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기 평가 소재 하위요인 군집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동귀(Lee Dong-Gwi),이수란(Lee Su-Ra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자기 평가 소재 척도(Locus of Evaluation Inventory: LEI; Bucur & Lee, 2006)를 청소년집단에서 타당화 하고, 자기 평가 소재가 청소년의 정신건강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16문항, 4요인 구조가 제안되었으며, 특히, 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요인(긍정적 평가에 의존하기)이 나타났다. 또한 군집분석 및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청소년판 LEI의 하위요인 점수에 따라 3개의 군집(내적 평가소재 집단, 내-외 평가소재 집단, 외적 평가소재 집단)이 나타났으며, 각 집단은 자존감, 삶의 만족도 및 다양한 정신건강 지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 집단의 정신건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validated the Locus of Evaluation Inventory (LEI; Bucur & Lee, 2006)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furth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us of evaluation (LOE) and degre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results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yielded a 16-item Korea-LEI with four factors. Interestingly, a new factor (Dependence on Positive Feedback) emerged, which ma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dolescents. A cluster analysis and MANOVA results revealed the presence of three clusters (Internal LOE Group, Internal-External LOE Group, and External LOE Group), and each cluster differed significantly across the measures of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high school students' LOE and presents a fuller picture of their psychological health.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quence Units of Counselor Intention-Client Reactions and Session Effectiveness

        이동귀(Dong-gwi Lee),이창호(Chang-ho Lee)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1994 心理科學 Vol.3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quence units of counselor intentions-client reactions and the session effectiveness perceived by counselors and clients in beginning interviews. Participants were 20 volunteer student clients and 7 counselors at a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The Interpersonal Process Recall (IPR) procedure and the Lag Sequential Analysis were applied for 20 counseling ses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several sequence units of client reactions-counselor intentions were differentially related to the client-rated session effectiveness. For example, the sequence unit of 'therapeutic works' reaction-'explore' inten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client-rated session effectiveness (r = - 39 to - 58). On the other hand, the sequence unit of client's 'challenged' reaction-counselor's 'explore' inten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lient-rated session effectiveness (r = .40 to .50). Som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한국 중년의 자존감 평가영역 중요도에 따른 하위집단별 정신건강

        이동귀(Lee, Dong-gwi),양난미(Yang, Nan-Mee),박현주(Park, Hyun-joo),배병훈(Bae, Byeong-Hun),천영아(Chun, Young-A)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논총 Vol.40 No.-

        본 연구는 한국의 40∼50대 중년의 전국 단위 표본을 대상으로 자존감 평가 영역에 부여하는 중요도의 프로파일에 따른 하위집단을 군집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또 다른 표본을 대상으로 교차타당화한 후, 구분된 하위집단에 따라 중년의 다양한 정신건강 지표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1(n = 546)에서 ‘사회적 능력 중시형 집단,’ ‘낮은 자존감 영역 수반성 집단,’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 ‘가족 및 품성 중시형 집단’의 네 하위집단이 확인되었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 및 품성 중시형 집단’과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이 ‘사회적 능력 중시형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의 행복을 보였고, 동시에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은 ‘낮은 자존감 영역 수반성 집단’에 비해서도 높은 행복 수준을 보였다. 연구 2(n= 611)에서 군집해법이 다른 표본에서도 교차타당화 됨을 확인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이 삶의 의미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가족 및 품성 중시형 집단’이 ‘사회적 능력 중시형 집단’에 비해 높았다. 외로움의 경우 ‘높은 범(凡) 영역 수반성 집단’과 ‘가족 및 품성 중시형 집단’에 비해 ‘사회적 능력 중시형 집단’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 identified sub-groups of mid-aged Koreans using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importance index of the Domains of Self-Esteem Appraisals, (b) cross-validated the cluster solution, and (c) examined group differences on mental health. Study 1 (n = 546) identified four sub-groups (Group 1: social ability-oriented; Group 2: low contingency on self-esteem areas; Group 3: high and global contingency on the areas; and Group 4: family and character-oriented). MANOVA results suggested that (a) Groups 3 and 4 showed higher scores on happiness than Group 1, and (b) Group 3 outperformed Group 2. Study 2‘s (n = 611) results indicated that (a) the cluster solution from Study 1 was crossed-validated, (b) another MANOVA results suggested that Group 3 was the highest on meaning in life, followed by Group 4, both groups surpassed Group 1, and (c) as for loneliness, Group 1 was higher than Groups 3 and 4.

