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부의 T2강조 영상에서 지방소거기법의최적의 평가

        이다희,구은회,Lee, Da-Hee,Goo, Eun-Hoe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 2012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Vol.14 No.1

        To test the real image quality of a spectral attenuated inversion-recovery (SPAIR) fat-suppression (FS) techniquein clinical abdominal MRI by comparison to turbo spin echo inversion-recovery (TSEIR) fat-suppression (FS) technique. 3.0T MRI studies of the abdomen were performed in 30 patients with liver lesions (hemangiomas n: 15; HCC n: 15). T2W sequences were acquired using SPAIR TSEIR. Measurements included retroperitoneal and mesenteric fat signal-to-noise (SNR) to evaluate FS; liver lesion contrast-to-noise (CNR) to evaluate bulk water signal recovery effects; and bowel wall delineation to evaluate susceptibility and physiological motion effects. SPAIR-TSEIR images produce significantly improved FS and liver lesion CNR. The mean SNR of the retroperitoneal and mesenteric fat for SPAIR were 20.5, 10.2 and TSEIR were 43.2, 24.1 (P<0.05). SPAIR-TSEIR images produced higher CNR for both hemangiomas CNR 164.88 vs 126.83 (P<0.05) and metastasis CNR 75.27 vs 53.19 (P<0.05). Bowel wall visualiz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using in both SPAIR-TSEIR (P< 0.05). The real image quality of SPAIR was better than over conventional TSEIR FS on clinical abdominal MRI scans.

      •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시스템 기술에 관한 국제해사기구(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논의 동향

        이성엽(Seong-yeob Lee),정태환(Tae-hwan Joung),강성길(Seong-gil Kang),이다희(Dahee Lee),김진형(Jinhyung Lee),이상혁(Sanghyuk Le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선박은 효율적이며 친환경적인 화물운송 수단이지만, 국제사회는 더 개선된 지구환경을 위해 선박으로부터의 오염물질 방출 저감을 요구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국제항행을 하는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08년 대비 2050년까지 최소 50%로 설정하였다. 현 시점에서 해운사들은 운항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소 배출량 규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조선업계에서는 에너지 효율 개선 장치, 저탄소(LNG, 메탄올 등) 추진 기술, 무탄소(암모니아, 수소 등) 추진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제4차 IMO GHG 연구 결과에서는 IMO 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대응하기 위해서 무탄소 및 탄소중립연료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무탄소 대체연료(암모니아, 수소)를 선박에 상용화시키기 위해서는 극복해야할 난제가 상당히 많다. 현재 IMO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에서 논의되고 있는 온실가스 감축 계획이 일정 변경없이 진행되고, 무탄소 선박연료 상용화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면, 징검다리 기술로서 선상 이산화탄소 포집시스템(Onboard Carbon Capture & Storage System, OCCS)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선박에 고려되고 있는 OCCS 기술을 검토하고, EEDI/EEXI 프레임에 OCCS 영향을 반영하는 산정식을 제안한다. Ships are an efficient and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ing cargo, bu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demanding lower emissions of pollutants from ships for a better global environment.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set its target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international vessels at least 50% by 2050 compared to 2008. At this point, shipping companies are responding to regulations on carbon emissions by controlling operating speed, and shipbuilding industries are developing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devices, low-carbon (LNG, methanol, etc.) propulsion technologies, and carbon-free (ammonia, hydrogen, etc.) propulsion technologies. Recent results from the fourth IMO GHG study concluded that the introduction of carbon-free and carbon-neutral fuels is essential to respond to IMO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However, there are considerable challenges to overcome in order to commercialize carbon-free alternative fuels (ammonia, hydrogen) on ships. If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plan, currently being discussed at the IMO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Commission (MEPC), will take considerable time to commercialize carbon-free ship fuel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nboard Carbon Capture & Storage System (OCCS) as a stepping stone technology. In this study, we review the OCCS technology currently being considered for ships and propose a formula that reflects the OCCS impact on EEDI/EEXI frames.

