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에서 참여적 행위자로서 대학의 역할유형에 관한 실증 분석

        김이수(Lee-Soo Kim)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지역에서 참여적 행위자로서 대학의 역할유형을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를 통해, 대학의 교육, 연구, 사회봉사 기능이 대학의 사회 혁신 기능보다 중시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대학의 교육, 연구 및 사회봉사 기능중에서 혁신기능(신기술 개발), 사회적 자본 창출(자원봉사 활동), 서비스 기능(도서관 개방) 순으로 중요하고, 대학의 사회 혁신 기능중에서는 시민참여 및 민주화(시민참여나 NGO 관련 행사 개최 지원), 정치적 옹호(사회적 약자나 시민 이익대변), 개인적 의사표현 기능(대학평가 관련 성명서 발표) 순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결국 대학이 지역사회와의 관계에서 혁신기능(신기술 개발)이 가장 중요하고, 사회적 자본 창출(자원봉사 활동), 시민참여 및 민주화, 서비스기능(도서관 개방), 정치적 옹호(사회적 약자나 시민 이익 대변), 개인적 의사표현 기능(대학평가 관련 성명서 발표) 순으로 중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책적 함의로서 첫째, 지역에서 참여적 행위자로서 대학이 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기술이나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 등 혁신기능을 제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대학의 기능 변화로서 자원봉사 활동 등과 같은 사회적 자본 창출의 매개체로서 대학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ole types of universities as participant actors in the Jeonbuk area.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education, research, and social service functions of universiti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 social innovation functions of universities. In detail, among the education, research, and social service functions of the university, it is important in the order of innovation function (new technology development), social capital creation (volunteer activity), service function (opening the library), and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university’s social innovation function And democratization (civil participation or NGO-related events to be held), political advocacy (social underprivileged or civic interest representation), and personal expression function (publishing statements related to university evaluation). In the end, the innovation function (developing new technologies)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university’s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creation (volunteering), citizen participation and democratization, service function (opening the library), political advocacy (representing socially weak or citizen interests), And personal decision-making skills (publishing statements related to university evaluation) in order of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as a policy implication, first, it is most important to improve innovative functions such as creating new technologies or creating new ideas, in order for the university to fulfill its role as a participatory actor in the region. Second, the university is important as a medium of social capital creation,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as a function of the university.

      • 사회적 지지와 동거여부가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김옥희 ( Ok Hee Kim )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2 No.-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동거여부와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인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과 동거노인 두 집단 간에 정신건강과 사회적 지지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동거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지지가 독거노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경제수준, 신체적 건강, 동거, 사회적 지지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족과 동거할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노인의 정신건강은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거 여부와 사회적 지지 유형에 따른 노인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지중 평가적 지지와 동거여부를 투입하여 정신건강을 예측한 모형의 경우, 종교를 가질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정보적 지지가 클수록, 정신건강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사회적 지지중 물질적 지지와 가족 동거 여부를 투입하여 정신건강을 예측한 모형의 경우 종교를 가질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동거할수록, 물질적 지지가 클수록, 노인의 정신건강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which social supports and cohabiting influence on the elderly`s mental health target at 200 elderly people who are older than 65 in Busan. Furthermo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basic data are provided to deduct the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the elderly`s mental healt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about the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s between the group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and the group of elderly people living together were that the mental health and the social supports of elderly people living together were more significant than one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n the variables which influence on elderly people`s mental health were that the economic level, physical health, living together and social supports were the influence factors. That is,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was, the better the physical conditions were, the more usual living together with family was and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s were, the better elderly people`s mental health was. Third, the analysis results about influence factors on elderly people`s 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types of living together or not and social supports were as follows. In case of the model which the mental health was predicted by bringing the evaluative support and living together or not among social supports, it was shown that the more usually elderly people had religions,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was, the better the health condition was and the higher the informative support were, the better the mental health was. In case of the model which the mental health was predicted by bringing the material support and living together with family or not among the social supports, it was also shown that the more usually elderly people had religions,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was, the better the health condition was, the more usual living together with family was and the higher the material supports were, the better the mental health of elderly people was.