      • KCI등재

        한국 핵가족의 자존감과 행복 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구

        이동귀(Lee, Dong-gwi),양난미(Yang, Nan-Mee),박현주(Park, Hyun-joo),장석환(Chang, Seok-Hwan)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8 No.-

        본 연구는 경상남도의 핵가족(직장인 아버지, 전업주부 어머니, 청소년 자녀 3인 가족) 14가구, 가족 구성원 42명에 대한 개별 면접에서 도출된 진술문들을 토대로 개념도 분석 방법(concept mapping method)을 적용하여 가족 내에서 1) 자존감을 느낄 때와, 2) 이들이 경험하는 행복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첫 번째 질문, “가정 안에서 자존감을 느낄 때는 언제입니까?”에 대한 핵심문장은 총 160문장(아버지, 어머니 각 55개, 청소년 자녀 50개), 두번째 질문, “가정 안에서의 행복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에 대한 핵심문장은 총 150개(아버지, 어머니, 청소년 자녀 각 50개씩)로 정리되었다. 핵심문장들에 대해 다차원 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가정 내 자존감을 느낄때’에 대한 핵심문장은 아버지의 경우 총 3개 군집(‘자신의 의견이 존중될 때’, ‘자신의 역할을 인정받을 때’, 및 ‘자신이 기대하는 대로 자녀가 잘 따를 때’), 어머니의 경우 총 3군집(‘엄마로서의 역할을 인정받을 때’, ‘가족이 나를 인정해 줄 때’ 및 ‘남편이 인정해 줄 때’), 그리고 자녀의 경우 총 4군집(‘가족이 함께 할 때’, ‘내가 잘 했을 때’, ‘내가 존중 받을 때’ 및 ‘부모님의 인정, 칭찬을 받을 때’)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가정 내 행복의 의미’에 대한 핵심문장은 아버지의 경우 총 3군집(‘나와 가족이 탈 없이 지내는 것’, ‘가족 간 정서적 지지를 받는 것’ 및 ‘자녀가 잘 되는 것’), 어머니의 경우 총 3군집(‘가족이 화목하고 서로 존중하는 것’, ‘가족 간 원활한 소통을 하는 것’ 및 ‘자기 삶에 만족하는 것’), 그리고 청소년 자녀의 경우 2군집(‘자율성을 느끼는 것’ 및 ‘가족이 화목하고 서로 배려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핵가족이 가정이라는 맥락 속에서 어떤 때 자존감을 느끼는지, 그리고 가정에서 행복이 지니는 의미를 실제 가족 구성원들의 생생한 언어로 들어보고 이를 분류함으로써 각자의 입장 및 역할에 따른 차이점을 심도 있게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using a concept mapping method, was conducted to achie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Korean nuclear family members’ (i.e., a father who is a office worker, a mother who is a housekeeper, and an adolescent child) unique experiences about, (a) when each member feels having self-esteem, and (b) each member’s meaning of happiness in the family. A total of 14 nuclear family (i.e., 42 family members) who lives in Gyeongsangnam-do participat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the following task to sort and rate on their core statements with at least one-week interval between the interviews and the sorting/rating work.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s to the first focus question (when do you feel having self-esteem in your family?), a total of 160 core statements (55 items for both the father and mother and 50 for the child) were reported, which consisted of 3 clusters for the father (i.e., ‘when the family respects him’, ‘when the family recognizes his role as a father/house head, and ’when his child meets his expectations’), 3 clusters for the mother (i.e., ‘when the family recognizes her role as a mother’, ‘when the family recognizes her as a person’, and ‘when her husband recognizes her’) and 4 clusters for the child (i.e., ‘when the family members get together’, ‘when himself/herself did well’, ‘when he/she is respected by his/her family’, and ‘when his/her parents recognizes/praises him/her’). Second, regarding the second focus question (what do you think of the meaning of happiness in your family?), a total of 150 core statements (50 items for each members of the nuclear family) were reported, which contained 3 clusters for the father (i.e., ‘well-being of myself and my family’, ‘emotional support among the family members’, and ‘well-being and success of the child’), 3 clusters for the mother (i.e., ‘harmony and mutual respect among the family members’, ‘smooth communications in the family’, and ‘life satisfaction of each member’) and 2 clusters for the child (i.e., ‘a sense of autonomy’, and ‘harmony and care in the family’). This study offers implications in that it delved into the Korean nuclear family members’ unique perspective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self-esteem and happiness in their family by listening to their subjective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s well as their own classification of the core statements.

