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관절 디지털 방사선을 이용하여 측정한 방사선적 골다공증 측정 방법들의 유용성

        윤호현 ( Ho Hyun Yun ),이주원 ( Ju Won Yi ),임득수 ( Deuk Soo Lim ),박성철 ( Sung Chul Park ),오성록 ( Seong Rok Oh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2

        목적: 디지털 방사선 영상을 이용하여 방사선적 골다공증 지표들을 측정하고 방사선적 골다공증 지표들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고관절 주위골절로 진단 받았던 65세 이상의 환자 100 명을 골절 군으로 설정하고 65세 미만의 비 골절 50명을 대조 군으로 설정하였다. Singh Index, Canal-to-Calcar Ratio, Cortical Thickness Index (CTI)를 측정하였으며 골밀도 측정을 위해서 이중 에너지 방사선(DEXA)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CTI 측정 결과들에 대한 관찰자 내 및 관찰자간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결과상 골절 군에서는 ICC 값이 모두 0.8 이상으로 대조 군과 비교 시 골절 군에서 모두 높았으며 대조 군에서는 특히 관찰자간 ICC 값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CTI와 DEXA 골밀도 검사결과들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r=0.50~0.58, p<0.05). 결론: CTI가 만족스러운 신뢰도를 보이며 DEXA 골밀도 검사와의 연관성을 보여서 특히 노령의 고관절 주위 골절 환자들에서 골다공증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한 노력을 유도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radiographic parameters for osteoporosi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radiographic parameters determined by digital hip radiographs and bone mineral density T-scores, as assess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100 subjects in the hip fracture group and 50 in the non-fracture control group. Digital hip radiographs were assessed to determine the values of Singh index, Canal-to-Calcar Ratio, and Cortical Thickness Index (CTI). Bone mineral density was assessed by DEXA. Result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results of the CTI were above 0.8 in the fractur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fracture group showed higher ICCs. Interobserver ICCs were especially lower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TI and DEXA (r=0.50~0.58, p<0.05). In the analysis of ROC curves, a mean threshold for CTI set a value of 0.54 (0.53~0.55), and mea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75.5% (69~79%) and 67.8% (65~78%), respectively. Conclusion: CTI showed reasonable reliability and correlation with DEXA results. CTI was a useful radiographic parameter to alert the surgeon to recommend referral for osteoporosis evaluation in elderly hip fracture patients.

      • KCI등재

        재탈구된 시멘트형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도수 정복 중 발생한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의 이탈

        윤호현(Ho Hyun Yun),안길영(Gil Yeong Ahn),남일현(Il Hyun Nam),문기혁(Gi Huk Moon),이정익(Jung I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재탈구는 단순한 합병증이 아니다.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재탈구 시 관혈적 정복 술은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탈구된 시멘트형 인공 관절 치환술의 정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하지 않은 견인력으로 인한 대퇴 주대의 이탈이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사용한 경우에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저자는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사용한 시멘트형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환자에서 재탈구 후 도수 정복 중 대퇴 주대의 이탈을 경험하고, 재탈구된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환자를 치료 시 현재 상태에 대한 충분한 분석을 통한 도수 정복 및 관혈적 정복 술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하며 특히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사용한 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에서 대퇴 주대 이탈이 정복과정 중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주의가 요한다고 여겨진다. Redislocation of bipolar hemiarthroplasty is not a simple complication. When redislocation of bipolar hemiarthroplasty occurs, open reduction must be considered. Displacement of the polished tapered femoral stem could occur through the unwanted traction force during the reduction of the dislocated cemented hip arthroplasty as a complication. We experienced displacement of the polished tapered femoral stem during closed reduction of a redislocated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We suggest that preoperative analysis for the cause and status of the dislocation is essential and open reduction should be considered if closed reduction is not thought to be suitable for a polished femoral stem.

