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명진(Lee,Myoungjin),최우정(Choi,Woojung),이정한(Lee,Junghan)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6
현재 위기관리 매뉴얼에서는 유관기관으로 군부대 및 경찰 등이 포함되어 있으나 경찰의 단위직무들은 재해지역 교통통제 및 치안유지;인명구조 및 실종자 수색활동 등 매우 포괄적으로 작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인명구조 및 실종자 수색활동의 경우 등 재난관리의 주된 업무는 소방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위기관리 매뉴얼에 경찰의 활동범위를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해외의 경찰 매뉴얼 현황을 살펴보았고;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경찰이 재난 발생 시 수행해야 하는 단위직무를 국내 위기관리 매뉴얼 분석 및 해외사례 분석을 통해 세부적으로 추가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발생 시 경찰이 즉각적인 개입과 대응을 할 수 있는 매뉴얼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current manual for crisis management in Korea includes military units and the police as related organizations. However;the duties of police units are very broad;such as traffic control and security maintenance in disaster areas;lifesaving;and the search for missing persons;and the main tasks of such disaster management actions as lifesaving and the search for missing persons are led by fire-fighting units or local governments. Therefore;it is necessary to clearly present the scope of police activiti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In this study;police manuals in Korea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Korean manual. In addition;through an analysis of common unit tasks that the police should perform in the event of a disaster;domestic crisis management manuals;and overseas cases;additional police unit duties are proposed in detail. As a result;we suggest provisions in the manual that allow the police to immediately intervene in response to disasters.
기준점의 극단성과 문항 난이도가 기준점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명진(Myoungjin Lee),이윤형(Yoonhyoung Lee),김경일(Kyungil Kim) 한국인지과학회 2022 인지과학 Vol.33 No.1
선행 연구들에서는 그럴듯한 기준점이 극단적 기준점보다 더 큰 기준점 효과를 야기하는 반면, 주어진 문항과 관련된 개인의 지식수준이 높으면 기준점 효과가 작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제시되는 기준점이 그럴듯한지 여부와 주어진 문항 자체의 난이도가 기준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준점의 극단성과 문항의 난이도가 기준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더해 응답 확신도와 기준점 효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예비 연구를 통해 쉬운 문항과 어려운 문항, 그럴듯한 기준점과 극단적인 기준점을 선정하였다. 본 실험은 ‘표준 기준점 실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기준점의 극단성과 문항의 난이도는 각각 기준점 효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항의 난이도는 응답 확신도에도 또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그럴듯한 기준점을 제시했을 때와 어려운 문항을 제시했을 때에 기준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수행에 대한 확신이 낮을수록 극단적인 기준점이 제시되었을 때 기준점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준점이 그럴듯한지와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기준점 효과의 크기와 확신 정도, 그리고 기준점 효과와 확신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준점의 특성이나 개인의 상태에 따라 기준점 효과가 달라진다고 제안하는 기준점 효과에 관한 태도 변화 관점을 뒷받침한다.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plausible reference point has a greater anchoring effect than an extreme reference point. It is also known that the anchoring effect decreases when the individual"s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a given item is high.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examining the interaction of the plausibility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difficulty of the given ques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reference plausibility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s on the anchoring effect wer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confidence and the anchoring effect was also examined. To do so, easy and difficult questions, plausible and extreme reference points were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llowing the ‘standard anchoring task procedure’. As results, the extremity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affected the size of the anchoring effect respectively.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also affected the confidence of the response. Specifically, when a plausible reference point was presented and when a difficult question was presented, the anchoring effects were increased. In addition, the lower the confidence in one"s performances,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point when an extreme reference point was present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lausibility of the given reference point and the difficulty of the item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magnitude of the anchoring effect and the degree of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attitude change perspective regarding the anchoring effect, which suggests that the anchoring effect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individual"s knowledge.