      • KCI등재

        자해 관련 자기개방 내용에 따른 공감 반응 차이

        이동귀(Dong-gwi Lee),오현주(Hyunjoo Oh),김서영(Seoyoung Kim) 한국재활심리학회 2022 재활심리연구 Vol.29 No.2

        자해하는 청소년과 초기성인들이 온라인상에서 자기개방을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인터넷에 올라온 자해 관련 글들을 확인하고 자기개방이 어떤 반응을 유발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특히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정도를 중심으로 자해에 대한 일반 온라인 이용자들의 반응을 검토하였다. 네이버 지식인에 게시된 16,645개의 자해 고민 글과 이에 대한 29,988개 답글 중 양질의 자료를 채택하고, 자기개방의 결과로 공감을 받은 사례(236건)와 공감을 받지 못한 사례(191건)를 분류하였다. 사례별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확률추론을 통해 다량의 글 속에 잠재된 주제들을 발견하는 잠재 디리클레 할당 토픽모델링(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을 포함한 양적인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귀인 모델(attribution model)을 준거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호소문제는 개인내적, 제도적(병역의무 등) 및 대인관계 고충으로 구분되었으며, 일반 온라인 이용자들은 귀인 모델과 일관되게 가정폭력 등 불의의 사건과 관련된 자해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공감했지만, 자해하는 사람이 특혜를 바란다고 인식되거나 관계 불만족을 주된 스트레스로 호소했을 때는 정서적으로 거리를 두고 공감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편견에 의해 특정 호소문제의 심각성이 축소 평가될 가능성을 보여주며, 심리교육 방안과 상담 및 심리치료 실무자를 위한 제안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growing number of self-disclosures online on self-injury behavior among young South Koreans. The study examined 16,645 online posts self-diclosing self-injury behaviors in “Naver Knowledge-In” forum (ie., “the Google of South Korea") and their 29,988 comments, resulting in the categorization of two groups of commnet: emphatic comments (n=236) and non-empathic comments (n=191). Text analyses includ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opic modeling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reviewed using attribution model elaborated by Corrigan et al. (2003).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trapersonal, institutional, and interpersonal concerns were expressed, and that online users tended to empathize with online posts self-disclosing trauma-related self-injury behaviors (eg., domestic violence), whereas being less emphatic with self-disclosure of self-injury behaviors that seemingly sought attention for preferential treatment of dissatisfaction in relationship.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긍정심리학적 인간이해와 변화

        이희경(Lee Hee-kyung),이동귀(Lee Dong-gwi)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3

        본 논문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적 관점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문은 심리학의 초점이 인간의 문제나 결함을 교정하는 것에서 인간의 강점과 자원의 발달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특히 역경에 직면했을 때 정서탄력성과 강건함을 포함하는 인간의 긍정적 특성의 중요한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긍정심리학적 관점을 상담과 심리치료 분야에 적용할 때, 상담자는 내담자의 성장 동기를 발견하고, 내담자가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자신의 장점과 자원을 활용하도록 지지해 주어야 한다. 내담자의 변화언어를 촉진하는 것 또한 상담 개입의 중요한 목표가 된다. 아울러, 긍정심리학을 주요 상담 이론들(인간중심,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게슈탈트 접근)과 통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다음으로, 긍정심리학을 한국문화에 적용하는 문제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끝으로, 긍정심리학의 미래과제로서 포괄적인 인간이해에 대한 인접 학문 간 연계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hrough the len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paper started with a discussion on the necessity for shifting the focus in psychology from the remedy of human problems or deficiency to the development of human strengths and resources. The pivotal role of positive human traits including resilience and hardiness particularly in the face of adversity was discussed. In an effort to embrace the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into the field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counselors are advised to attune to clients’ growth-oriented motivation, and to assist clients to identify and utilize their asset and resources toward the fulfillment of their potential. Facilitating clients’ change talks was also suggested as an important target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An attempt was made to integrate positive psychology into three major counseling therapies(person-centered, Adlerian, and gestalt approach). Subsequently, issues on the cross-cultural application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to the Korean culture were discussed. This paper ends with a discussion of future tasks in positive psychology as an interdisciplinary framework towar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uman.