      • KCI등재

        범주형 전환문항을 포함하는 항목 무응답 대체 방법 비교

        이다희(Da Hee Lee),안형진(Hyonggin A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1

        사회조사에서는 항목 무응답이 발생했을 때 무응답으로 인한 정보의 손실을 줄이는 하나의 기법으로 범주형 전환문항(unfolding bracket question)을 사용한다. 범주형 전환문항을 포함한 항목무응답은 구간중도절단된 생존자료와 구조가 유사한데, 범주형 전환문항을 포함한 항목 무응답을 처리하는 대체 방법과 관련한 연구는 제한적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한 대체와 이용하지 않은 대체 성능을 살펴보았고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하는 세 가지 대체 결과를 비교하였다. 첫 번째는 선형회귀 기반의 최근접이웃 핫덱대체이고 두 번째는 개체별로 범주구간 내에서 동일한 확률로 대체값을 선택하는 균일분포를 이용한 대체이며 세 번째는 비모수적 최대가능도 추정법으로 추정한 생존함수를 이용하는 대체 방법이다.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하지 않은 대체는 핫덱대체를 고려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세 대체 방법들의 성능을 평가하였고 고령화연구패널조사 3차조사 예제를 통해 실제 자료에 대한 적용방법을 설명하였다.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한 대체가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하지 않은 대체보다 성능이 좋았다. 범주형 전환문항을 이용한 대체의 경우 무응답률이 비교적 낮을 때 비모수적 최대가능도 추정법으로 추정한 생존함수를 이용하는 대체 방법의 성능이 좋았다. 무응답률이 클 때 평균 편향 측면에서는 선형회귀 기반의 최근접이웃 핫덱대체 방법이, 평균제곱근오차 측면에서는 비모수적 최대가능도 추정법으로 추정한 생존함수를 이용하는 대체 방법이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In social surveys, unfolding bracket questions are used as a technique to reduce the loss of information due to nonresponse when item nonresponses occur. Item nonresponse, including unfolding bracket questions, has a similar structure to interval censored survival data. However, imputation methods to handle item nonresponses including unfolding bracket questions are limited. In this study, we examine performance of imputation with and without unfolding bracket questions. Also we compare three imputation methods to handle unfolding bracket questions. The First method is a linear regression-based nearest neighbor hotdeck imputation. Secondly, it is possible to consider a uniform distribution that selects a value with the same probability within the section for each individual. The third is an imputation method using the survival function estimated by the nonparametric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Hotdeck imputation was considered as an imputation for not using unfolding bracket questions. The performance of these imputation methods was evaluated through simulation and the KLoSA study is used to provide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these methods to real data. Imputation methods using unfolding bracket questions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method without unfolding bracket questions. The performance of the imputation method using the survival function estimated by the nonparametric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better when the nonresponse rate was low and when the nonresponse rate is large in terms of root mean square error. When the non-response rate is large, the linear regression-based nearest neighbor hotdeck imputation method showed better results in terms of mean bias.

      • 디지털 리터리시를 중심으로 21세기 문화예술교육의 변화와 개선 방안

        이다희(DAHEE LEE)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사회과학연구 Vol.27 No.1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도래로 인해 교육의 중심은 디지털 리터러시와 핵심 역량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도 디지털 환경에서 필요한 리터러시 이해를 기반으로 변화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과는 별개로 한국 학생들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세계 최하위로 나타났으며, 문화예술교육의 온라인 참여도도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디지털 환경 속에서 발전할 수 있는 협업 형태와 사례를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한 통합 커리큘럼 개발과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 구글 아트앤 컬처를 기반으로 한 플랫폼 사례, 디지털 리터러시 교사 교육, 평가 및 피드백 활성화, AI 보조교사 시스템의 도입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안들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를 효과적으로 배우고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예술교육을 통해 다양한 감각적 지각과 심미성을 활용하여 미래세대의 공존을 위한 예술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Correspondingly,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needs to undergo changes based on the necessary understanding of digital literacy in the digital environment. Despite South Korea's reputation as an IT powerhouse, Korean students have exhibited the lowest levels of global digital literacy, while the participation rate in onlin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remains significantly low.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tudy investigates collaborative forms and cases for the advance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proposes improvement strategies. The suggested measures encompass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curricula rooted in digital literacy, provision of tailored programs, exploration of the Google Arts and Culture platform as an exemplar for online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training for teachers in digital liter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and feedback processes. These approaches will facilitate effective learning and utilization of digital literacy skills in the digital era. Additionally, by integrating diverse sensory perceptions and aesthetic sensibilities, art education can foster a future-oriented cultural and artistic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motes coexistence among younger generations.