이명진(Lee Myoungjin),서경민(Seo Kyungmin),최우정(Choi Wooju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환경영향성평가의 연혁 변화 및 DB 구축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고, 또한 재해 사전 분석의 이론적 개념을 분석하여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제도의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였다. 사전재해영향성평가 문제점을 환경영향성평가 비교 분석을 통해서 사전재해영향성평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첫째 정책적 개선안으로 행정계획 지침 분리, 소규모 개발 사업 간소화 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기술적 개선안으로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사후재해영향성검토제 도입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has shown Pre-Disaster Impact Assessment System (Pre-DIAS) that analyzes Post-Disaster Impact Assessment System (Post-DIAS)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EIAS). In order to improve current Pre-DIAS, there are 2 different ideas has been suggested. First of all, based on government policy system, Administration disaster management Plan and Process minimization of Developing business establishing are possible to improve Pre-DIAS. This is because Pre-DIAS has not been evaluated in person on the scene. Second, Disaste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DIMS) and Post-DIAS are suggested that those systems are not exist in Korea. DIMS and Post-DIAS play a significant role in monitoring a disaster management operation system in Korea.
단위직무 분석을 통한 위기관리 매뉴얼 간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명진(Lee, Myoungjin),조현승(Cho, Hyunseung),임상규(Rheem, Sankyu),최우정(Choi, Wooju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3
위기관리 매뉴얼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기반으로 재난 유형별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로 작성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위기관리 매뉴얼이 재난 유형별(자연재난/사회재난)로 작성되어 방대하고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매뉴얼을 적용하여 현장대응에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기관리 매뉴얼의 단위직무분석을 통해서 공통직무/특수직무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단위 직무를 도출하였다. 표준화된 단위직무를 활용하여 재난유형에 상관없이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훈련계획 및 훈련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Risk Management Manuals, including standard manual, working-level manual and manual for actions at scene, are to be developed by type of disaster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Because the manuals are developed by type of disasters(natural and social), they are too complicated and voluminous as weaknesses. Because of these shortcomings, they are under-utilized when disaster occurs. In these regards, this research drew the standardized task units through analyzing the tasks which are specified in the manuals by compartmentalizing the them into two types, the common and the special. Finally, this research would propose the improved manuals which are easily and efficiently utilized for planning trains, in field training and to respond to disasters by exploiting the standardized task units regardless of disaster type.
이명진(Myoungjin Lee),태진이(Jini Tae),이윤형(Yoonhyou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과제와 관련된 사전 정보 제시는 과제 전환 준비를 돕지만 이러한 정보를 작업 기억에 유지하는 것은 작업 기억 부하를 일으키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 정보의 개수를 조절했을 때 사전 정보를 작업 기억에 유지하는 것이 과제 전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구 1과 2에서는 기억할 사전 정보의 개수를 2개로, 연구 3에서는 4개로 조작하였으며, 사전 정보가 제시되지 않는 조건, 수행 시 정보가 제시되어 사전 정보를 선택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조건, 그리고 사전 정보를 기억해야 하는 조건을 비교하였다. 2개의 사전 정보를 제시한 연구 1과 연구 2 모두 전환 여부와 관계없이 사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과제 전환 수행에 도움을 주었다. 연구 1에서는 사전 정보를 제시할 때 조건을 구분할 수 없어 조건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구 2에서 이를 보완하여 사전 정보를 선택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조건과 사전 정보를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조건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4개의 사전 정보를 제시한 연구 3 역시 사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과제 전환 수행에 도움을 주었으나, 동일한 설계 방식에 사전 정보의 개수만 다르게 제시한 연구 2와 연구 3을 비교했을 때, 2개의 사전 정보를 기억할 때에 비해 4개의 사전 정보를 제시한 경우의 반응시간이 느려졌다. 특히 동일한 사전 정보를 제시하더라도 정보를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조건에서만 개수에 따른 반응시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단순히 정보를 많이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기억하게 하는 것이 부하를 일으킴을 의미한다. Prior information about the task helps prepare the task. However, maintaining such information potentially increases the working memory load,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grade the task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intaining task information on working memory on task switching performance. In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information types (no prior information before task, prior information before task+task cue during task, prior information before task but no task cue during task) and task transition (repetition, switching) were manipulated.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nditions with prior information, regardless of task transition, were better than the condition without prior information. In Experiment 3, the amount of the prior information was increased to 4 items. As a result, conditions with prior information still had faster reaction times than the condition without prior information. Interestingly, when comparing two studies(Experiment 2 and Experiment 3) that used the same block design method but only had different numbers of prior information, the reaction time was slower when presenting 4 items than when presenting 2 items. In particular, since the effect of the number of prior information only appeared in memory conditions, it shows that remembering it rather than presenting a lot of prior information hinders the performance of the task switching.
