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당굿에 나타난 고혼 위무의 보편성과 특징 -수륙재․감로탱․여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경엽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0 No.-

        The pacification of the lonely spirit or revengeful spirit is an old tradition of shamanism. There are related rituals that are transmitted in various manners nationwide. On the other hand, the pacification of lonely spirits is not only a shamanistic act but also the subject of Suryukjae. In addition, in nectar ritual paintings, there is a form of lonely spirits, and it was the main subject of Yeoje which was the national ancestral rites in the Joseon Dynasty. In consideration of such circumstances, the similarity in the form of lonely spirits in mudang gut, Suryukjae, nectar ritual painting, and Yeoje has been review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ill be been examined through the method of formalizing lonely spirits in mudang gut. From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univers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cifying lonely spirits in mudang gut will be understood. Mudang gut, Suryukjae, nectar ritual painting, and Yeoje are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which share a lot in common. From this, the tradition of soothing lonely spirits are not from a specific religion or faith, but it is a universality of the Eastern religious traditions. However, the social function each performs is different so the categories and the types of lonely spirits they objectify differ. In the case of Yeoje, the category of lonely spirits is restricted relatively. Mudang gut, Suryukjae, and nectar religious painting have a lot in common. Of particular, they share ‘everyday life․occupation’ of lonely spirits, which is not included in Yeoje. The fact that kings and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ppear in Suryukjae and nectar religious painting is related to the Joseon Dynasty and it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faith of Suryukjae which aspires the egalitarianism that accepts high and low and the rich and poor alike. According to the religious tra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rmalization of lonely spirits and the soothing. In Suryukjae, it is summoned as lonely spirits of egalitarianism, and in nectar religious painting, it is pictorially depicted, while in Yeoje, it is called upon as the aid object of the ruler. In mudang gut, there are calling style and reenacting style, of which the latter is of particular interest. In mudang gut, lonely spirits appear as the main character of each episode. In the drama reenacted by a shaman, the spirits talk about their misfortune and they undergo the process of objectification. The ‘self-uttering’ is similar to the contemporary art therapy, which calls for interest. As such, in mudang gut, the position of lonely spirits are histrionically reenacted and formalized in multi-dimension. It is the characteristic of pacifying lonely spirits in mudang gut. 고혼 또는 원혼을 위로하고 달래는 것은 한국 무속의 오래된 전통이다. 전국적으로 관련 의례들이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한편 고혼 위무는 무속만이 아니라 불교 수륙재의 주제이기도 하다. 더불어 감로탱화에도 고혼 형상이 등장하며, 조선시대 국가제사였던 여제의 주된 대상이기도 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무당굿과 수륙재․감로탱․여제에 나오는 고혼의 유사성을 검토하고, 무당굿에 나타난 고혼 형상화 방식의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무당굿에 나타난 원혼 위무의 보편성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무당굿, 수륙재․감로탱화, 여제는 서로 다른 종교 전통인데도 전체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많다. 이것으로 본다면 원혼 위무의 전통은 특정 종교나 신앙이 아닌, 동양 종교 전통이 지닌 보편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이 수행하는 사회적 기능이 다르므로 대상화하는 고혼들의 종류가 같지 않다. 여제의 경우 고혼의 범주가 상대적으로 제한돼 있다. 무당굿과 수륙재․감로탱화는 일치하는 항목이 많은 편인데 특히 여제에 없는 ‘일상․생업’의 고혼들에서 유사성이 있다. 그리고 수륙재․감로탱화에 왕이나 문무관료 등이 등장하는 것은 조선시대 자료라는 점과 관련이 있고, 귀천․빈부를 망라한 무차평등회를 지향하는 수륙재의 이념이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비교 대상에 따라 고혼의 형상화와 그 위무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수륙재에서는 무차평등회의 고혼으로 소청(召請)되며, 감로탱화에서는 구체적인 행색이 회화적으로 묘사되며, 여제에서는 통치자의 구휼 대상으로 호명된다. 무당굿은 이름 나열식과 연극적으로 재현하는 방식이 있는데 특히 후자가 특징적이다. 무당굿에서 고혼들은 각 에피소드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무당이 재현한 연극 속에서 잡귀잡신들은 스스로 불우한 처지를 말하고 객관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에서 보이는 ‘스스로 말하기’는 요즘 자주 거론되는 예술치유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이처럼 무당굿에서는 고혼들의 처지를 연극적으로 재현하고 입체적으로 형상화한다. 무당굿에 나타난 고혼 위무 방식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미황사 군고패에 대한 공동체의 기억과 그 재현양상