      • 북한이탈주민의 복지욕구와 지원방안

        오영훈,박미은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과학연구 Vol.20 No.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복지의 관심은 관련 정치적 이슈나 국제관계적 이슈 보다는 다양한 사회적 맥락과 관계 속에서 이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통합될 수 있는지에 초점이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글은 일차적으로 기존의 관련 연구들을 참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는 다양한 생활문제 가운데 남한 사회로의 적응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들을 인간의 기본적인 복지욕구와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남한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여러 측면에서 복지욕구의 좌절을 경험한다. 즉 이들이 평소 경험하는 자신에 대한 정체성 혼란은 생존의 필수적인 욕구인 존재감의 욕구를 억압하게 되고, 주변의 편견과 부정적인 반응에 기인한 자신에 대한 이미지 혼란도 내면의 자존감 욕구를 좌절시킨다. 같은 동포이지만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열등하게 처우 받는 상황은 남한 사회에 뿌리 내리고 싶은 소속감의 욕구를 방해한다. 그리고 새로운 환경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생활상의 스트레스는 정서적 안정의 욕구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특히 생사의 고비를 뛰어넘는 탈북과정과 낯선 남한사회에서의 적응 기간에 나타나는 심리적 충격과 외상은 우리 사회에서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하는데 커다란 걸림돌이 된다. 그 밖에 이산의 아픔과 대인적 갈등으로 인한 취약한 가족관계는 친밀한 관계욕구의 상실로 이어지며, 자본주의 사회에서 구직과 취업의 어려움은 생계와 생활안정의 욕구를 위협한다. 따라서 향후 이들을 위한 지원방안은 이러한 복지욕구를 충분히 고려하여 접근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사회복지를 비롯한 다양한 지원주체들이 이들의 불안정한 정체성과 취약한 존재감을 재확립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소속과 안정, 그리고 관계 및 참여의 욕구를 충분히 다루어주어야 한다. 부정적인 인식과 편견을 뛰어 넘어 이들의 장점과 가능성을 적극 열어주고, 사회적 자원으로서 우리 사회에 생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성숙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꾸준히 격려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는 사회복지를 비롯한 다양한 민간단체들이 정부와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사회적 책임을 분담하려는 노력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Concern of social service for North Korean defectors is basically related to their daily adaptation and 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als with the social service need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policies to support them. North Korean defectors are severely suffering from such adjusting problems as confusion of self identity and image, maltreatment as a minority group, traumatic experience, low employment, daily life stress, family conflicts, loneliness, anxiety, hopelessness. These difficulties distort their basic needs for resettlement in a totally different environment. In order to meet the frustrated needs of North Korean defectors, we should begin with an effort to understand and empathize their deep trauma and survival drive. More specifically, needs-based alternatives should be widely explored to work out the above problems and to help them successfully adapt to our society.

      • 장애인 고용증진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발전 방향

        박경순,김철희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사회과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외국의 사회적기업의 환경과 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장애인 고용 사회적기업에 요구되는 시사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장애인 고용 증진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발전 방향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이 요구됨을 도출하였다. 장애인 의무고용 비율을 명시화, 정부지원방식의 다양화, 사회적기업 담당을 위한 업무부처의 통합적 노력, 사업영역의 다양화 및 틈새시장의 발굴, 다양한 주체간의 네트워크 형성, 일반 고용시장으로의 전직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마련, 장애 유형 및 정도에 따른 과학적 직무 설계와 배치, 사회적기업의 홍보 확대 및 사회적기업에 관한 가치의 공유 등이다.

