 정부의 위기 상황에서, 정부 운용 소셜 미디어의 매체 환경적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참여가 얼마나 능동적인지, 메시지 확산 유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소셜 미디어 환경을 인간 상호작용성과 매체 상호작용성을 기준으로 유형화했고, 이용자의 능동성은 좋아요, 공감 같은 감정을 표현하는지, 댓글까지 쓰는지를 기준으로 능동성 정도를 측정했다. 소셜 미디어에 올라온 댓글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유형화했다. 분석 결과 정보제공 참여형과 관계지향적 참여형의 경우,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가 높게 나타났고, 정보 제공형과 제한적 플랫폼에서 능동적 참여가 낮았다. 메시지 확산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제한적 플랫폼에서 합리적 의견 제한형이 나타났고, 나머지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는 감정적 의견 확산형과 감정적 의견 제한형이 형성됐다. 메르스 사태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정부는 소셜 미디어의 매체 환경적 특성에 적합한 메시지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매체 환경은 이용자의 참여와 댓글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부는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성을 증가시켜 이용자 친화적인 소셜 미디어 환경을 만들고, 위기 상황에서 이용자와 소통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influence of government-owned social media`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level of users` active participation and types of message diffusion during government`s crisis.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was categorized based on human interactivity and media interactivity. Users` active participation was measured based on amount of like/dislike and number of comments. User`s comments were categorized through network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 of user`s active participation was high on the information-provider participation type and the relationship-oriented participation type. The level of user`s active participation was low on the information-provider type and the limited platform. The analysis of message diffusion type showed that a restrictive rational opinion type was found for the limited platform and diffusive or restrictive emotional opinion types were found for other types of social media environment. This study found that during MERS crisis, the government did not provide messages suitable for the social media environment, and the media environment influenced users` participation and comments.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user friendly social media environment by increasing interaction with users and should make efforts to communicate with users in crisis situation.

      • KCI등재

        웹 플랫폼 프로그램 시청 유형ㆍ프로그램의 화제성이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주현(Juhyun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지난 10월 네이버tv 캐스트를 통해 방영된 tvN 신서유기는 웹 엔터테인먼트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 연구는 디지털 시대 시청환경의 변화와 새로움 플랫폼으로서 웹의 가능성에 대해 제고하고자 이용자들이 웹 프로그램을 얼마나 능동적으로 선택하는지, 언론의 프로그램 보도가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확산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에 주목했다. 연구 결과 참여적 시청 유형 중 조회 수로 측정한 시청자의 관심도는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의 확산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시청자의 관심도가 높을 경우 이용자들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가져와 확산형 입소문 유형을 나타냈다. 웹 기반 프로그램 제작사는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해 무엇보다 조회 수를 높이는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저널리즘 측면에서 프로그램의 화제성의 내용을 살펴보면, 신서유기를 제외한 프로그램을 기사화할 때 언론은 주로 출연하는 여배우의 외모에 주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청 유형과 입소문 유형의 관계를 보면, 관심도가 높은 ‘적극적 관여’일 경우 분산적 확산형과 집중적 확산형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시청자들이 적극적으로 관여할수록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의견이 활발하게 교환된다고 할 수 있다. The success of the journey to the west of tvN’s shows the positive prospect of web entertainment. This study highlights how viewers actively select web progrmas and how they diffuse the infomrmation of web progra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web program and the change of viewing environment. This study revealed the attention of viewers affected the diffusion of programs via social media. The highness of the viewer’s attention cause the highness of active interaction between users. The production company of web entertaninment has to focus on the high hits strategy. In the view of journalists, they covered on the appearance of the heroin rather than the content of the program. The relationship of viewing type and viral type via SNS is related with the activity of viewers. If viewers participate in viewing they express their opinion on the web entertainment activel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된 생리대 발암물질 이슈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홍주현 ( Juhyun Ho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이슈가 SNS를 통해 확산되는데 매체적 특성과 관계가 있는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를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을 기준으로 유형화하고,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되는 이슈의 확산성을 비교했다. 노드엑셀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트위터와 유튜브를 분석 대상으로 했는데 트위터는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이 낮은 트위터는 ‘제한형’으로, 유튜브는 매체 상호작용성과 이용자 상호작용성이 높은 ‘소통ㆍ확산형’으로 분류했다. 제한형에서는 이슈 확산 네트워크가 방사형으로 나타났고, 소통ㆍ확산형에서는 거미줄형으로 나타났다. 유튜브에서 의견의 다양성이 높았고, 트위터에서 보다 이슈가 더 활발하게 공유되면서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상호작용성을 기준으로 소셜 미디어의 구조적인 특성에 따라 이슈의 확산 양상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용자들이 얼마나 쉽게 메시지를 공유하고, 댓글을 달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가 플랫폼으로서 SNS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밝혔다. 정부와 기업, 소비자들은 이와 같은 트위터와 유튜브의 특성을 파악하고, 커뮤니케이션 채널로서 SNS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volume of sanitory pad issue a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SNS and the diffusion of issue in the process of crisis issue. SNS is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ㆍdiffusion, communicationㆍrestriction,, diffusion, restriction base on the media interactivity and the user interactivity, In case of Twitter, media interactivity is low and user interactivity is low. In case of Youtube, media interactivity and user interactivity are all high. Crisiss issue is interactively diffused via Youtube compared to via Twitter. There was a negative public opinion in social media even if the government and the manufacturer said that there was no harm in the sanitary goods. I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environment in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The government prepared for the use of SNS in crisis because there was a negative opinion on the government and the manufacturer via SNS..

