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 고설의 현대적 변용에 대한 문화론적 고찰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를 중심으로-

        은현정 ( Hyun Jung Eun ) 겨레어문학회 2009 겨레어문학 Vol.43 No.-

        본고에서는 고전소설을 현대적 공연 예술로 각색, 변용하는 과정에서 어떤 서사적 차이점와 문화적 차이점이 생기는 지를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와 <이춘풍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당놀이 <이춘풍 난봉기>가 고전 소설 <이춘풍전>의 서사를 충실하게 반영한 점은 현대적 변용의 측면에 있어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소설에서는 명확했던 풍자의 대상인 지배 계층이 각색 과정에서 웃음을 유발하기 위한 단선적 장치들로 바뀌면서 그 풍자의 애매해졌다는 문제를 낳았다. 따라서 공연에서는 해학적 웃음만을 유발하고 날카로운 풍자적 성격을 상실했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소설과 공연은 19세기 말과 현대의 달라진 부부관계를 보여준다. 소설에서는 당대 일부일처제가 성립되어 가는 과정에서 문제 많은 이춘풍을 남편으로 받아들여만 하는 당시의 문화적 현실이 드러난다. 그러나 현대공연에서는 일부일처제라는 제도에 대해 부정적인 가치들을 문화적 배경으로 가지고 있는 관객을 소도구를 이용하여 무리하게 설득하려고 하고 있다.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각색은 이렇듯 설득력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문화적 배경의 변화와 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여 고전 작품의 각색해야만 작품의 진정한 의미를 현대 독자들에게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tinguish narrative difference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Madangnori Ichunpoong Nanbongghi>, a modern adaptation of a novel <Ichunpoongjun> It has shown its advantage in that the play reflects the narratives of the novel with great fidelity. The target of satire, which was fairly clear in original novel, however, has become rather ambiguous with its adaptation to a modern play. This results in its disadvantage, having lost its keen satire and only provoking humor and laughs. The novel and the play show differed marital relations between the late 19th century and modern days. The novel depicts attitudes serving the sole man as a husband unconditional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onogamy. In modern play, however, it tries to convince spectators having a negative view on monogamy. For that reason, dramatization of classic novel into modern play should reflect the cultural differences.

      • KCI등재후보

        설화에 대한 남북한의 관점과 소통 가능성의 전망

        은현정(Eun Hyun Jung)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통일인문학 Vol.50 No.-

        이 글은 남북에 공통적으로 구전되고 있는 열(烈)설화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비교하여 학문적 접점을 검토한 것이다. 남에서는 일찍이 열설화라는 범주를 따로 설정하여 열설화 속에 가부장적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침투하고 있는가, 설화 전승자들의 경직된 열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발이 설화의 내용을 어떻게 변형시켰는가를 연구해 왔다. 이와는 반대로 북에서는 열관념과 정절 이데올로기, 유교 사상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열설화 자체의 범주가 설정되지 않았고, 지배층에 항거한 여성의 죽음을 다룬 설화들을 열(烈)관념으로 해석하지 않고 계급 투쟁 이데올로기에 접목해 해석하면서 투쟁 의식을 강조하였다. 남은 열이라는 윤리의식을 인정하지만 근본적으로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에 주목하였고, 북은 열이라는 윤리의식을 거부하지만 근본적으로 열설화를 이데올로기의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열설화에 대한 남과 북의 입장은 평행성을 그린다. 그러나 여러 설화에 대한 해석을 통해 읽어낼 수 있는 지점은 공통적이다. 유교 이데올로기와 계급 투쟁의 이데올로기를 모두 걷어냈을 때, 그 이면에 남는 것은 ‘신의와 사랑’이라는 인간의 궁극적이고 기본적인 윤리의식이라는 점에 있어 남과 북 모두가 합의점을 찾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유교적 열 이데올로기든, 지배층에 대한 투쟁 의식이든, 그 안에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편적으로 합의하고 수긍할 수 있는 인간적 신의와 사랑이 남아 있으며 열설화는 이런 의식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런 해석의 합의점을 발견하는 것은 남과 북이 학문적 영역에 있어 얼마든지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This manuscript analyze the differance between their interpretation about the 'Folktale of Yul(烈)' which have circulated by word of mouth in South and North Korea. In South, 'Folktale of Yul' had been to have own category. Researchers research how the patriarchal ideology infiltrate into this folktale and also how people transformed folktale opposition came from rigid confucianism. In contrast, Yul Folktale category was not set in North. Due to negative perceptions about idea of Yul and fidelity ideology and confucianism. Story of Woman's death in struggle against ruling has been interpreted as class struggle ideology. In this way, the researchers of the North stressed the struggle for consciousness. South researchers admit the ethics of Yul, but they basically had more attentions to the natural human emotions rather than ethics. North researchers reject the ethics of Yul, but they basically used Folktale of Yul as a tool of class struggle ideology. The view differnces of 'Folktale of Yul' run parallel in this way. But through analysis about many stories, the concept that are important is common. As giving up attachment of both confucian ideology and class struggle ideology, faith and love that is basic human ethics are left. Which they found that consensus about Folktale of Yul is should be noted. Confucian ideology or the struggle against the ruling class or whatever, We can read faith and love In this Folktale. Folktale of Yul shows this awareness. Eventually, common interpretation of this story shows communication in humanities area between South and North is possible.