      • KCI등재

        비교과 프로그램의 고쳐쓰기 활동을 통한 대학생 글쓰기 능력 신장 연구 - 숙명여자대학교 ‘챌린지 라이팅’ 사례를 중심으로 -

        윤호경 ( Yun Ho-gyeong ),구자황 ( Gu Ja-hwang ),김승민 ( Kim Seung-min ),유상희 ( Ryu Sang-he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2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을 연계·보완하기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대학생의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관심을 두었다. 대부분의 글쓰기 정규 과목은 많은 학생 정원으로 교수자의 부담이 큰 편이며, 상대평가로 인한 성적 부담 탓에 학생들의 부담 또한 적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과 부담을 고려하여 학생들 스스로 글쓰기에 대한 내적 동기를 불어 넣고, 성공적인 쓰기 경험을 내면화할 수 있도록 집중적인 실습과 피드백 중심의 단기 비교과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는 ‘고쳐쓰기’를 통한 대학생의 글쓰기 능력신장을 살펴보기 위해 2020년 2학기 종료 후, 2021년 1학기와 2학기 종료 후 방학 기간 동안, 총 세 차례에 걸쳐 6차시로 구성된 비교과 프로그램(프로그램명 ‘챌린지 라이팅’)을 기획·운영하였다. 고쳐쓰기에 대한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고, 다양한 고쳐쓰기의 주체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결과, 학생 글의 발전 양상 및 글쓰기 능력의 조직, 논증, 표현 영역에서의 신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의 글쓰기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은 지식, 이론, 경험을 위주로 한 특강이 대부분이었고, 그마저도 일회적이거나 행사의 성격이 강한 편이었다. 그러나 숙명여대 교양교육연구소가 구안한 ‘챌린지 라이팅’은 정규 교과에서의 미진함과 한계를 과목 재수강이 아닌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보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동시에 학생들이 취약한 역량을 집중적으로 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정규교과에서 다룬 글쓰기 결과물을 ‘고쳐쓰기’의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설계, 운영함으로써 학생들의 쓰기에 대한 도전 의식과 끝까지 쓰는 용기를 자극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해 학습자의 쓰기에 대한 성공적 경험을 내면화하고 학습자의 행위 주체성을 강화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non-curricular program model to link and supplement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relieve the burden of teachers due to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in most regular writing courses and the burden on learners’ grades due to relative evaluation, etc. A non-curricular program using 'writing' was devised. Sookmyung Women's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planned and operated a non-curricular program (program name 'Challenge Writing') three times in total to examine the improvement in writing ability and changes in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through 'rewrite writing'. Through the above extracurricular program,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writ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was improved in the areas of organization, argumentation, and expression. Most of the writing-related non-curricular programs were special lectures centered on knowledge, theory, and experience, and even that was one-time or event-based. However, 'Challenge Writing' designed by Sookmyung Women's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Center enables students to choose intensive programs rather than re-taking courses to compensate for the inadequacy and limitations of regular subjects, so that they can intensively strengthen their weak competencies. In addition, by designing the program in the form of 'rewrite' and 'rewrite' the writing results dealt with in the regular curriculum, it not only provokes students' sense of challenge and courage in writing, but ultimately internalizes learners' successful writing experience.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strengthen the learner's agency in action.

      • 국내 건축물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피난실험

        윤호주(Yun Ho-Ju),황은경(Hwang Eun-Kyoung),김종훈(Kim Jong-Hoon)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Recently, it is expected to be considerable damage of its men and money during the fire in according with increasing High-rise Buildings which has many restrictions for an evacuation and fire control. With this, it is rising with an emphasis on securing men and money safety in a building, and as part of these securing safety of evacuation it is conducting to evaluate building stability over an evacuation program for verifying objective evacuation safety during being planning and design a building. In this study, prior to the national emergency evacuation program development stage, considering the nature and conducted experiments This study sets up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detailed model, and establishes a development program for user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urvey.

