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서직종사자가 인지하는 경력장애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지혜(Yoon, Jihye),김명옥(Kim, Myong Ok) 한국비서학회 202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표는 비서직종사자가 인지하는 경력장애요인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두 변인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경기·인천 지역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현직비서 195명의 설문응답을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서직종사자가 인지하는 경력장애요인 중 개인특성장애는 경력만족과 고용가능성 모두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조직특성장애는 경력만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그리고 사회특성장애는 고용가능성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가치지향성은 사회특성장애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그리고 자기주도성은 개인특성장애와 고용가능성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비서직 종사자가 인지하는 개인특성장애로 미래 고용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낮아질 때 비서 자신 스스로의 고유 가치를 인지하고 경력을 선택 관리하는 태도로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과 조직과 사회는 이를 적극 지원하고 장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비서가 느끼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 의욕, 투지, 적성 등에 대한 인식이 미래 고용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내가 경력과 삶의 주인이고 경력의 선택 및 관리, 업무의 수행, 의사결정 등을 내가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다는 믿음, 자기주도적인 태도로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도 시사한다. 조직차원에서도 전문직으로서의 비서 경력이 장기적으로 개발되고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개인의 의지와 태도만으로 해결이 어려운 장애요소들을 조직과 사회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비서직종사자들의 주관적 경력성공 제고 방안 및 인적자원 관리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career barrier factor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office professionals, focusing on the moderated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Based on the survey responses from 185 office professionals multivariate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summary of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barrie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all sub-factors of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barrie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career satisfaction,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 barrie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employability. The value-driven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ice professionals’ perceived social characteristic barrier and employability, and the self-initiated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ffice professionals’ perceived individual characteristic barrier and employability. It is recommended that office professionals develop value-driven attitude and self-initiated attitude to overcome anxiety about future career and employability caused by individual and social haracteristic barri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resources to develop programs and social policies to support office professionals to manage career barriers and to improve protean career attitude for their career success.

      • KCI등재

        〈플라워 드럼 송〉의 각색을 통한 D. H. 황의 주체성 추구

        윤지혜(Yoon, Jihye) 신영어영문학회 2017 신영어영문학 Vol.67 No.-

        This study examines David Henry Hwang’s search for subjectivity in the process of adapting Flower Drum Song (2002), of which the original work Flower Drum Song (1957) by C. Y. Lee was adapted as a musial by Richard Rodgers and Oscar Hammerstein II in 1958 and a movie by Henry Koster in 1961. This study also reveals the success factors of Hwang’s musical as it became a famous Broadway musical as well as a Tony Award winning work. Flower Drum Song plays a role of a stepping stone to gain a popularity once again after M. Butterfly (1988) and has lead him to be a minor writer. In order to reveal the success factors in Flower Drum Song, this study investigat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wang’s musial and previously reinterpreted musicals. The main factor of the success was changes in representations of Asian-American women characters. Through Hwang’s appropriating their subjectivities, he finally decided the way to find his subjectivity as a minor Asian American.

      • 성인 단장증후군 환자의 다학제 장 재활: 국내 단일 기관 다학제 장재활 클리닉의 경험

        윤소정 ( Sojeong Yoon ),이상훈 ( Sanghoon Lee ),박효정 ( Hyo Jung Park ),김현정 ( Hyun-jung Kim ),윤지혜 ( Jihye Yoon ),민자경 ( Ja-kyung Min ),서정민 ( Jeong-meen Seo )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8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지 Vol.10 No.2

        Purpose: Intense multidisciplinary team effort is required for the intestinal rehabilitation of patients afflicted with the short bowel syndrome (SBS). These include enteral and parenteral nutrition (PN) support, monitoring of complications related to treatment, and considering further medical or surgical options for intestinal adaptation. Methods: In the Intestinal Rehabilitation Team (IRT)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we have experienced 20 cases of adult SBS requiring multidisciplinary intestinal rehabilitation.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collected medical records. Results: Of the 20 subjects treated, 12 patients were male and 8 patients were female. At the time of referral to the IRT, the mean age was 51.5 years, and the mean body weight was 50.1 kg, which was 90% of the usual body weight. The diseases or operative managements preceding massive bowel resection were malignancy in 11 cases, cardiac surgery in 2 cases, trauma in 2 cases and one case, each of tuberculosis, corrosive esophagitis, atrial fibrillation, simultaneous pancreas and kidney transplantation, and perforated appendicitis. Of these, there were 14 survivals and 6 mortalities. The fatalities were attributed to progression of disease, intestinal failure-associated liver disease, and sepsis (unrelated to intestinal failure) (2 cases each). Among the 14 surviving patients, 8 patients have been weaned off PN, whereas 6 are still dependent on PN (mean PN dependence 36%). Conclusion: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multidisciplinary intestinal rehabilitation of adult short bowel patients treated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mprove survival and enteral tolerance of these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여자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사용행태와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경험