      • 북한이탈주민의 복지욕구와 지원방안

        오영훈(Young-Hun Oh),박미은(Mi-Eun Park)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사회과학연구 Vol.20 No.1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복지의 관심은 관련 정치적 이슈나 국제관계적 이슈 보다는 다양한 사회적 맥락과 관계 속에서 이들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통합될 수 있는지에 초점이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글은 일차적으로 기존의 관련 연구들을 참조하여,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는 다양한 생활문제 가운데 남한 사회로의 적응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들을 인간의 기본적인 복지욕구와 연관시켜 살펴보았다. 남한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여러 측면에서 복지욕구의 좌절을 경험한다. 즉 이들이 평소 경험하는 자신에 대한 정체성 혼란은 생존의 필수적인 욕구인 존재감의 욕구를 억압하게 되고, 주변의 편견과 부정적인 반응에 기인한 자신에 대한 이미지 혼란도 내면의 자존감 욕구를 좌절시킨다. 같은 동포이지만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열등하게 처우 받는 상황은 남한 사회에 뿌리 내리고 싶은 소속감의 욕구를 방해한다. 그리고 새로운 환경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생활상의 스트레스는 정서적 안정의 욕구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특히 생사의 고비를 뛰어 넘는 탈북과정과 낯선 남한사회에서의 적응 기간에 나타나는 심리적 충격과 외상은 우리 사회에서 건강한 시민으로 성장하는데 커다란 걸림돌이 된다. 그 밖에 이산의 아픔과 대인적 갈등으로 인한 취약한 가족관계는 친밀한 관계욕구의 상실로 이어지며, 자본주의 사회에서 구직과 취업의 어려움은 생계와 생활안정의 욕구를 위협한다. 따라서 향후 이들을 위한 지원방안은 이러한 복지욕구를 충분히 고려하여 접근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사회복지를 비롯한 다양한 지원주체들이 이들의 불안정한 정체성과 취약한 존재감을 재확립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소속과 안정, 그리고 관계 및 참여의 욕구를 충분히 다루어주어야 한다. 부정적인 인식과 편견을 뛰어 넘어 이들의 장점과 가능성을 적극 열어주고, 사회적 자원으로서 우리 사회에 생산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성숙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꾸준히 격려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는 사회복지를 비롯한 다양한 민간단체들이 정부와 파트너십을 형성하여 사회적 책임을 분담하려는 노력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Concern of social service for North Korean defectors is basically related to their daily adaptation and 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deals with the social service need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policies to support them. North Korean defectors are severely suffering from such adjusting problems as confusion of self identity and image, maltreatment as a minority group, traumatic experience, low employment, daily life stress, family conflicts, loneliness, anxiety, hopelessness. These difficulties distort their basic needs for resettlement in a totally different environment. In order to meet the frustrated needs of North Korean defectors, we should begin with an effort to understand and empathize their deep trauma and survival drive. More specifically, needs-based alternatives should be widely explored to work out the above problems and to help them successfully adapt to our society.

      •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기업에 관한 사례 연구

        김옥희 ( Ok Hee Kim ),배세웅 ( Se Woong Bae )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사회과학연구 Vol.24 No.-

