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혐기성소화의 물질분해 및 메탄생성에 대한 CO2 분압의 영향

        이국의,김영철,서명교 한국환경보건학회 2000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26 No.2

        Effects of carbon dioxide partial pressure(PCO2) on bacterial population, methane production rate and matter degradation in anaerobic digestion were investigated by using anaerobic chemostat type reactors at 35 1 , at the HRT of 7 days. At PCO2 of 0.5 atm, the specific methane production rate and specific substrate removal rate reached the maximum rates. The methane production rates in the reactors fed by mixed substrate were 26% higher than those obtained under the controlled condition. The number of acetate consuming methanogenic bacteria enumerated by the MPN(most probable number) method, decreased when PCO2 exceeded 0.7 atm. Hydrogen consuming methanogenic bacteria and homoacetogenic bacteria increased as PCO2 increased from 0.1 to 0.6 atm, however, decreased slightly at PCO2 above 0.7 atm. The number of hydrolytic bacteria, sulfate-reducing bacteria and H2-producing acetogenic bacterial were not much influenced by the change of PCO2. The potential methanogenic activity reached the maximum at PCO2 0.5 atm, however,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PCO2 exceeded 0.7 atm, would depend on free PCO2 concentration in solution

      • KCI등재
      • 동아시아 문학 속의 ‘桃花源’

        이국화(李菊華)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6 동아한학연구 Vol.- No.11

        陶淵明의 桃花源은 한문학을 공유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서양의 유토피아와 대적할 수 있는 이미지를 거론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르는 형상 중의 하나이다. 근대 도화원의 관한 연구에서 도화원은 흔히 근대관념인 유토피아, 이상향, 낙원 등의 개념으로 대치되기도 하고, 동아시아 고전 한문학에서는 沃野, 勝地,福地, 洞天, 樂土, 福山, 仙境 등의 용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만큼 1600년 전 도연명이 그렸던 도화원은 인간이 추구하고 있는 보편적 가치를 내포하고, 이 내포된 보편적 가치는 시간의 흐름과 지역의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문학 속에서 계승 및 전파를 통해 동아시아인의 인식 속에 이상적인 공간 형상으로 자리잡아왔다. 그러나 도연명이 도화원을 통해 추구했던 보편적 가치란 과연 동아시아 고전문학이나 근대의 도화원 연구에서 흔히 거론된 仙境이나 정치적 제도를 통해 건설돼 이상세계-유토피아의 형상과 일치한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고는 먼저 도화원 이후의 중국문학작품과 도화원에 관한 토론을 神仙說, 紀實說, 寓意說로 나눠 도화원의 형상이 어떠한 재해석의 경로를 통해 선경에서 유토피아로 遞變되어 왔는지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이 체변의 과정에서 필자는 도화원의 계보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 다음으로 도화원이 중국문학사에서 유기적인 재해석의 사슬을 이룰 수 있었던 건 도화원 본문이 神仙, 紀實, 寓意의 요소들을 지니고 있기에 派生, 歧出, 追認 등의 재해석 현상이 가능하였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고는 문학 작품의 기능적 역할에 착안하여 도연명에 의해 기호화된 意象群, 典故적 의미와 神話적 스토리의 출처를 먼저 밝히고, 그가 신화와 전고의 재편성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 심미적 효과와 보편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image of The Peach Blossom Land of Taoyuanming is one of the major counterparts of the western utopia. It has been regarded as the contraposition of utopia or paradise, while it was described with the terms like 沃野, 勝地, 福地, 洞天, 樂土, 福山, 仙境 in Eastern Asian classical literary tradition, which shows Taoyuanming"s fantastic imagination has universal value for times and spaces and thus has been succeeded through literature as the ideal image of paradise among Eastern Asians. Still, we have to question whether the universal value of The Peach Blossom Land really corresponds to the image of fairyland or political sense of utopia. To find the answer, this thesis categorizes classical literary works and arguments about the theme into three categories - debate on immortal hermit (神仙說), records (紀實說) and allegory (寓意說) - to establish the genealogy of the peach blossom land changing from fairyland to utopia. The reason why the Taoyuanming"s work produces constant and various explanationsin Chinese literary sphere is that its writing style itself has characteristics of 神仙, 紀實, 寓意 which raise derivatives, variation and ratification. To find out aesthetic effects and universal value of the work achieved by reconstructing myths and old stories, the thesis searches iconic images created by Taoyuanming and its sources i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role of literary work.

      • KCI등재

        국가인권위원회 10년의 평가와 전망 : 헌법정치학의 관점에서

        이국 한국헌법학회 2012 憲法學硏究 Vol.18 No.2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n evaluation on the achievement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for its first ten years since 2002. The author’s approach is to take a viewpoint of human rights politics. He recognizes that liberal democracy includes several tendencies of human rights politics such as passive, active, and reactive human rights politics. There was a civic movement to establish a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in Korean society from 1993. The author sees this a integrative human rights politics between passive and active wings, which aimed to overcome the reactive human rights politics that had governed Korean society after 1960s.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ct after 1998, the mainstream of human rights politics in Korea has been divided into passive and active groups. It wa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former that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was actually established in 2002. However, under the latter's control,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has experienced the widest and most powerful political influence between the years 2005-2007. After the launching of the LEE Myung-Bak's government in 2008,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was faced with great challenges mainly from the political majorities who governed the legislative and executive branches. The author tries to understand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human rights politics in Korea in the perspective of reactive human rights politics. 이 글의 목적은 헌법정치학의 관점에서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의 10년 활동을 평가하고 그 연장선에서 향후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자유민주주의 헌법정치의 구도 속에서 인권 정치는 자유주의적 에토스를 수호하려는 수동적 인권 정치와 인권을 민주주의의 토대로 삼으려는 능동적 인권 정치로 분화되며, 그 과정에서 정치적 다수의 힘으로 인권 정치에 맞서려는 반동적 인권 정치를 배태하기도 한다. 이 글은 1993년에 시작된 인권위의 설립 운동이 당시까지 한국 사회를 관류하던 반동적 인권 정치에 대한 극복을 목표로 한 본격적인 인권 정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이후 인권위법의 입법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동적 인권 정치와 능동적 인권 정치의 분화가 발생했고, 전자의 주도 아래 2002년 인권위가 출범했다. 지난 10년 동안 인권위의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는 능동적 인권 정치의 주창자들이 인권위를 주도했던 2005-2007년의 기간이다. 정치적 다수의 힘으로 반동적 인권 정치가 재현된 2008년 이후의 이명박 정부 하에서 한국 사회의 인권 정치는 인권위의 안팎으로 양분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인권 정치의 성숙을 위해서는 하루바삐 인권위를 중심으로 수동적 인권 정치와 능동적 인권 정치가 선순환하는 구조를 만들어져야 한다.

      • 폐자원을 재활용한 일체형 경량 콘크리트 태양광패널 제작에 관한 기초적 연구반복

        이국재 ( Lee Kook-jae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2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1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re based on the use of fossil fuels. However, the use of fossil fuels is increasing the greenhouse gas, the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and global warming is an extreme climate anomaly that is rapidly increasing human and material damage. Therefore, efforts are being made worldwide to return greenhouse gases to pre-industrial levels. In Korea, 2050 carbon neutrality has been set as a major policy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curb carbon emissions in the overall industry. Carbon emission suppression is based on the minimization of fossil fuel use,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underway on building a zero-emission house that minimizes the energy used in buildings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as part of the zero-emissions water system construction, waste resources generated at industrial sites were utilized and an integrated lightweight concrete solar panel grafted with a concrete lightweight panel and solar panel was manufactured and the possibility of its use was evalu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