        박순주(Soonjoo Park),양수민(Sumin Yang),윤지혜(Jihye Yoon),최한나(Hannha Choi),한자연(Jayeon Han),권수연(Sooyeon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사용행태와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경험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3년 5월 6일부터 6월 3일까지 중학교 및 고둥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VDT 증후군 자각증상 조사표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96.3%가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을 하나 이상 경험한 비율은 87.7%였으며, 증상경험 점수는 .39±.41점이었다. 눈 관련 증상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으며, 근골격계 증상의 정도가 가장 심하였다.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경험은 휴대전화 사용자세, 사용시간, 사용 중 휴식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휴대전화 사용 시 바른 자세로 사용하고, 사용 중에는 휴식 시간을 갖는 것이 컴퓨터단말기증후군 증상경험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여자 청소년들이 자신의 휴대전화 이용 상태를 객관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휴대전화 이용 상태 진단 도구의 개발과 주기적인 점검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휴대전화 중독 위험집단에게는 중재 프로그램 또는 예방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symptom experience in female students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349 female students in four schoo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in 2013 using VDTS Subjective Symptom Questionnaire. Descriptive statistics,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21.0. Almost all (96.3%) female students use mobile phone. Among them, 87.7% of the subjects experienced more than one VDTS symptom and the average score was .39 ±.41 in VDTS symptom experience. Eye related symptom was most experienced and musculoskeletal symptom was the highest in severity among five subdomain of VDTS sympto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DTS symptom scores in accordance with posture, hours of use, and break type during mobile phone u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ould be necessary, and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would be useful for adolescents to check themselves.

      • KCI등재

        Development of Conversational Skills from Late Children to Adolescent

        Yewon Yang(양예원),YoonKyoung Lee(이윤경),Jieun Choi(최지은),Jihye Yoon(윤지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령에 따른 대화 주제운용능력의 발달 차이를 살펴보았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 고학년생, 중학생, 고등학생 각 15명씩 총 45명이다. 대상자에게 한림 대화·화용 평가프로토콜에 따라 대화 자료를 수집하고 대화차례 수, 대화차례당 발화 빈도, 전체 주제 수, 주제당 대화차례 빈도, 주제 개시 비율, 주제 유지 비율 주제 변경 비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화차례 주고받기 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대화차례당 발화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 주제 수, 주제당 대화차례 빈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주제 개시 비율, 주제 유지 비율, 주제 변경 비율 모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청소년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화차례 수가 많아지고 대화 안에서 다루어지는 주제 수가 점차 감소하며 한 주제 안에서 더 많은 대화차례를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주제를 변경하지 않고 한 주제를 일관되게 유지하며 대화를 이어나갔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대화 발달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conversational skills from childhood to adolescents. Methods: A total of 45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Fifteen students were in the high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15 were in middle school and 15 were high school students. Conversation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examiner through the Hallym Conversation & Pragmatic Assessment Protocol. The number of turn-taking, frequency of utterances per turn, the total number of topics, frequency of turns per topic,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were measured.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number of topics, frequency of turns per topic the rates of initiation, maintenance, and change excluding utterance per tur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onversational skills develop continuously during late childhood and adolescents. These help us further understanding of conversational skills in adolescent periods.

      • KCI등재

        대구경북 영어마을 4박5일 영어체험학습 효율성 진단

        김향숙(Kim Hyang Sook),권진영(Gyun Jinyoung),김민경(Kim Minkyung),윤지혜(Yoon Jihye),이유화(Lee Yuhw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대구시에서 지원하고 있는 대구 경북 영어 마을 4박 5일 영어 체험 학습의 효율성 정도를 알아보고 향 후 대구시 정책 지원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11월 30일까지 6개월 동안 대구시청 관련자와의 면담과 영어마을의 현장조사 및 관련자들과의 심층면접을 여러 차례 거친 후, 2017년 7월 10일부터 14일까지 5일 동안 최근 영어마을 4박 5일 체험 학습에 참여한 대구시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중구, 달서구, 달성군, 수성구의 8개 구에 속한 초등학생 5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234명에게 설문지를 직접 배부 및수거하여 통계를 내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8개 구 중 수성 구를 제외한 7개구에 속하는 초등학생의 영어마을 체험학습의 만족도와 흥미 정도는 매우 높았다. 뿐만 아니라 학교 영어 수업에 대한 동기 부여와 다양한 영미권 문화 이해를 통해 다문화를 이해하는 능력이 향상되었고 공동체 생활 속에서 협동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영어마을 체험학습은 영어공부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대구시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나 구별 특성에 따라 지원정도를 가감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또한 개방형 설문 에서 실내의 교실수업보다 요리나 축구 등의 스포츠, 진흙으로 만들기 등 야외활동을 통한 수업 선호도가 높아 보다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 보급이 필요하다.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nights-and-five-days experience at a Daegu-Gyeongbuk English village, focusing on what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they had and what kind of changes had been made in their attitudes towards learning English. Survey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village and the changes in their attitudes toward learning English. For 5 days, from July 10th until July 14 th 2017, about 234 boys and girls of elementary schools from 8 districts, Dong gu, Seo gu, Dalseo gu, Susung gu, Jung gu, Buk gu, Nam gu, and Dalsung gun in Daegu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s and interviewed with the researchers to draw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students` experiences in the English village. The results revealed that despite the short term of residence at the English village, the students seemed to have had relatively active engagement in learning English conversation. Also, although the village could possibly provide students with rich opportunities to have an active engagement and interaction with English native speakers, it seemed that there existed some limitations in having such experiences inside classrooms. They wanted to have more diverse engagement with English by participating in outdoor activities such as cooking, playing soccer, using mud, and so on. Through survey, students showed some positive changes in their attitudes or strategies toward learning English after the short term of res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