        이경엽 비교민속학회 2019 비교민속학 Vol.0 No.68

        기억과 기억의 재현은 민속 전승의 큰 흐름과 맥락을 보여준다. 민속문화는 공동체가 기억을 공유하고 그 기억을 해석 또는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지속되고 새로워진다. 전남 남해안에는 19세기 후반에 섬지역에 걸립을 다니다가 수몰되었다는 미황사 군고패 이야기가 폭넓게 전한다. 절걸립패 활동이 남해안 농악 전승의 주요 배경이라는 점에서 미황사 군고패에 대한 기억과 그 해석 과정을 각별하게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황사 군고패에 대한 기억과 기억의 재현 방식은 다층적이다. 설화로만 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마을 공동체의 제의 속에 수용돼 있고, 매년 수행되는 풍물 연행을 통해 의례적으로 재현되고 있다. 연례적인 마을축제를 통해 사회적 기억이 지속되고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해남 군고보존회의 실천적인 활동에서는 재해석과 기획 과정이 부각된다. 이 사례는 수행 주체의 기획 속에서 민속 전승의 좌표가 입체적으로 재구성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실천 속에서 지평이 확장되거나 다양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색다른 의미가 있다. Memory and reinterpretation of memory display a large flow and context of folklore transmission. Folk culture is continued and renewed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memories in a community and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reinterpreting memories. In the southern part of Jeonnam, there is a widespread story of Mihwangsa Gungopae who were drowned while they were performing gullip in the island regions in the last 19th century. The fact that temple gullip troupe is the main background of nongak transmission of the southern coast necessitates a special attention to the memory of Mihwangsa Gungopae and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The memory about Mihwangsa Gungopae and the methods of reviving the memory are multi-layered. Mihwangsa Gungopae is not just transmitted as a tale, but it is accepted in the ritual of village community, and it is ritually revived through nongak performance annually. The memory is continued and expanded through the annual performance. In addition, in the practical activity of Haenam Gungo preservation society, the process of reinterpretation and planning stands out. This case show how the coordinate of folklore transmission is reconstructed in multi-dimension in the interpretation and planning of the performing agents. It also shows folklore performance is not only repeatedly performed in a simple manner, but also it can be expanded or differentiat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nd reinterpreting the memory, allowing it to create and diversify.

      • KCI등재
      • KCI등재

        영무장의 세습무계와 무계 예인들의 활동

        이경엽 남도민속학회 2015 남도민속연구 Vol.30 No.-

        Youngmujang is the name of region that includes Youngkwang, Gochang (Mujang), and Jangsung. This article focused on the hereditary shamans who have transmitted gut and arts for generations and the activities of such artists. Shaman artists have maintained and expanded artistic tradition based on social network which is connected lengthwise and breadthwise. Especially, Gulgung activity led by shaman artists has become the characteristic transmission foundation for the local nongak. Centering on the cases of two representative artists, their activities have been closely examined. Both domestic and foreign activities are important;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art, linked accomplishments tend to stand out. Kim, Hakjun is a famous artist who showed vigorous activity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region. He systemized Suljanggu which is counted as one of the greatest accomplishments in the history of modern nongak and transmitted it to the next generation, and contributed to maintaining the fame of Bupsungpo Danoje as an artistic festival. Jeon, Kyunghwan is a person who applied his domestic and foreign experiences into gut music in a creative manner and enriched the local art. There needs to be a foundation where such traditions can be newly evaluated and creatively transmitted. 영무장은 영광, 고창(무장), 장성을 포괄하는 문화권 단위의 지역명이다. 이 지역에서 대대로 굿과 예술을 전승해온 세습무계와 예인들의 활동상을 주목했다. 무계 예인들은 종과 횡으로 연결돼 있는 사회적 연망을 토대로 예술 전통을 유지하고 확산시켜왔다. 무당굿과 걸궁을 통해 그 내력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무계 예인들이 주도하던 걸궁 활동이 이 지역 농악의 특징적인 전승배경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인 예인 두 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내외 활동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대내외 활동은 두 가지 모두 중요하지만 지역예술론의 관점에서 보면 연계적인 성과가 돋보이기 마련이다. 김학준은 외부 활동을 많이 한 유명 예인이면서 권역 내 구심점 역할을 했던 인물이다. 그는 근대 농악의 역사에서 가장 큰 성과로 꼽히는 설장구를 체계화하고 후대에 전수했으며, 법성포단오제가 예능축제로서의 명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전경환은 종합예능인의 면모를 보여주며 대외 활동 경험을 굿음악에 창조적으로 적용하고 지역 예술을 풍부하게 했던 인물이다. 이런 전통을 새롭게 평가하고 창조적으로 계승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세습 예인들의 대외 활동과 예술 지평의 확대-진도 박씨 가계를 중심으로-