      • KCI등재후보

        다섯 가지 시계그리기검사 채점법의 알쯔하이머병 선별 유용성 비교

        은현 ( Eun Hyun Seo ),박희형 ( Hee Hyung Park ),이동영 ( Dong Young Lee ),추일한 ( Il Han Choo ),이정희 ( Jung Hie Lee ),정세훈 ( Sae Hoon Chung ),윤종철 ( Jong Chul Youn ),김기웅 ( Ki Woong Kim ),주진형 ( Jin Hyung Jhoo ),김신 한국정신병리진단분류학회 2006 精神病理學 Vol.15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reliability and screening ability for Alzheimer`s disease (AD) of five scoring methods of clock drawing test(CDT). Methods: Consecutively recruited 155 probable AD patients and 155 normal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clock picture drawn by each subject was scored according to five CDT scoring methods, such as the CERAD, Rouleau, Sunderland, Mendez and Todd method.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compared by calculat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screening ability was compared by analyz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s. Results: The five scoring methods had excellent inter-rater reliability in common. In terms of the screening ability for overall AD,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scoring methods. There was also no inter-method difference in screening ability for very mild AD. In contrast, as for the screening of mild to severe AD, the CERAD method showed significantly better ability than the other four methods. Conclusions: Regardless of their complexity, CDT scoring methods appears to have similar screening ability for overall AD. In screening clinically more evident AD except very mild one, however, the CERAD methods, in spite of its simplicity, can be probably applied more usefully than other CDT scoring methods.

      • KCI등재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의 해석과 적용 : 2015 개정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은현 ( Eun Hyun Kim ),김래영 ( Rae Young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수학교육 Vol.59 No.4

        본 연구는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이 어떻게 해석, 적용되고 있는지 교과서 분석을 통해 탐구하였다. 중학교 1-3학년 10종 30권 교과서의 191개 과제를 정보처리 능력 하위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하위요소별, 교과서별로 차이가 컸으며 공통적으로 ‘공학적 도구 및 교구 활용’에 매우 치우쳐 있었다. 과제 유형별로도 해석과 적용 방법의 다양성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처리 능력 함양을 위한 개선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s one of the mathematical competencies has been interpreted and applied in mathematics education by analyzing task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sub-elements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organized by Park et al.(2015), we analyzed 191 tasks in 30 different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Also, we investigated the meaning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embedded in the tasks by distinguishing the characteristics of several different types of task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of tasks related to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in mathematics textbooks was too small and there was a huge difference across the textbooks in terms of the sub-elements. Even though there were four sub-elements of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the use of manipulative and technological tools’ was extremely dominant in the tasks in general. Even many of them used technology and manipulatives superficially. Furthermore, any textbook did not provide tasks dealing with all the four sub-elements. Such an unbalanced and fragmented approach to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could produce biased knowledge and insufficient experiences for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It calls for further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about how to improv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in school mathematics.

