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earning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동후(Dong-Hoo Lee),황승국(Seung-Gook Hwa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2

        인터넷의 급격한 발전으로 교육환경ㆍ방법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창출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교육산업도 교육의 전 분야에서 이를 활용한 e-learning이 많은 분야에서 도입되었고, 빠른 속도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e-learning 확산 노력에 힘입어 그동안 e-learning의 학습자 만족도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기업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대부분이었고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e-learning 교육만족도평가를 위한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한 모델을 대상으로 퍼지구조모델링법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e-learning 교육만족도에 관한 의식구조를 분석하였다. 또한, 의식구조분석의 결과가 고려된 평가모델을 구축하여 e-learning 교육만족도를 평가하고, 민감도분석을 통하여 e-learning 교육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new paradigm creation requirement about the education environment and method is increasing and also the e-learning to apply traditional education industry was introduced in many field of education. The research about a learner's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aided by effort to spread this e-learning, have been processed much but most of these researches were intended for the enterprise and there are few for the high school.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el for evaluating the education satisfaction of the e-learning and analyzed the consciousness structure about the e-learning education satisfac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using Fuzzy Structural Modeling method. Also, constructing an evaluation model considered the results of consciousness structure analysis, we evaluated the e-learning education satisfaction and showed a method which improved it by the sensitivity analysis.

      • KCI등재

        모바일 디지털 지도에 관한 미디어 생태학적 고찰

        이동후(Lee, Dong Ho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2

        이 연구는 일상에서 장소정보나 길찾기를 위해 자연스럽게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디지털 지도를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에서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실 세계와 언어 상징의 관계 구조를 주목했던 코르지브스키의 “지도가 영토는 아니다”라는 개념을 확장시키고, 연구방법론으로서의 미디어 생태학을 논의한다. 이 연구는 모바일 디지털 지도가 미디어로서 갖는 맥락을 살피면서, 이것의 상징적, 물리적 형식과 시간적, 공간적, 인식론적 편향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미디어의 이해를 통해, 모바일 디지털 지도가 어떻게 재현의 공간을 만들고 공간 경험의 양식을 구조화하는지, 그리고 장소에서의 사람들의 움직임과 지각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As smartphones become our everyday media, they have affected the ways of lived experiences in places. They enable us to get into a so-called space of flows, such as those of immateri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yet to apply locative information to their real-time experiences on move,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a placed-based space and a space of flows. One of main media forms that smartphones remediate is digital map. Mobile digital maps via smartphones allow us not only to search for locative information on the move in real time, but also to tag meta-data on locations, to add locative information in multimedia forms, to create the personalized ‘performative’ maps based on our needs, and even to express ourselves with the records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physical places.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how mobile digital maps mediate spatial reality and sense of place from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case of a local mobile digital map, Naver Map in South Korea, exploring how the characteristics of its language, bias, and relationship with spatial reality and meanings have evolved along with its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this case study, it discusses the mobile digital maps ways of mediating a sense of place. 이 연구는 일상에서 장소정보나 길찾기를 위해 자연스럽게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디지털 지도를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에서 이해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실 세계와 언어 상징의 관계 구조를 주목했던 코르지브스키의 “지도가 영토는 아니다”라는 개념을 확장시키고, 연구방법론으로서의 미디어 생태학을 논의한다. 이 연구는 모바일 디지털 지도가 미디어로서 갖는 맥락을 살피면서, 이것의 상징적, 물리적 형식과 시간적, 공간적, 인식론적 편향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미디어의 이해를 통해, 모바일 디지털 지도가 어떻게 재현의 공간을 만들고 공간 경험의 양식을 구조화하는지, 그리고 장소에서의 사람들의 움직임과 지각 방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탐색한다. As smartphones become our everyday media, they have affected the ways of lived experiences in places. They enable us to get into a so-called space of flows, such as those of immateri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yet to apply locative information to their real-time experiences on move,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a placed-based space and a space of flows. One of main media forms that smartphones remediate is digital map. Mobile digital maps via smartphones allow us not only to search for locative information on the move in real time, but also to tag meta-data on locations, to add locative information in multimedia forms, to create the personalized ‘performative’ maps based on our needs, and even to express ourselves with the records of physic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physical places.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how mobile digital maps mediate spatial reality and sense of place from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case of a local mobile digital map, Naver Map in South Korea, exploring how the characteristics of its language, bias, and relationship with spatial reality and meanings have evolved along with its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this case study, it discusses the mobile digital maps ways of mediating a sense of place.