        이경엽 남도민속학회 2019 남도민속연구 Vol.38 No.-

        Inherited shaman had been the cradle and the path to produce artists continually. Throughout the middle of 20th century, shaman families have been dissolved, but the activities of danggol families are traditions that survived through generations. Inherited artists not only worked within the region, but also did external activities in an active manner and achieved artistic accomplishment. The Parks of Jindo, the main interest of this article, have produced splendid artists throughout generations, and his descendents have drawn the attention because they are still performing actively. Among them, Park, Jonggi, known to be the founder of Daegumsanjo is especially famous, and Park, Byungcheon, a master of Jindo sitgimgut is well-known, too. Their importance was found in the fact there have been active studies about their presence such as “Park, Jonggi’s critical biograpphy’ and ‘The reconstruction study of Park’s genealogy’. However, the existing study have given too much attention to the artistic accomplishment of the artists that less attention was paid to the contextual issues surrounding them. Inherited artists are very keen to the social appraisal. Those from shaman families were disdained so much that they strenuously searched for the artistic path in order to overcome their social position. The external activities of artists which oriented from their endeavor provided the opportunity to expand the artistic horizon and achieve individual accomplishments. This fact begs for at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accomplishments of external activities do flow into the region. In such a process, there comes a change in the transmission of gut in the region.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are intertwined that they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gether. The fact that the evaluation about Inherited artists is complex asks for discretion. Those who are directly involved or the descendents speak out how they were mistreated under the guise of receiving good treatment. This fact needs to be examined. This article will focus mainly on Park, Jonggi and Park, Byungcheon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activities of inherited artists and the internal activities, and contemplate on the duality of social awareness toward inherited artists. 세습무계는 예술가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산실이자 통로였다. 20세기 중후반을 지나면서 무계가 급속하게 해체되었지만 당골 가계의 활동은 대를 이어 계속되던 전통이었다. 이 글에서 주목하는 진도 박씨 가계의 경우 대를 이어서 출중한 예인들이 거듭 배출되고 그 후예들이 현재진행형의 활동을 하고 있어서 일찍부터 관심을 끌었다. 그중에서 대금산조 창시자로 알려진 박종기가 특히 유명하고 진도씻김굿 명인인 박병천도 널리 이름을 날렸다. 선행 연구에서는 예인들의 예술적 성과를 해명하는 데 집중하느라 그것을 둘러싼 맥락적인 문제와 이면의 상황들을 제대로 다루지 못했다. 그 부분을 새롭게 탐구할 필요가 있다. 세습 예인들은 누구보다도 사회적 평가에 민감한 편이다. 무계 출신들은 사회적으로 극심한 천대를 받았기 때문에 그것을 벗어나기 위해 예술 분야의 길을 치열하게 모색했다.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예인들의 대외 활동은 예술 지평을 확대하고 개성적인 성과를 일구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대내외 활동이 연동돼 있으므로 아울러 다룰 필요가 있다. 대외 활동의 성과가 다시 지역으로 유입되는 현상도 일어난다. 그 과정에서 현지의 굿 전승에 변화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세습 예인들에 대한 평가가 복합적이라는 것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당사자나 후예들은 환대의 이면에 자리한 천대의 시선에 시달렸다고 토로한다. 이런 점을 아울러 살필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박종기․박병천을 중심으로 세습 예인들의 대외 활동과 대내 활동의 상관성에 대해 살펴보고, 세습 예인을 대하는 사회적 인식의 이중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레이저 제모술 후 발생한 편평사마귀 치험 2례

        이경엽,이은,조내경,Lee, Kyoung-Yeob,Lee, Eun,Cho, Nae-Kyoung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15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28 No.2

        Purpose : To observe effects of TKM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2 patients who had verruca plana after having laser epilation of leg hair. Methods : We did retrospective chart review for 2 verucca plana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by TKM. TKM treatment included herbal treatment, herbal acupuncture and herbal ointment. Results : After TKM treatment, the patients' verucca plana remarkably disappeared and there was no recurrence.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 that TKM may be an effective treatment for verucca plana.