      • KCI등재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위험군 대학생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대학의 3단계 학습 특별관리시스템 기반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다희(Lee Da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위험군 대학생을 지원하기 위해 전담 교수를 배정하여 일대일 맞춤형 3단계 학습 특별관리시스템(학습 상담, 학습 코칭, 학습 관리)을 기반으로 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함으로써, 향후 실효성 있는 관련 프로그램을 설계 및 운영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해당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에 대한 편파성을 상쇄하고 타당도를 높이고자 혼합 연구 방법(mixed-method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 첫째, 해당 학생들이 자기주도학습을 실천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함께 학점 향상으로도 연결되는 측면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부분 학생들이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학습 스타일에 맞는 공부 방법을 코칭 받음으로써, 맞춤 전략 습득뿐만 아니라 실행 과정상 문제점 점검을 통해 학습 실행력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학습전략 특강이 단발성 형태로 종료되지 않고 학생들의 학습 실행 과정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는 역할이 가능했다. 넷째, 학사경고자 또는 학사경고 위험군 그룹별로 프로그램을 참여하기 전과 후의 자기조절학습전략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이 존재했다. 다섯째, 전담 교수 및 관리 담당 선생님을 배정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업에 대한 의지력이 떨어지거나 포기하고 싶은 순간들을 극복하고 학습을 지속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여섯째, 학교 시스템 내에서 해당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학금 혜택을 부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설계 및 운영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학사경고자 및 학사경고 위험군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발성이 아닌 장기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 결과, 향후 해당 학생들 대상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이 보다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프로그램 설계 및 운영 방향성에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a dedicated professor was assigned to support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and groups likely to receive academic probation, and developed and operated a one-on-one customized 3-step learning special management system(learning counseling, learning coaching, learning management), and we inte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related programs in the future to achieve effectiveness. Methods In order to offset the bias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program and increase the validity,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mixed research method and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drawn. Results First, as students participated in a program that practiced self-directed learning, it led to a positive percep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improved grades. Second, most of the students were coached on the study method that fits their learning style, so not only learning customized strategies but also improved learning execution ability. Third, the special lecture on learning strategy did not end in a single-shot form, and it was possible to directly help the students learning execution process. Fourth, there were item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Fifth, by assigning a dedicated professor and a teacher in charge of management, it was possible to help students overcome moments when they lose their willingness for learning or want to give up. Sixth,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rograms that can grant scholarship benefits to the students within the school system.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program that can be operated for a long-term, not a single occurrence, for colleg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and groups likely to receive academic probation.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rogram design and operation in which the learning support program for the students in question could be more effective in the future.

      • KCI등재

        논문 : 스마트워치 사용 환경에 관한 알림 연구

        이다희(주저자) ( Da Hee Lee ),김성우(교신저자) ( Sung Woo Ki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에서 스마트워치는 현재 많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그에 비해 소비자들의 반응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TV와는 다른 발전 배경을 가진 새로운 스마트 기기인 스마트워치가 사람들에게 이질감을 느끼게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워치의 환경을 고려한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의 발전이 필요한 상황이다. 스마트워치는 물리적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시계화면, 기능적으로 스마트폰보다 개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기로서 개인정보 노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에서 스마트폰과 동일한 알림체계가 아닌 스마트워치의 사용환경을 고려한 알림체계의 필요성을 느껴 스마트폰과 차별화된 스마트워치의 환경을 고려한 알림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폰과 스마트워치의 사용환경을 분석하고 각각의 분석한 사용환경에서의 기기들의 알림들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각 디바이스들의 알림들을 재구성한 알림 시각화모델에 적용하여 각 사용 환경에서의 알림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기기의 알림 시각화모델은 분명한 차이를 보였고, 그 차이점을 통해 스마트워치의 알림 방향성을 제안한다. Among wearable devices, smartwatches receive much attention today, but consumer reaction to them falls short of the expectations. For this reason, its development in the aspect of user experiences in consideration of smartwatch environment is needed. In the aspect of user experiences, a smartwatch can cause privacy problems arising from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on the physically outward watch display and on the device that performs functionally more personal roles than smartphones. Accordingl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a notice structure that considers the user environment of smartwatch, this research attempt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notice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smartwatch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smartphones. The user environment of the smartphone and the smartwatch was analyzed, and the notice structure of the smartphone and the smartwatch was composed in the respective, analyzed, user environment. And the notice structures of each device was applied to the redesigned notice visualized mod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tice structures in the respective user environmentwere analyzed. The notice visualized models of the two devices clearly showed differences, and through these differences, the notice direction of the smartwatch is propose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