      • SCOPUSKCI등재

        In Situ Hybridization 에 의한 B 형 간염 양성 간세포암의 C - myc 암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이동후(Dong Hoo Lee),이중달(Jung Dal Lee) 대한소화기학회 198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1 No.4

        N/A In order to elucidate c-myc oncogene expression in hepatocellular carcinoma associated with chronic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hybridization in situ was employed using biotinylated c-myc cDNA probe in the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arget tissue sections from seven patients. Patients sera were exclusively positive in HBV DNA of dot blot hybridization. Enhanced expression of c-myc oncogene was revealed as an intranuclear or perinuclear clustering of fine grains but vary between different samples and within each tumor, and not all tumor cells expressed c-myc, although c-myc expression was detected in all tumors examined. Whereas no remarkable enhancement of c-myc expression was found in control tissue showing a fatty metamorphosis without evidence of HBV infection.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heterogeneous enhancernent of c-myc oncogene may be related to secondary alterations during the progress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chronic HBV infection. And this cell-to-cell variation in the expression of c-myc oncogene suggests that there are certain processes that modulate cancer cell populations in HCC to vary their expression of the oncogen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도시공간 이미지의 재구성

        이동후(Dong-Hoo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4

        이 논문은 사람들의 일반 휴대용 디지털카메라나 디지털카메라폰으로 포착한 도시경험들이 웹상의 지도 안에 등록되고 집적되면서 형성되는 새로운 형태의 이미지 문화를 이론적으로 탐색해보고, 사람들이 쩍어 올린 사진이미지가 어떻게 새로운 형식의 지리정보를 구성하며 근대적 지도가 가졌던 역할을 확장시키고 있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사진 찍는 행위가 웹에서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행위들과 연결되면서, 사진 찍는 행위의 즐거움이 강화되고 있고, 사람들이 사진을 찍고 공유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이 바뀌고 있다. 특히 개인이 찍은 사진들이 웹 기반의 지리적 지도와 결합하면서, 이러한 사진들은 우리가 물리적 공간을 인식하고 그 안에 우리 자신을 위치지으며 그 공간들에 대해 말하는 방식에 깊이 관여하게 된다. 싸이월드의 지도 서비스에 관한 사례분석은 사진 이미지가 관습화된 지리적 상상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경험적ㆍ유희적ㆍ심미적 해석을 담아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진찍기 행위가 주로 스펙터클한 경관과 환영들에 이끌리고, 공간과의 관계는 이러한 시각적 자극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개인이 사적으로 가진 공간의 과거와 현재에 관한 시각적 기억이 지도 위에서 결합되면서, 지도는 근대적 지도의 역할을 넘어 시각적 순간과 기억들이 모인 유동적인 지리적 공간 감각을 형성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하게 된다. As cameras become everyday personal belongings, and photo-taking practices are connected to various communicative activities on the web, photographic images, taken by individuals, are increasingly proliferating and provide unprecedented sources of created contents in digital space. The technological environments, which intensify the playfulness of portable cameras and remediate oral performances related to photo-albums, reshape people's photographic practices, that is, the ways in which people photograph and make meanings out of their photographs, In particular, as individuals' photographs become associated with web-based geographical maps. they are profoundly engaging how we perceive, orientate ourselves in, and talk about the physical space. They contribute to form a new sense of place and to further make us perceive and interact with space via photographic eyes.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the ways in which urban experiences, captured by people's portable digital cameras or camera phones, have been registered and constellated within the map on the web. It examines a new form of geographical information created by ordinary people, which tends to expand the existing role of maps. The case of the Cyworld's Story Map, an archive of geo-tagged photographs, exemplifies how personal experiences and expressions about places become a constitutive part of geo-spatial information on the web. This case shows that geographical imaginations constructed by people's photographs are hardly fixed or bounded but always in process. Rather than creating a single place-myth, they reflect people's experiences and expressive abilities, and provide a loosely-collaged image of a place, which collectively materializes individuals' perceptions and engagements with the place.