20도 이상의 술전 내반 변형이 있었던 족관절에서 인공관절 치환술의 결과: 내반 변형 20도 미만 군과의 비교
김현호,이명진,Kim, Hyunho,Lee, Myoungji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0 No.1
Purpose: We compared the results of total ankle arthroplasty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varus deformity of more than $20^{\circ}$ with those of patients with varus deformity less than $20^{\circ}$.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January 2013, 9 ankles with preoperative varus deformity of more than $20^{\circ}$ (varus group) and 31 ankles with varus deformity less than $20^{\circ}$ (control group) underwent total ankle arthroplasty.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radiographic results were assessed using tibiotalar varus angle in standing anteroposterior radiographs taken preoperatively and at the last follow-up.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clinical follow-up was 42.8 months (14~60 months). The AOFAS score was improved by a mean 47.0 points in the varus group and 37.6 points in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p=0.041). Tibiotalar varus angle measured at the last follow-up radiograph was $2.5^{\circ}$ in the varus group and $1.0^{\circ}$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820). Conclusion: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can be achieved in patients with varus deformity more than $20^{\circ}$ by precise bone resection and soft tissue release.
피드백과 메타인지가 논리적 추론 시 신념 편향에 미치는 영향
남예은 ( Ye-eun Nam ),이명진 ( Myoungjin Lee ),이윤형 ( Yoonhyoung Lee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論叢 Vol.53 No.-
본 연구의 목적은 피드백의 유형과 메타인지 능력이 삼단논법추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삼단논법추론 과제의 수행 시 신념 편향(belief bias)이 나타나는 정도가 보상 피드백과 처벌 피드백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받는지, 또한 이러한 영향이 개개인의 메타인지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과제 수행의 정답률에 따라 금전적인 보상 혹은 처벌을 받을 것이라는 지시를 들은 후, 세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삼단논법추론 과제를 수행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은 각 문항의 정답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기 전, 자신의 응답에 대한 확신도를 평정하였다. 그 결과, 피드백 유형에 따른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피드백 유형의 효과가 메타인지 능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메타인지 능력이 높은 집단은 보상 조건과 처벌 조건에서 모두 낮은 신념 편향을 보인 반면, 메타인지 능력이 중간인 집단은 보상 조건이 주어졌을 때 처벌 조건보다 더 큰 신념 편향에 빠졌다. 낮은 메타인지 집단은 처벌 조건에서 메타인지 능력이 높은 집단과 중간 집단에 비해 더 큰 신념 편향에 빠졌다. ability on syllogistic reasoning task. To do so, we examined whether the inference accuracy and the amount of the belief-bias were differently affected by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s. We also examined whether meta-cognitive ability mediates the effect of feedback types on reasoning. The participants were informed that they would receive incentives or penalties based on the accuracy of the syllogistic reasoning performances. As results, high meta-cognition group showed better inference accuracy and low belief-bias in both of positive and negative feedback conditions. Mid meta-cognition group showed increased belief-bias when they received positive feedbacks while low meta-cognition group showed increased belief-bias in negative feedback condit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meta-cognitive ability mediates the effect of the feedback types.
윤정숙,이지숙,이명진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5 生活科學論集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problems of household waste management and make a counterproposal by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s household waste management in apartment house. There were two research methods us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aire survey and field survey method. The conclu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Additional sub-classifications must include: plastics-PET, vinyl and hazardous materials to the existing classifications. 2) The problem of waste sort was that dwellers did not know how to seperate many household wastes accurately; Thus dwellers need accurate waste classification. 3) The problem of waste management in dwelling unit was that many recyclable materials and other normal waste were kept in the utility area but the utility area was not large enough. Therefore, the utility area must be enlarged. 4) The problem of waste management outside the dwelling unit was that the waste receptacle was not large enough to contain the waste and the shape of it was not suitable for that of each kind of wastes. Therefore outdoor waste receptacles must be large and shaped enough to contain the waste, and there must be one for each subdivision of waste so that is not disposed of in other contain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