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잠재계층 전이양상과 영향요인

        윤채영(Yun, Chae young),기희경(Kee, Hee kyung),강승희(Kang, Seung hee)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6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잠재계층의 전이양상과 영향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005 7~9차년도 대학생 1,422명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계층분석, 잠재전이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학업성취도의 잠재계층은 최종적으로 상, 중, 하 3개 집단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학업성취 잠재계층의 종단적 전이양상을 알아보고자 잠재전이분석을 한 결과, 학업성취도 상 집단과 중 집단의 경우 약 90% 이상 안정성을 유지했으며, 하 집단의 약 60% 이상이 중 집단 이상으로 전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도 집단에 따른 학업성취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9차년도 대학교 4학년 시점에서 분석한 결과, 학업성취도 상 수준집단과 중 수준집단을 구분하는 영향요인은 대학소속감, 대학적응, 대학풍토였으며, 학업성취 중 수준집단과 하 수준집단에는 대학적응이 예측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대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지만, 잠재계층에 따라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차별화된 교육지원 마련이 필요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using the 7th to 9th year panel dataset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2005 and to examine the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latent classes analysis, latent transi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of 1,422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classes of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ere three groups: upper, middle, and lower. Second, the results of the latent tran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change and stability of academic achievement remained more than 90% in the group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iddle group, and more than 60% of the lower group were transferred to more than the middle group.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group at the 9th year, senior in university, it was confirmed that college belonging, college adaptation, and college climate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igh level group and middle level group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adaptation had predictive effects in the middle level group and the low level group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lthough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college students is improved steadily as the grade increases,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other educati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potential group to in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예방적 학습컨설팅이 전환기 중학생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효과

        윤채영 ( Chae Young Yun ),김정섭 ( Jung Sub Kim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중학교 신입생들이 새로운 학습 환경에 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한 예방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학업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전환기 중학생이 겪는 학업문제와 요구되는 학습역량에 대해 해당학교 관계자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해 알아본 후, 그 내용에 기초하여 전환기 중학생을 위한 예방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J중학교 1학년 학생 228명(실험집단)과 D중학교 1학년 학생 177명(통제집단)이었다. 실험집단에게는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을 활용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을 입학 직후부터 한 학기동안 적용하였고, 통제집단 학생들은 정규교육과정에 따라 재량활동을 하였다. 학업동기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효과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업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예방적 학습컨설팅이 전환기 중학생의 학업동기저하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ventive learning consultation with 7th graders on academic motivat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primary to secondary school, 7th-grade students need to acquire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al skills because their new curriculums and learning environments are dramatic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This study was based on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A total of 405 7th male students participated as subjects, of whom 228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a further 177 subjects formed the control group. A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improve experimental group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al skills and to help them adjust at their new learning environment soon. The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7 weeks. An Academic Motivation Scale was administrated to all the subjects as the pre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 ANCOVA was conducted. Mean scores on academic motivation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but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As a result, the preventive learning consultation appeared to help 7th grade students hold academic motivation, including both self efficacy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학업지연행동과 충동성, 학습전략, 전공만족도 간의 관계