      •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를 위한 미세 속중성자 선량 특성 연구

        이동한(Dong Han Lee),지영훈(Young Hoon Ji),이동훈(Dong Hoon Lee),박현주(Hyun Joo Park),이석(Suk Lee),이경(Kyung Hoo Lee),서소희(So Heigh Suh),김미숙(Mi Sook Kim),조철구(Chul Koo Cho),류성렬(Seong Yul Yoo),유형준(Hyung Jun Yu),곽호신(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1

        목 적 :붕소-중성자 포획치료법(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을 위해 원자력병원 싸이클로트론에서 발생되는 최대에너지 34.4 MeV의 속중성자(Fast neutron)를 70 cm 파라핀으로 감속시킨 후 선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열외중성자(Epithermal neutron) 선량 측정법에 대한 프로토콜을 확립하여 원자로에서 방출되는 열외중성자 선량 특성 평가의 기초를 삼고, 가속기를 이용한 BNCT 연구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공기 중 선량 및 물질 내 선량 분포 측정을 위해 Unidos 10005 (PTW, Germany) 전기계와 조직 등가 물질인 A- 150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IC- 17 (Far West, USA) 및 IC- 18, EIC- 1 이온함을 사용하였고, 감마선의 측정을 위해서는 마그네슘으로 제작된 IC- 17M이온함을 이용하였으며 조직등가 기체와 아르곤 기체를 분당 5 cc 씩 주입하며 측정하였다. 중성자, 광자, 전자가 혼합된 장의 모의 수송 해석을 위해 이용되는 Monte Carlo N- Particle (MCNP) transport code를 사용하여 2차원적 선량 분포 및 에너지 분포를 계산하였으며 이 결과를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결 과 :BNCT에서의 유효 치료 깊이인 물 팬텀 4 cm에서의 선량은 치료기 1 MU 당 6.47×10- 3 cGy로 미세하였으며, 이때 감마 오염도(contamination)는 65.2±0.9%로 중성자보다는 감마선에 의한 선량 기여분이 우세하였다. 깊이에 따른 선량 분포 특성에서는 중성자 선량은 선형적으로 감쇠 되었고, 감마선량은 지수적으로 보다 급격히 감쇠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 선량의 D20/D10은 0.718 이었다. MCNP에 의한 에너지 분포 전산 계산의 결과 2.87 MeV 이하에서 중성자 피크가 나타났으며, 저에너지 영역에서는 감마선이 연속적으로 분포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벽 물질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이온함을 사용한 직접 선량 측정과 MCNP 전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간선량분포 계산으로 미세 속중성자 빔에 대한 선량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원자로 열외중성자 주(Epithermal neutron column)에 대한 선량 평가 자료로 확보하였다. 아울러 가속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고전압, 고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원 공급장치와 표적핵(Target) 물질이 개발되고 비스무스나 납 등에 의해 감마 오염도를 줄일 경우, 싸이크로트론에 의한 보론-중성자 포획치료도 가능해질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For the research of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BNCT), fast neutrons generated from the MC- 50 cyclotron with maximum energy of 34.4 MeV in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were moderated by 70 cm paraffin and then the dos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these results, we hope to establish the protocol about dose measurement of epi- thermal neutron, to make a basis of dose characteristic of epi- thermal neutron emitted from nuclea r reactor, and to find feasibility about accelerator- based BNCT. Method and Materials : For measuring the absorbed dose and dose distribution of fast neutron beams, we used Unidos 10005 (PTW, Germany) electrometer and IC- 17 (Far West, USA), IC- 18, EIC- 1 ion chambers manufactured by A- 150 plastic and used IC- 17M ion chamber manufactured by magnesium for gamma dose. There chambers were flushed with tissue equivalent gas and argon gas and then the flow rate was 5 cc per minute. Using Monte Carlo N- Pa rticle (MCNP) code, transport program in mixed field with neutron, photon, electron, two dimensional dose and energy fluence distribution was calculated and there results were compa red with measured results. Results :The absorbed dose of fast neutron beams was 6.47×10- 3 cGy per 1 MU at the 4 cm depth of the water phantom, which is assumed to be effective depth for BNCT. The magnitude of gamma contamination intermingled with fast neutron beams was 65.2±0.9% at the same depth. In the dos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epth of water, the neutron dose decreased linearly and the gamma dose decreased exponentially as the depth was deepened. The factor expressed energy level, D20/D10 , of the total dose was 0.718. Conclusion :Through the direct measurement using the two ion chambers, which is made different wall materials, and computer calculation of isodose distribution using MCNP simulation method, we have found the dose characteristics of low fluence fast neutron beams. If the power supply and the target material, which generate high voltage and current, will be developed and gamma contamination was reduced by lead or bismuth, we think, it may be possible to accelerator- based BNCT.