      • KCI등재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이보용(Lee, Bo-Yong),이동귀(Lee, Dong-Gwi)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미래교육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해결중심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자아개념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에 소재한 U 초등학교 6학년 남녀 학생을 선정하여 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결중심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은 통제집단의 초등학생에 비해 자아개념의 네가지 하위요인(신체적, 사회적, 인성적, 가정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결중심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은 통제집단의 초등학생에 비해 또래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해결중심 집단상담은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on self-concept and peer-to-peer relationship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 sixth graders at U.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cores of self-concep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concept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cores of peer-to-peer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er-to-peer relationship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e 6-week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cores of self-concept and peer-to-peer relationship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

        신지은(Shin Ji-Eun),이동귀(Lee Dong-Gw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를 구성하는 두 하위요인(조건적 수용, 타인의 높은 기준)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자기은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건적 수용’ 요인은 우울, 불안, 적대감 모두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타인의 높은 기준’ 요인은 우울 및 불안과만 관련되었다. 그러나 ‘조건적 수용’ 요인을 통제한 ‘타인의 높은 기준’ 요인은 심리적 부적응과 아무런 관련을 보이지 않았으며, 자기은폐는 ‘조건적 수용’ 요인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타인의 부정적인 평가를 두려워하는 완벽주의적인 고등학생으로 하여금 스스로의 취약한 부분을 터놓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It did so in the context of two perspectives, namely, the effects of the high standards and conditional acceptance of other s and the issue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elf-concealment in relationship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ssue of conditional acceptance was related closely with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whereas the issue of the high standards of others w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but not with hostility. However, when controlling for the issue of conditional acceptance, the issue of others’ high standards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addition, selfconcealment functioned as a significant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sue of conditional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findings suggested the necessity for assisting perfectionistic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vulnerable to others’ negative evaluations in disclosing their weaknesses.

      • KCI등재

        국내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손하림(Sohn, Ha-Rim),이동귀(Lee, Dong-Gwi),박종철(Park, Chong-Chol),이나희(Lee, Na-Hee),오현주(Oh, Hyun-Joo) 한국교육치료학회 2021 교육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국내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동향 분석과 메타분석을 실시하고, 효과크기가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 조절변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21년 4월까지 출간된 총 24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70개의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동향 분석 결과, (1) 2011년을 기점으로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증가하다가 2017년부터 급감하였으며, (2) 미혼모 중 시설거주자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3) 만 25세 미만의 청소년 미혼모와 성인 미혼모 참여자가 혼합된 연구가 대다수였으며, (4) 미혼모의 연인관계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은 전무했다. 포괄적 메타분석 프로그램(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각 조절변인에 대해 하위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미혼모 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554.(Hedge’s g)로 나타났다. 하위집단분석 결과, (2) 청소년 집단에서는 큰 효과크기(> .7)가, 그리고 성인-청소년 혼합집단에서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 .5)가 나타났다. (3) 프로그램 운영방식에서 총 회기 수가 11회 이상, 1회기 소요시간은 60분 이하인 경우 더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4) 종속변인 별 효과크기에서 진로관련변인(> .7)은 큰 효과크기를, 그리고 개인내적(intra-personal) 변인은 작은 효과크기(g = .377)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trend and meta-analysis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Korea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upport programs for Korean single mothers and explored the moderating variable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effect size depending on each program’s characteristics. The trend analysis summarized 24 articles published from 1998 to April 2021 and analyzed 70 effect sizes. The results of the trend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studies on program development for supporting single mothers increased beginning in 2011 and drastically decreased since 2017, (2) the research mainly focused on single mothers in the rehabilitative institutions, (3) most studies made no distinction between a 25-year-old adolescent single mother and a 25-year-old adult single mother, and (4) no study developed programs for those in romantic relationships. A meta-analysis with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was used to compute effect sizes and perform subgroup analyses on each moderating variable. The main findings from a meta-analysis with the CMA program indicate that (1)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the programs for single mothers was .554(Hedge’s g), (2) a large effect size(> .7) among the adolescent group and medium effect size(> .5) among the adult-adolescent mixed population were detected, (3) regarding the program management styles, a larger effect size was detected when having more than 11 sessions in overall and progressing less than an hour, and (4) as for dependent variables, career-related variables showed a large effect size(> .7) and intra-personal variables had a small effect size(g = .377).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