      • KCI등재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정보처리 능력과 관련된 과제에 나타난 컴퓨팅 사고력 분석

        은현(Kim, Eun Hyun),김래영(Kim, Rae Young)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컴퓨터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그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이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면밀히 분석하고 진단하여 향후 교과서 개발이나 수학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력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1~3학년 수학교과서 8종에서 정보처리 관련과제로 명기된 191개 과제를 대상으로, Weintrop et al.(2016)의 컴퓨팅 사고력 분류 체계를 보완한 분석틀을 구성하여 코딩한 결과를 통해, 하위요소 간, 교과서 간 과제에서의 차이와 특징을 양적, 질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컴퓨팅 사고력의 실천(practices) 간, 하위요소 간의 편차도 매우 컸으며, 교과서별로도 큰 차이를 보였다. 질적으로도 동일한 수학 개념을 다룬과제라 하더라도 요구되는 컴퓨팅 사고력의 차이가 뚜렷했으며, 동일한 컴퓨팅 사고력으로 분류된 과제라 하더라도 질적으로 그 내용과 제공되는 경험이 달랐다. 전반적으로 컴퓨팅 사고력의 학습기회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웠으며 결과로부터 향후 컴퓨팅 사고력에 관한 수학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is ever growing in a digital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mputational thinking embedded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collected 191 tasks related ‘information-processing’ from eight different textbooks and coded them based on the revised framework of Weintrop et al.(2016).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study indicated that a huge gap existed in the textbooks in terms of sub-elements and practices in computational thinking. A few elements were not found in any textbook. The two different tasks dealing with the same mathematical concept often provided different experiences for computational thinking. As a consequence, the paper argues that the current textbooks do not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to learn computational thinking. The results led to a further discussion for future studies on computational thinking in mathematics education.

      • 분산비디오 기술의 율 왜곡 성능 개선을 위한 키 픽처의 양자화 계수 분석

        은현(Hyun Eun),심혁재(Hiuk Jae Shim),전병우(Byeungwoo Jeo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0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11

        분산 비디오 기술의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는 와이너 지브 부호화 기술이다. 와이너 지브 부호화 구조에서 보조정보는 인트라 복호화된 키 픽처들을 이용하여 생성한다. 키 픽처의 객관적 화질은 보조정보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잡음이 많은 보조정보를 복호화에 이용할 경우 부호화로부터 많은 패리티 비트를 요구하게 되어 율 왜곡 성능을 저하된다. 기존의 부호화 기술은 키 픽처 부호화 시 Quantization Matrix에 따라 미리 정의된 양자화 계수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미리 정의된 양자화 계수 보다 낮은 계수 값을 사용하여 부호화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방법은 키 픽처의 객관적 화질이 높아짐에 따라 보조정보의 화질을 향상시킨다. 잡음이 적은 보조정보는 와이너 지브 복호화 시 율 왜곡 성능을 향상시킨다. 실험결과는 기존 방법에 비해 최대 0.7dB에 이르는 성능향상을 보인다.

      • SCOPUSKCI등재
      • SCM 구축을 통한 물류거점 활성화 방안

        은현(Eun Hyun Kwak),조원길(Won Gil Cho) 남서울대학교 국제무역연구소 2013 국제무역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SCM 구축을 통한 물류거점 활성화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제점과 발진방안에 관해 연구하였다. 실태분석으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은 제시하는 측면에서 분석한 논문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SCM이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적 요인인 생산과 유풍의 구조 변화, 정보기술의 변화 등 물류환경의 변화에 대해 일아보고, SCM 운영현황윤 살펴본 뒤 불류관리 합리 화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언급하고자한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물류 거점과 관련하여 도출되어져 나온 다양한 문제점들파 의견을 바탕으로 관련 업계의 경영성과와 물류비용 절감을 위한 방안을 검토하여 향후 경제성 있는 SCM의 개발 및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계획 수립을 위한 여러 가지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