      • SCOPUSKCI등재

        위암 조직에서의 암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이동후(Dong Hoo Lee),이중달(Jung Dal Lee) 대한소화기학회 198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1 No.2

        N/A The expression of cellular myc (c-myc) was investigated in human primary stomach cancer and gastric mucosal dysplasia employing in situ hybridizaton. Immunohistochemical reaction of avidin- biotin alkaiine phosphatase with substrates was employed to detect a signal of the biotin-labeled c-myc oncogene hybridized in target sections of paraffin-embedded tissues. The c-myc oncogene showed its expression as the fine grains or clumpy clusters of grains in the nuclei or perinuclear cytoplasm, whereas there was no demonstrable colour reaction in control for specificity testing by an excluding the c-myc cDNA probe during the whole procedure. The expression of c-myc was greatly enhanced in seven advanced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with individual and cell-to-cell variation. Early gastric cancer that means adenocarcinoma confined to a gastric mucosa and submucosa in four subjects yield also amplified c-myc expression but less than in advanced cancer. In contrast, both the dysplasia of five patients and the non-neoplastic tissue cells in the vicinity of cancers expressed weak elevation of the c-myc. Our data indicate that c-mvc expression is heterogeneously elevated during the multistep carcinogenesis and the stomach cancers. Furthermore, the data support that dysplaia or atypical hyperplasia is a potential precancerous lesion of stomach cancer

      • KCI등재

        휴대전화 광고 담론의 젠더 이미지

        이동후(Dong-Hoo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6 미디어, 젠더 & 문화 Vol.5 No.-

        기술에 대한 광고담론은 기술을 일상 세계의 의미체계로 설명하고 소개하는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기술과의 관계를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하고 기술의 물질적ㆍ상징적 실천이 갖는 의미를 이야기하면서, 기술에 대한 기대감과 친숙함을 이끌어내고, 기술 수용자가 문화적으로 타협할 수 있는 정체성 모델을 제공한다. 이러한 재현 과정을 통해 기술과 남성성의 강한 결합 관계 혹은 젠더화된 기술 문화가 재생산되기도 하고, 현재적인 맥락에서 새롭게 재구성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휴대전화에 대한 광고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휴대전화가 재현되는 과정 속에 새로운 기술의 문화적 정체성 혹은 기술과 젠더 관계가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5년도 9월 10일까지 방송된 휴대전화 단말기 TV 광고 136편에 대한 서사 분석을 실시하였고, 휴대전화와 성별화된 상징적 가치가 결합되는 상징적 실천 과정을 살펴보았다. 휴대전화 광고 담론은 기존의 기술과 젠더 관계를 무조건적으로 재생산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젠더의 재현 관습에서 자유롭지도 않았다. 휴대전화 광고 담론을 통해 본 연구는 휴대전화의 새로운 기술적 조건, 기존의 젠더 시스템, 그리고 현실 세계의 상업주의가 서로 타협의 지점을 찾는 현장을 목격할 수 있었다. The dominant structure of the patriarchal capitalist society-one in which women have been marginalized and confined in private home spaces-has deeply influenced the processes that define women's lives and identities and has accustomed them to viewing themselves as the other through the male gaze. The processes of representation,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new media culture seem to barely escape the restraints of this dominant patriarchal structure, which is deeply rooted in the real world. This study attempts to look at how advertisements for mobile phones in Korea have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gender, and to question the degree to which these representations have reproduced or redefined the existing gendered discourses of technology. Mobile phones have evolved into multi-functional media whose usag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traditional telephone that has been considered as a gendered technology. For this research, a narrativ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f 136 television commercials that were created between 2000 to 2005. It examines how these commercials have culturally sign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phone and gender.