        본 연구에서는 이탈리아, 일본과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 관련 법률을 살펴보고, 관련된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기업의 사례 연구를 각각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에서의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먼저, 관련 이론검토와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연구모형에 따른 이탈리아, 일본과 한국의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기업에 관한 사례 연구를 위하여 법률을 비교연구하고, 각국의 사회적기업 사례를 조사연구하였다. 사회적기업 관련 법률에서는 법의목적, 주요 내용, 적용대상과 적용범위, 재정, 세제혜택과 이익금 분배로 구분하였다. 또한 단순하게 국가 간 연구를 할 경우, 추상적인 논의로 전개될 위험이 있어 개별 기업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여 설립배경, 조직구조, 재정, 사업내용, 행정상 관계를 살펴보았다. 사회서비스제공형 사회적기업과 관련된 법제의 비교분석 및 사례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탈리아와 일본의 경우 첫째, 사회적기업에 대한 법률 통제를 완화하여 사회적기업, 특히 사회서비스형 사회적기업 설립을 자유롭게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목적의 실현, 사회적 기업가로서의 경영자세의 확립, 셋째, 정부 재정지원과 위탁사업비 지원 외에도 조합원의 자발적 출자 및 민간금융기관의 지원이 확대되어 있다. 넷째,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접점이 모색되고 있다. 다섯째, 사회적 기업 부문별 연대한 컨소시엄 조직이 활성화되어 있다. 이탈리아, 일본과 우리 나라의 사회적기업 법률을 비교 검토하고 각각 사례분석을 한 후, 이것을 기반으로 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육성법에서 사회서비스의 범위를 확대 개정하여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기업을 확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기업육성법을 개정하여 사회서비스제공형 사회적기업을 법적으로 지원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적협동조합기본법의 시행을 통해 제3섹터에서의 경제활동이 활성화되어 한국의 토양에 맞는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기업 모델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넷째, 사회적기업 인증기준의 완화 및 인증 등급제를 실시하여 사회적기업의 다양성, 혁신성과 자생력 확보에 이바지할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강점과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 기업의 혁신성을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사회적협동조합기본법의 시행과 함께 자생적 커뮤니티 비즈니스(community business)로의 이행이 요구되어진다. 여섯째, 사회적기업에 대한 다양한 민간 재정지원 체계를 개발하여 강화해야 한다. 일곱째, 운영주체의 조직 강화를 통해 이탈리아의 컨소시엄처럼 자생력을 갖춘 사회적기업 조직을 개발해나갈 필요성이 있다. 여덟째, 사회적기업가의 정신을 향상시키고, 양성을 위한 체계적 지원책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아홉째, 사회적 경제와 제3섹터 기반을 확충하여 복지서비스화를 사회(복지)서비스로 재구성하는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aws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in Italy, Japan and Korea, to draw the implication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social enterprises providing social services and to suggest the political proposal for the vitalization and expansion of social enterprises providing social services. After research model is establish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the related theories and the precedent researches in this study, the law and concrete cases are investigated and studied in order to the case study on the social enterprises providing the social services in Italy, Japan and Korea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In the result of examining the law related to the social enterprises in Italy, Japan, Korea, the law for social enterprise providing social services has not been organized independently, but it could be known that there were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social enterprises providing social services. In case of Italy, the cooperatives have been developed strategically divided the type of A into the type of B through social cooperatives act in 1991. Through this, the social enterpris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the connec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target at the general profits of community and the social combination of citizens. The type of A out of two types is accounted the social enterprise providing typical social services. According to the social cooperatives act, at least 30% of all members consists of neglected groups as a target of combination in case of the type of B cooperative, but there is no constraint condition about the type of A cooperative (providing social services). In 2006, through the social enterprises act the various economic activity from the sector 3 was promo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social enterprises act as the general law. According as the open system which the enterprises could register as the social enterprises was taken when qualified for regular qualifying conditions, the organization qualified for regular conditions could be a social enterprise. Moreover, more extensive business than social cooperatives act regulated the social utility target at the social enterprises. The government of Italy supports finance comprehensively and actively to social cooperatives, and imposes to invest into social cooperatives. The majority areas or counties try to secure finance of nonprofit organizations like social enterprises, and each county issues regulations, makes an agreement and supports management, educational training and finances for social cooperatives. The type of A social cooperative depends on the public finances through most contracts and donations. Because it mostly provides social services and education, it depends on the public finances which government allocates to social enterprises. On the other hand, the type of B social cooperative depends on finance which transacts with private sector of selling products and services in market. The distribution within 80% of all profits is possible in social cooperatives act. In Japan, while there is no independent social enterprises act, the activity of social enterprises is applied by NPO(non-profit organization) act. The support of social enterprises comes to one of supports for NPO. NPO act regulated in 1998 was changed into public service corporation bound by civil law regulated in 1896, and promoted the development as supporting institutionally civil society as civil activity organization could acquire corporate personality easily without the discretion of competent authorities or the scale of organization. By regulating NPO act, the citizen-leading non-profit public services were first organized institutionally, the public interest was strengthen more and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of civil society could be easier. It provides NPO with tax benefits and so on by assigning corporate personality through NPO act. As NPO act revised in 2008 (act 503, May 25, 2011) was revised as separating specified NPO act in the chapter 2 of law with qualified NPO act in the chapter 3 of law, it is known to be differences between two NPOs in their supported contents and ranges. NPO system, the enactment, of Japan could be presented as a model to secure institutionally the independence and the autonomy of the organization of the sector 3.

      • 대전시 사회적기업 육성전략 모색

        정선기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과학연구 Vol.20 No.2

        사회적기업 육성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은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촉진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이 자생할 수 있는 '생태계'가 충분히 구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부가 단기적인 재원투입방식으로 접근할 경우 지속가능한 성장을 담보하기 어렵다.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책적으로 첫째, 체계적인 지원을 위한 제도와 시스템을 구축하고, 거버넌스 네트워크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특화형 사회적기업을 발굴하여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원정책을 펼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단순히 취약계층의 일자리창출이라는 복지 서비스 측면에서 지원하기보다는 ‘고용없는 성장’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지역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안으로 받아즐일 필요가 있다. The government's active support and attention to nourish social enterprises could act as a significant catalyst for the creation of jobs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regional economy. But even so, committing short-term resources in this case without the proper establishment of the eco-system of social enterprises may not secure its sustainable development. In order to ensure the sustainable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first, a policy or network for a systematic support must be established, along with the management of a 'Governance Network.' Second, a regionally specialized social enterprise must be excavated and supported through a long-term method that assures its sustainability. Third, an in-depth research of regional social enterprises must be conducted. In addition, instead of funding under the name of job creation for the lower-classes, 'jobless growth' must be attended to, and considered as the fundamental solution for a sustainable regional economy.