      • KCI등재후보

        여수 진남제의 축제적 기반과 해양축제적 방향

        이경엽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6 호남학 Vol.0 No.39

        We retraced the foundation of provincial festival at Jinnamje and attempted to discover new possibilities. Also, directivity and tasks for marine festival have been examined to predict the future of Jinnamje. In order to lay a firm foundation of provincial festival in Jinnamje, the 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ulture and the reproduction of performers is needed. For this, first, the construction of data base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performance contents are required. Second, the local culture in the level of town and village is needed to be rearranged and activated. Third, the reproduction of performers is needed. The prospects of Jinanmje can be concretized through marine festival. There is a task needed to be promoted to embody the directivity of marine festival in Jinnamje. First, it is necessary to accept and take lead in the flow in the national interpretation on Admiral Lee, Soon Shin and the culture of defending one's nation. Second, the public interests in the “Turtle Ship” and its symbolism must be actively accepted and connected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festival. Third, contents for marine festival needed to be developed and diversified. The festival contents must be constructed in a way that will actualize the meaning of marine festival and maintain the uniqueness of the marine festival. 진남제의 향토축제적 기반을 되짚어보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그리고 진남제의 미래를 전망하기 위해 해양축제적 지향과 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진남제의 향토축제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는 문화의 세대적 계승과 참여 주체의 재생산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첫째, 자료은행 구축과 공연 켄텐츠의 상품화가 필요하다. 둘째, 읍면 마을 단위의 지역문화를 새롭게 정리하고 활성화시켜야 한다. 셋째, 참여 주체의 재생산이 이루어져야 한다.진남제의 가능성은 해양축제를 통해 구체화될 수 있다. 진남제의 해양축제적 지향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새롭게 추진해야할 과제가 있다. 첫째, 호국문화이순신에 대한 시대적 해석의 흐름을 축제 속에서 수용하고 주도해야 한다. 둘째, 거북선과 그 상징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진남제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축제의 활성화와 연계시켜야 한다. 셋째, 해양축제적 콘텐츠를 개발하고 다양화해야 한다. 축제 콘텐츠는 해양문화의 의미를 구현하고 해양축제적 독창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해가야 한다.

      • KCI등재

        아틱뮤지움의 조선 다도해 조사의 성격과 논점

        이경엽 국립민속박물관 2016 민속학연구 Vol.0 No.39

        Sibusawa Geijo and Attic Museum researchers, organized by Sibusawa Geijo, conducted a study on Dadohae in 1936 and recorded their findings. Until now, only limited discussions have been made on the report(Joseon Dadohae Travel Record) and the pictures in the report. The reason for weak study is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materials and contextualized approach to it. Given the situation, there needs to be a work to read the characteristic of Dadohae study and political undertones. Attic researchers left substantial amount of pictures, videos, and materials. After examining the undisclosed materials, it is learned that they were very interested in tools and ‘things’. This may be related to the fact that Attic researchers took folk tools very seriously. They paid special attention to some things and labor and physical activities which utilized the things as a symbol of colonized Dadohae. Dadohae study is conducted by the planning of a distinguished person, Sibusawa Geijo. He was not only a researcher but also the leader of academia and a high figure in the financial world who ruled. Dadohae study was possible not only for his wealth but also the colonial network that he could use. Dadohae study was implemented by an organization which directly controlled the colony. That is another reason why Dadohae research was not an ordinary study. Sibusawa and his researcher did not specifically state the purpose of Dadohae study. That is why it seems a little distant from the colonial policy, but we can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ey focused on “healthy folklore of island females” by recalling ‘agricultural areas promotion movement’ 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is necessary to read the political undertone in Dadohae study.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we can improve the theoretical foundation and the expandability of materialogy as well as securing a new perspective on colonial folkl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