      • KCI등재

        트위터를 통한 이슈의 확산 네트워크 연구

        홍주현(Hong, Juhyu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0 No.2

        이 연구는 정치과정에서 영향력 있는 매체로 자리매김한 트위터에서 후보자에게 소유권이 있는 이슈가 어떻게 확산되는지 네트워크 관점에서 살펴보고 선거과정에서 트위터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슈의 ‘응집성’과 ‘중심성’을 기준으로 이슈의 확산 네트워크를 유형화했는데, ‘응집성’에 따라 방사형과 거미줄형 네트워크로, ‘중심성’에 따라 분산적, 집중적 네트워크로 개념화했다. 이슈 소유권은 인터넷사이트, 트위터, 페이스북 등 후보자의 공식 매체와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 나타난 유권자의 의견을 통해 파악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박 후보에게 소유권이 있는 여성대통령론에 대해서는 긍정적 여론과 부정적 여론이 모두 형성되었다. 긍정적 여론에 대한 이슈의 확산을 집중적 방사형 네트워크로, 부정적 여론에 대한 이슈의 확산을 분산적 거미줄형 네트워크로 개념화했다. 경제민주화에 대해서는 분산적 방사형 네트워크를 통해 부정적 여론이 형성되었다. 문 후보와 안 후보의 경우 소유권이 있는 이슈에 대해 긍정적인 여론이 형성되었다. 문 후보의 경우 정권교체와 투표시간 연장에 대해 각각 분산적 거미줄형 네트워크와 집중적 거미줄형 네트워크가 형성되었고, 안 후보의 경우 정치 혁신과 사퇴에 대해 각각 분산적 거미줄형 네트워크와 집중적 거미줄형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박 후보와 문 후보에게 약점인 이슈에 대해서는 모두 집중적 거미줄형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트위터를 통해 부정적인 이슈가 역동적으로 쟁점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네트워크 관점에서 트위터를 통한 이슈의 확산과정을 시각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측면에서 트위터 여론 이론의 수립에 기여했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이슈에 대한 확산과정과 여론을 함께 파악함으로써 후보자의 캠페인 전략을 평가하고, 수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andidate"s issue ownership is useful to be in an advantageous position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by preoccupying issue. This study explores how the issue ownership is formed on Twitter which has been the leading social media in the process of politics based on network analysis.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type of the network in diffusing the issue based on the cohesiveness and the centrality of issue. The network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hesiveness and the centrality of issue.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type of diffusion network into radial web and spider web based on its cohesiveness and dispersive and concentrative based on its centrality. Issue ownership is analyzed by candidate"s official site, Twitter, Facebook and by the result of poll. In the case of candidate Park, the concentrative radial web network of positive public opinion is formed on the theory of female president which is given to candidate Park issue ownership. Besides the dispersive spider web network of negative public opinion is formed on the theory of female president which is given to candidate Park issue ownership. In the case of candidate Moon and candidate Ahn, the positive public opinion is formed on the issue ownership. On the issue of candidate Park and Moon which has no issue ownership the concentrative spider web. We can infer that the negative issue is diffused by high cohesiveness and it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candidate"s image. This study highlights the diffusion process of opinion via Twitter and present it by visualization based on network analysis. This study is helpful to broaden the public opinion theory on Twitter and for candidate to manage their issue and correct the election strategy.