      • KCI등재

        고령의 대퇴 전자부 불안정성 골절에서 양극성 반치환술과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의 비교

        윤호현 ( Ho Hyun Yun ),안길영 ( Gil Yeong Ahn ),남일현 ( Il Hyun Nam ),문기혁 ( Gi Hyuk Moon ),이재욱 ( Jae Wook Lee ),김재철 ( Jae Cheol Kim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2

        목적: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에 대하여 양극성 반치환술과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로 치료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여 술식 간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65세 이상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부 골절 중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고, 양극성 반치환술로 치료받았던 34예와 ITST (Intertro chanteric/Subtrochanteric) 골수강내 정으로 치료받았던 22예의, 총 5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양극성 반치환술군에서 78.4세, ITST 골수강내 정에서 77.1세였다. 임상적 결과는 보행 능력, 고관절부 동통 및 대퇴부 동통의 유무를 확인하여 평가하였고, 방사선적 결과는 정기적으로 시행한 방사선 촬영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은 양극성 반치환술군에서 평균 134분,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군에서 평균 103분이었고, 수술 중 평균 출혈량은 양극성 반치환술군에서 648 ml,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군에서 평균 386 ml이었다. 임상적 결과상 양극성 반치환술군 22예 (65%), 2세대 골수강내 고정술군 18예 (80%)에서 수상 전의 보행 능력과 수술 후의 보행 능력간의 차이가 없었다. 양극성 반치환술군 5예 (14%)에서 고관절 동통이 발생하였고, 2세대 골수강내 고정술군 4예 (18%)에서 대퇴부 동통이 발생하였다. 합병증으로는 양극성 반치 환술군에서 탈구 3예, 표재성 감염 2예가 있었고,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군에서 지연 나사의 대퇴 골두 천공 1예, 지연 나사 돌출부동통 1예가 있었다. 결론: 2세대 골수강내 정 고정술을 시행하는 경우에 양극성 반치환술군에 비해 적은 수술시간, 출혈량의 감소, 기능상의 장점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대퇴부 동통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 of bipolar hemiarthroplasty and second generation intramedullary nailing for elderly unstable peritrochanteric femoral fracut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0 to July 2004, 56 elderly unstable peritrochanteric fractures were treated with a bipolar hemiarthroplasty (34 cases) or a ITST intramedullary nailing (22 cases). The fractures were classified using the OTA/AO classification.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walking capability, hip joint pain, and thigh pain. The radiological results were evaluated on the basis of the radiographs at follow-up. Results: In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34 minute, the mean blood loss was 648 ml. In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03 minute, the mean blood loss was 386 ml. There were no different walking ability between prefracture and postoperative state in 22 cases (65%) of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18 cases (80%) of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5 cases (14%) hip joint pain in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and 4 cases (18%) thigh pain in ITST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postoperatively. Conclusion: Comparing the operation time, blood loss, and walking ability, ITST intramedullary nailing group show superior clinical outcomes than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However, The effort for decreasing postoperative thigh pain might be required.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중학교 가정과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효과: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중심으로

        윤호정(Yun, Ho Jeong),허영선(Heo, Young Sun),채정현(Chae, Jung Hyun)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가정과 융합교육프로그램을 중학교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실행하여이 수업이 중학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타교과와의 연계성을 살펴 ‘지속가능한 삶’을주제로 설정하여 핵심질문을 ‘식품자원의 환경과의 관계, 개인차원의 영향, 해결방법은 무엇인가?로 설정하고 문제와 8차시의수업을 개발하였다.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가정과 융합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평균점수가 3.54, 사후 평균점수가 3.96으로 통계적으로 문제해결능력(p<.001)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문제해결능력의 능력요소인 원인분석, 대안개발, 계획/실행,수행평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문제명료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가정과융합교육프로그램은 문제해결능력에 효과적인 수업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a home economics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pplyingproblem-based learning method focusing on the middle school food and nutrition life unit, and verify the effect of this class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students. For this, the study set up the theme of ‘sustainable lif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with other subjects, and set the key question as ‘what is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of food resources, the influenceof individual level, and the solution method?’ was postulated. And developed the problem and the total of 8 classes. As a resultof conducting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with home economics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he pre-testand post-test scores were 3,54 and 3.96, respectively, which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oblem-solving ability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mensions of problem-solving ability, except for problem clarification. Therefore, itwas confirmed that the home economics and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s aneffective class for improving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경기도지역 지석묘의 장송의례(葬送儀禮)