        윤채영(Yun Chae Young),이은화(Lee Eun Hw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과 충동성, 학습전략, 전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학업지연행동과 충동성,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지역 3개 대학교 재학생 450명이었으나, 최종적으로 40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학업지연행동, 충동성, 학습전략, 전공만족도의 연구모형이 경쟁모형에 비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에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충동성은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습전략을 매개하여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업지연행동은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지만, 학습전략을 매개하여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전략은 전공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이 효과적인 학습전략을 사용함으로써 학업지연행동과 충동성 수준을 줄여 전공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논의하였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procrastination, impulsiveness, learning strategies, and major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learning strategies play significant roles in the mediation of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mpulsiveness, on major satisfaction. A total data of 407 participants from 3 universities in Busan were used in this study.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a hypothesized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comparative structural model. The hypothesized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mpulsiveness had an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just through learning strategies. Second, academic procrastination had an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only indirectly through learning strategies. Third, learning strategies had an impact on major satisfaction direct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o us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had a positive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with reducing the negative effect of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impulsivenes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가 모형의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적용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윤채영(Chae Young Yun),윤소정(So Jung Yune),김정섭(Jung Sub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직 컨설팅 경험이 부족하여 학습컨설팅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지 않은 한국 학교현장에 적합한 전문가 모형 학습컨설팅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학습 및 행동문제 전문가인 학습컨설턴트는 학생들의 문제 진단과 개입에 대한 직접적인 실행을 학교로부터 의뢰 받아 학습컨설팅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컨설팅 과정에서 학습컨설턴트는 의뢰대상인 중학교 신입생이 겪게 될 학업문제 예방과 새로운 중학교 학습환경 적응 및 학업역량 강화를 목표로 학생관찰과 면담, 예비 조사를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실행계획을 설정하고 그 계획안을 의뢰학교 학교장과 담당교사와 협의를 통해 검토한 후, 개발된 학습전략을 컨설턴트가 직접 실행하고 평가하였다. 컨설팅의 전 과정은 Schein(1990, 1999)이 제안한 전문가모형 중 전문가가 진단을 주도하는 의사-환자모형과 실행을 주도하는 전문성구매 모형을 결합한 형태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J중학교 1학년 학생 213명(실험집단)과 D중학교 1학년 학생 151명(통제집단)이었다. 실험집단에게는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을 활용하여 학습컨설팅을 중학교 입학 직후부터 한 학기동안(17주) 적용하였고, 통제집단 중학생들은 정규교육과정에 따라 다른 창의적 재량활동을 하였다. 학습전략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중다공변량분석(MANCOVA)을 통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습전략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전문가모형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이 중학생의 학습전략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learning consultation based on the expert consulting model to 7th graders at the Korean boys` middle school and examine the effect on learning strategies. In a process of school based learning consulting, which is proceeded from problem screening, problem specification, choosing a proper. Learning consultant tried to figure out 7th-grade students` needs to acquire learning strategies because their new curriculums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middle school are dramat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elementary school. Moreover, Research has demonstrated a strong link among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was based on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A total of 364 male students in the 7th grade participated as subjects, of whom 21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nsulting implementation as experimental group and a further 151 subjects formed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s has taken a learning strategies education program to help the freshmen adjust at their new learning environment well. Th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7 weeks at the first semester. Learning Strategy Scale was administrated to all the subjects as the pre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 MANCOVA was conducted. Mean scores on learning strategy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but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As a result, the preventive learning consultation appeared to help 7th grade students increased the level of learning strategies using. This result was expect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to adjust a new learning environment with educated learning strategies in the learning consulting.

      • KCI등재
      • 여대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매개효과 -

        배금채(Geum-Chae Bae),윤채영(Chae-Young Yun)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20 젠더와 사회 Vol.31 No.-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하는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356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폭식행동 척도(BULIT-R),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척도(SATA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분석,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 구조모형 분석, 부트스트 래핑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의 폭식행동과 내현적 자기애,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관계에서 모든 변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여대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대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내현적 자기애자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상담자의 치료적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하였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binge eating behavio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which was an environmental variable, play a role in mediating variable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research was administered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five universities in Busan, and a total of 356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Bulimia Test Revised(BULIT-R), the Covert Narcissistic Scale(CNS), and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SATAQ)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bootstrapping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the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inge eating behavior, covert narcissism and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binge eating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found to be partial mediated by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This study demonstrated the role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impact of covert narcissism on binge eating behavior in female college students, thus understand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vert narcissist and providing implica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program development by counselor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is study result, and the limitation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독립, 자기성찰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정선(Bae, Jeong-Sun),윤채영(Yun, Chae-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독립, 자기성찰지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상대적 기여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울산시 소재 2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192명, 2학년 208명, 3학년 178명으로 총 57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중학생의 학교적응은 다른 변인들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기성찰지능과 중학생이 지각한 부의 양육태도 순서로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가 가장 높은 예측변인은 자기성찰지능이었고 부의 양육태도도 주요 예측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은 학교적응 전체와 그 하위변인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지만 학교적응과 그 하위변인에 대한 예측변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 결과는 중학생의 학교적응을 위해 자기성찰지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실제적 교육 환경과 학습여건 마련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부의 긍정적인 양육태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확산과 부의 양육태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ived mother and father’s rearing attitudes,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to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school counseling and guidance. Method: The subject for the study was 578 students of two middle school in Ulsan, and it consisted of 192 in 1st grade, 208 in 2nd grade and 178 in 3rd grade. The statistic analysis program(SPSS 22.0) was used for analyzing the obtained date from the research i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ived mother and father’s rearing attitudes, psychological separat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Second, there has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the order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perceived mother and father’s rearing attitudes. Moreover the impact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is the largest factor, and that of perceived father’ rearing attitudes is the next one to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e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practica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learning conditions that can develop intrapersonal intellige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It also implied the need to sprea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ositive father s rearing attitudes and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father s rearing attitudes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