      • KCI등재

        사드 루머(THAAD rumor) 보도에 나타난 한국 언론의 정파성

        홍주현(Juhyun Hong),손영준(Young Jun S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4 No.4

        이 연구는 루머의 사회적 확산 과정에서 한국 언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통해 밝혔다. 언론의 이념적 성향과 뉴스생산 과정의 차이에 따라 언론 매체를 구분하고, 매체별 보도를 비교했다. 이념적 성향에 따른 보도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수 언론은 사드 루머를 불필요한 오해로 보고, 사드 유언비어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한다고 했다. 진보 언론은 황교안, 외부세력, 거짓말을 많이 언급했고 ‘괴담을 반대하는 외부세력이 있다’는 정부의 입장을 비판했다. 루머 프레임을 비교해 보면 보수언론은 루머의 확산 원인을 악의적 괴담이 확산되고 있다고 본 반면에, 진보 언론은 사드의 유해성을 입증하기보다는 정부와 보수 언론이 사드 괴담을 유포한 세력을 비판하는 것에 주목했다. 오프라인 매체와 비교해서 온라인 매체는 감정적 표현과 비논리적인 이야기 구성으로 선정적인 보도 경향이 강했다. 한국 언론은 사실 확인이나 과학적 검증보다는 각자의 정파적 성향에 따라 사드 루머 이슈를 보도했다. 보수·진보 매체는 사드 루머의 발생 원인과 반대 시위 주체, 전자파의 유해성 등에서 양극화된 프레임을 제시했다. 한국 언론의 정파적 보도는 우리 사회의 정치적 대치 관계를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언론이 식견 있는 공중(informed public)을 확보하는 데 성공적이지 못하며 오히려 민주주의 질서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stereotyped the media on the basis of ideological inclinations and media types and explored the news coverage through 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frame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servative media and progressive media in terms of the amount of news. The conservative mainstream media considered the THAAD rumor as an unnecessary misunderstanding and a rumor based conflict of the south-south. The progressive mainstream media mentioned much about Hwang Gyoan, external influences, and lies and highlighted the government’s opinion that there was external influence that spread a vicious rumor. Conservative media mentioned on the bringing about social disturbance and in case of progressive media mentioned social disturbance, and progressive media mentioned the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and the attitude of conservative media about the diffusion of the rumor. In conclusion the press framed the THAAD rumor on the basis of their ideological inclinations instead of the role of journalist.

      • 순환적 의제설정과정을 통해 살펴본 서울 시정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메시지 연구

        홍주현(Juhyun Hong) 동서언론학회 2016 동서언론 Vol.18 No.-

        이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정책 결정과정 참여자들이 생산하는 메시지를 비교함으로써 공중별로 메시지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밝히고자 했다. 이 연구는 메시지에 대한 어절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민선 6기 박원순 시장이 강조한 것과 언론에서 쟁점화한 내용, 시민들의 반응이 무엇인지 밝혔다. 서울시의 보도자료에서는 ‘민선 6기’와 ‘시민’ 중심의 행복한 도시 서울을 강조했고, 창조경제도 중점적으로 다루어 ‘사람 중심의 성장 프레임’을 부각시켰다. 이에 비해 언론 보도에서는 ‘안전,’ ‘시민,’ ‘취임식’을 강조했고, ‘창조경제’와 ‘제2롯데월드’도 자주 언급했다. 안전-2기-시정-시민으로 연결되어 언론은 ‘안전 강조 프레임’에 중점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트위터에 올라온 의견을 분석한 결과, 박 시장에 대한 긍정적 트윗과 부정적 트윗이 모두 쟁점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달라진 서울시 복지 예산’과 ‘박원순 시장 2기 인터뷰’가 긍정적 트윗이라면, ‘박원순 시장 때문에 3년간 농약 급식을 먹었다’는 트윗과 ‘박 시장 서울시 진입 차량에 요금 부과 예정’은 부정적 트윗으로 볼 수 있다. 정책 결정과정 참여자들이 어떤 메시지를 생산했는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밝혔다는 것은 새로운 시도이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정책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할지 실용적 측면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between policy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policy decision making based on network analysis and frame analysis. Seoul metropolitan city focused on the citizen, open, the policy of city, inauguration, second term. On the contrary, media highlighted the second Lotte World, safety, second term. Citizen focused on the theme directly related with their life.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reactions of citizens based on tweets about Ssoul metropolitan city for exploring citizen’s thought of Seoul metropolitan city. Citizens expressed positive opinions and negative opinions of the Mayor of Seoul. There is a gap between media coverage of Seoul metropolitan ciy and the thought of citizen’s Seoul metropolitan city. This results will be helpful for officials in Seoul Metropolitan City to communicate with media and citiz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