        윤호필 ( Ho Pil Yu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論叢 Vol.30 No.-

        본 연구는 한국 청동기시대의 지석묘 축조과정과 그에 따른 단계별 의례양상을 통해 지석묘의 장송의례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기도지역 지석묘의 장송의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장송의례는 보편적인 사회규범에 속하지만 그 속에는 사자 및 생자의 사회적 지위와 관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무덤은 이러한 사회적 관계가 반영되는데, 집단의 사생관(死生觀)과 조령관(祖靈觀)으로 나타나며 장기간 지속되면서 강한 전통성을 가지게 된다. 지석묘의 장송의례는 축조의 각 과정마다 의례가 행해지며, 이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사회적 연대 및 통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지석묘의 축조는 생자의 입장에서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Ⅰ단계는 피장자를 매장하기 위한 준비단계(묘지 선정 석재운반), Ⅱ단계는 피장자를 매장하고 무덤의 외형적인 틀을 만드는 단계(매장주체부 및 묘역설치), Ⅲ단계는 완성된 무덤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장송의례는 각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축조방식이 다른 개석식 지석묘와 탁자식 지석묘는 피장자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분명히 존재한다. 이를 공간관계의 측면에서 보면 수평적 공간관계와 수직적 공간관계로 나눌 수 있다. 수평적 공간관계는 묘역의 범위를 넓게 하여 무덤 존재를 부각시키는 것이고, 수직적 공간관계는 무덤의 외형을 지상에 돌출시켜 무덤을 하나의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는 가족적 씨족적 친분관계가 강하고, 후자는 독립적·제단적인 성격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형식과 장송의례 양상이 다른 두 무덤이 경기도지역에서는 같은 묘구 내에서 함께 조성된다. 따라서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무덤인 지석묘에 나타난 장송의례는 당시의 사회구조, 문화, 기술, 세계관, 내세관 등을 반영하므로 청동기 사회를 이해하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restores the burial ritual of dolmen through the construction method of dolmen in the Bronze Age in Korea and the features of rituals followed in each stage. Based on it, it looks into the burial ritual of dolmen in Gyeonggi do region. The burial ritual belongs to general social norm. On the other hand, social class of the living beings and dead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re. Therefore, the graves reflect such social relationship, and it gains strong tradition as it reveals as a view on life and death and a view on ancestor`s spirit of social group for long term. Rituals are performed in each stage of construction of dolmen, and through this, it plays a role reinforcing social union of members. Construction process of dolmen is divided into three big stages from the view point of a living person. The first stage is preparation stage for burial of dead body(Choosing tomb area and moving stones). The second stage is burial of dead body and building frame of tomb(Building main part of burial area and boundaries of grave). The third stage is maintaining the finished dolmen. Burial ritual appears in various ways in each stage. The cover stone dolmen and table type dolmen with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show certain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deader. From the view of spatial relationship, it can be divid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s. The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 bring into relief the existence of grave by extending grave area while vertical spatial relationship makes the grav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existence by projecting appearance of grave onto ground. Therefore, the horizontal spatial relationship has strong relationship of family and relatives while the vertical spatial relationship has strong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ce and altar. Likewise, two different graves with different features of burial rituals and formats are built in the same boundary of grave in Gyeonggi do region. Therefore, the burial rituals revealed in dolmen which represents the Bronze Age reflect the social structure, culture, technology, world view and the view of afterlife, therefore, is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the Bronze Ag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