      • KCI등재

        제3의 구술성 : ‘뉴 뉴미디어’ 시대 말의 현존 및 이용 양식

        이동후(Dong-Hoo Lee)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0 언론정보연구 Vol.47 No.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발달은 단선적인 발전의 역사라기보다는, 미디어 간의 관계가 보다 복잡해지면서 새로운 국면을 형성하는 진화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구술은 가장 오래된 커뮤니케이션 형식으로서, 뉴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대체되거나 부정되는 대신 지속적으로 ‘잔존’하거나 변화해 왔다. 이 글은 월터옹(Walter Ong)의 구술성, 문자성, 제2의 구술성 개념 등을 기반으로 웹 2.0 시대‘뉴 뉴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특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멀티미디어성, 상호 작용적 연결성, 이용자가 생산한 마이크로 콘텐츠 등에 기초한 ‘뉴 뉴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은 제1의 구술성과 문자성 그리고 제2의 구술성의 연장선상에서 살펴볼 수 있지만, 이들보다 복합적인 성격을 갖는다. 이 글은‘뉴 뉴미디어’ 시대에 ‘말’이 현존하는 방식을 제3의 구술성의 개념으로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뉴 뉴미디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말의 매개 방식, 감각 체계, 텍스트성, 시간성, ‘나와 너’의 현존성, 상호 작용의 방식 등을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양식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뉴 뉴미디어 이용자가 다양한 말의 형태를 다루고 읽고 저작할 수 있게 되면서 갖게 되는 소위 ‘트랜스 리터러시(transliteracy)’라는 미디어 이용 양식의 흔성적 성격을 주목해 보았다. The historical progression of communication media is not a unilinear but a compound evolutionary process whe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edia has become more complicated. The spoken word, as the oldest form of communication, has continued to exist as a 'residue' or to transform, rather than to be replaced by the advent of new media. This study attempt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new new media' communication in the age of Web 2.0 through the notions of Walter Ong's primary orality, literacy, and the secondary orality. The communication modes of 'new new media,' based on multimedia, interactive connectivity, and the user-generated micro-contents, can be construed as an extension of primary orality, literacy, and the secondary orality -with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study makes an effort to explore the modes of the presence of the word through the notion of' tertiary orality.' For this exploration, it examines the forms of words mediated via 'new new media,' the sensory system, textuality, temporality, the I-you relationship, and interactivity, in relation to the existent communication modes. In addition, it focuses on the hybridized characteristics of speaking and listening via 'new new media', through which users move across media and become transliterate.

      • 인터넷의 공간과 시간

        이동후(Dong-Hoo Lee) 한국언론학회 2006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2 No.1

        이 글은 성숙단계에 이른 인터넷 미디어를 도구(tool)나 회로(conduit)가 아닌 환경으로 주목하며, 인터넷과 우리의 문화가 갖는 공생관계, 특히 인터넷이 우리의 공간과 시간 경험을 어떻게 재구조화하는지를 사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자 미디어 환경에 대한 미디어 생태학자들의 시각을 조명해보고, 이니스(Innis)의 “편향성(biases)" 개념과 맥루언(McLuhan)의 “청각적 공간(acoustic space)" 및 “시각적 공간(visual space)" 개념을 중심으로 우리의 시공간 경험을 구성하는 인터넷 미디어 환경의 “비가시적 배경 원칙”의 작용성을 살펴보았다. 인터넷이 부활시킨 동시성, 역동성, 비선형성, 무정형성 등은 근대적 공간의 구분이나 시간 구분의 경계를 해체시키고 공간과 시간에 대한 개인의 제어력을 강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공간 경험의 이면에는 공간 편향적 미디어 환경이 지니는 또 다른 통제의 역학이 내재되어 있고, 빠른 속도와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지향하는 현재 중심적 사고(present-mindedness)가 강화되고 있다. 이 글은 우리의 시공간 경험을 구조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대한 고찰을 통해, 미디어와 인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성찰성을 높이고, 인간 행위자의 역할을 다시금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net as an environment, not as a tool or a conduit. The most noticeable new media environment since the 1990s is the ubiquitousness of individual or group communication via the Internet, a global computerized network. People have easy access to the Internet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digital-storage, data-compression, search engines, user-centered interfaces, and multimedia terminals, Within the communication space of the Internet, the audience can experience one-to-on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or many-to-many communication in real-time or asynchronous modes. They can expect to retrieve any information with various communication forms beyond the physical limits of space and time bounded by the exiting media. Following the media ecological perspective, which stimulates us to have a wider holistic view on media in order to understand human-media symbiosis, the approach presented here speculates on how the Internet has conditioned and re-structured our experiences of space and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