      • 사회적 갈등 이슈를 다루는 뉴스 프레임에 관한 고찰

        유영돈 ( Young Don Yoo )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연구 Vol.23 No.-

        뉴스 보도의 프레임과 예시는 저널리스트가 자주 사용된 현실을 재구성하는 기법으로 수용자의 이슈 지각과 사태에 대한 판단, 그리고 사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뉴스가 각 언론사들이 가진 현실을 바라보는 경험적인 틀에 따라서 현실을 재구성한다는데 있다. 언론사가 객관적 보도를 추구하고 노략한다고 해도 객관성 자체의 허구성을 생각해보면 뉴스는 현실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언론은 공중에게 자신이 속한 사회, 그리고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현상을 규정지음으로써 공중에게 간접적인 경험과 이해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언론은 사회적 갈등이슈에 대해서는 정보와 지식을 전달할 뿐 아니라 특정 관점을 전달함으로써 수용자가 의제를 해석하고 이해하는 방식에서 나아가 정부가 정책 의제를 채택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면에서 언론이 사회적 갈등이슈를 어떤 틀로 다루느냐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갈등 연구에서 프레임 분석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갈등 사례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프레임 연구 논문들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회적 갈등 연구에서 프레임 접근법을 확대하는데 필요한 주요 고민들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News frame and exemplification are the techniques made by journalists to influence on perceptions of audiences, judgments of the situation, and attitudes of reported issues. The basic premise of this study is to recompose the reality in line with an empirical frame that news see the reality of each press company. The press transfers not only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social conflicts but also specific viewpoints so that the press can first make accepters reinterpret and understand it and furthermore have influences on the cource of the government to adopt and execute political agendas. In this aspect,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what frames the press handle social conflicts with. This paper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frame analysis in the field of policy conflict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For this, it reviewed all the conflict studies that applied frame approach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we tackled several important issu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frame analysis in the study of social conflict.

      • 사회적 자본의 정책적 의미

        정선기 ( Seon Gee Jeoung )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사회자본 개념이 의미하는 바를 명확히 함으로써, 그것이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 그 효과적인 육성을 통해서 지역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우선, 사회자본은 연구자의 관심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어 상이한 방식으로 다루어져 왔으나 그것이 지역발전을 위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 사회자본은 공동체의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정치적 안정을 도와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며 공동체의 사회참여를 증대시켜 시민사회와 민주주의를 강화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자본의 축적이 자동적으로 지역발전에 기여할 것이라는 단선적인 사고로부터 벗어난 좀 더 신중한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 지나친 유대는 개인의 자유를 제약하고, 다른 사람이 자원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그로부터 배제된 개인의 관점에서 볼 때 불평등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사회자본에 대한 정책적 접근은 그 부정적인 요소를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요소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것은 지역민의 이해적 소통을 확대하고, 신뢰와 참여를 강화하여, 거버넌스를 통한 정책비용 감소와 지역민의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이어야 한다. The following research, by clarifying the meaning of social capital, explores its potential and limits in contributing to the local community, as well as seeking ways to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its effective provision. Despite social capital being defined and hand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interests, many agree in it being a valuable resource for regional development. Social capital strengthens the governance of the community, as well as reinforcing a civil society and democracy by aiding in political stability, revitalizing regional economy, and increasing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one must think outside the unilinear idea that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will automatically contribute to local development, and take a much cautious political approach. An excessive bond will limit personal freedom and prevent others from accessing resources, thereby acting as an element of inequality for the excluded individual. Because of this, the policy implications of social capital must take a route that minimizes its weaknesses and maximizes its strengths. It`s a route that must extend communication between local residents, promote trust and participation, reduce the cost of policy through governance, and improve the residents`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