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스포츠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멘탈 영역 연구

        윤인애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the concept and expand the domain for e-sports participants to better perform, explore the ment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e-sports participants and to classify the specific areas. Participants in the study had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in e-sports participation, and 7 e-sports coaches who could conceptually express the e-sports participation experience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order to explore the participants' mental domain,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and in this process, an analysis team consisting of three professors in sports-related fields and one doctoral candidate in sports psychology composed interview questions from existing sports psychology literature; all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based on this transcription data, the analysis team systematically analyzed through discussion, and were supervised by reviewers. As a result, 14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5 areas. The mental domains of e-sports participants were 'sensitivity to change', 'compassion', 'mutual connectivity', 'receptivity to feedback', and 'improvement', and subcategories related to each were found. The mental domain of e-sports can be interpreted through existing knowledge of sports psychology, an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 knowledge was discussed with extended alternatives suggested. e-스포츠 문화가 확장되면서, 현장에서는 더 나은 수행을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장의 시도 흐름과는 다르게 학계에서는 e-스포츠 참여자들의 수행과 경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e-스포츠 종목에 참여하는 참여자들이 더 나은 수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개념을 구축하고 영역을 확장하고자 e-스포츠 참여자가 겪은 멘탈 경험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영역을 구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e-스포츠 참여 경력이 5년 이상이며, e-스포츠 참여 경험을 개념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e-스포츠 코치 7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참여자들의 멘탈 영역을 탐색하기 위하여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3명의 체육학 관련 교수님과 1명의 심리학 박사로 이루어진 분석팀은 기존 스포츠심리학 문헌을 통해 면담 질문을 구성하였으며, 심층면담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사 후 분석팀의 논의를 거쳐 체계적으로 분석되었고, 감수자는 이를 감수하였다. 그 결과로 5개 영역에서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e-스포츠 참여자의 멘탈 영역은 ‘변화 민감도’, ‘평정심’, ‘상호 연결성’, ‘피드백 수용력’, ‘향상심’의 5개 영역으로 나타났고, 각 영역과 관련된 하위 범주들이 발견되었다. e-스포츠의 멘탈 영역은 기존 스포츠심리학 지식을 통해 해석할 수 있었으며, 지식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고 확장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 야구 선수들의 자율성 욕구 만족에 대한 질적 연구

        윤인애,이윤구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1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autonomy needs satisfaction experience of university baseball players because there was importance of autonomy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autonomy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experiences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terviews and analyzed based on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ees were 8 baseball players who have 1-year career in university baseball. The team of analysis composed of four researchers analyzed data. The professor supervised the results. The context of autonomy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experiences was as follow; a) Expectation for university baseball life; b) Awareness of autonomy needs; c) Obstacles to autonomy(Environmental characteristic); d) Coping with the need for autonomy; e) Driving force of autonomy needs satisfaction(Social support); f) Autonomy experience results. Further implication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간의 기본 심리적 욕구 중 하나인 자율성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대학 야구 선수들의 자율성 욕구 만족과 불만족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 야구부 생활을 1년 이상 경험한 대학 야구 선수 8명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합의적 질적 분석(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 CQR)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합의팀은 스포츠심리학 교수와 스포츠사회학 교수, 대학교 체육 담당자, 스포츠심리학 박사과정생으로 구성하였다. 합의팀은 면담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에 대해 합의팀 외의 별도의 감수자가 감수를 진행하였다. 결과로 6개 영역에서 17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대학 야구 생활에 대한 기대, 자율성 욕구에 대한 인식, 자율성 욕구의 걸림돌(환경적 특성), 자율성 욕구에 대한 대처, 자율성 욕구 만족의 원동력(사회적지지), 자율성 경험 결과의 6개 영역이 나타났고, 각 영역과 관련된 하위 범주들이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로부터 대학 야구 선수들의 자율성 욕구 만족 경험과 불만족 경험을 탐색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자율성지지 전략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윤인애,김광수,하요상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5 초등상담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 보고자 실시되었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N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사전검사 결과 동질 성이 확보된 2개 반 중 1개 반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1개 반은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 험집단에는 주2회 매회 40분씩 총 10회기의 자아성찰 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 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처치 후 두 집단 간 자기성찰지능과 심리적 안 녕감 검사의 사전, 사후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고, 실험집단의 각 회기별 소감문, 연구자의 관 찰기록, 프로그램 평가 설문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 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성찰지능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증가하였으며, 그 하위 변인인 능력 및 정서인식, 정서 활용, 판단력, 충동 통제, 목표 설정, 성취 동기화도 모 두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아졌다. 둘째,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 제집단에 비해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증가하였으며, 하위 변인 중 자아수용성, 자율성, 환경 지배력, 삶의 목적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향상되었으나 긍정적 대인관계와 개인 적 성장 영역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내용분석 자료에 의해 지지되고 보충, 심화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n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one class wa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was assigned to a control group. The students were in the 5th grade at 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en sessions were administer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Pre and post test, student feedback, session reviews, and records of observation were analyzed after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its sub-factors(Recognition of potential and emotion, Practically using ability of emotion, Decision ability, Impulse control, Establishment of the aim, Consistency for success). Secon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ts sub-factors (Self 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mong the sub-dimensions,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personal growth did not show considerable improvement.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and intensified by content analysis data.

      • KCI등재

        Vascular Responses to Acupuncture at the Kidney Jeonggyeok in Diabetic and Normal Groups Assessed by the Second Derivative of the Finger Photoplethysmogram Waveform

        윤인애,김지나,이지수,문성일,김진이,정시영 대한침구의학회 2011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8 No.1

        목적 : 신정격 자침이 당뇨군과 정상군의 혈관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가속도맥파를 이용한 실험을 설계하였다. 방법 : 20명의 당뇨군과 20명의 정상군에서 신정격 자침 이전과 이후, 2회에 걸쳐서 Cardio Peri SA6000을 이용하여 가속도맥파를 측정하였다. 가속도맥파의 b/a, c/a, d/a 및 연령지수를 통해 혈관상태를 평가하였다. 결과 : 1. 당뇨군과 정상군의 신정격 자침 이전 가속도맥파 측정에서 당뇨군이 정상군보다 b/a값(p= 0.000), 연령지수(AI)(p=0.000)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c/a값(p=0.000), d/a값(p=0.000)은 유의하게 낮았다. 2. 당뇨군에서 신정격 자침 이후 가속도맥파의 b/a값(p=0.004), 연령지수(p=0.012)는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c/a값(p=0.026)은 유의하게 높아졌다. 3. 정상군에서 신정격 자침 이후 가속도맥파의 b/a값(p=0.025)은 유의하게 낮아졌다. 결론 : 신정격 자침이 당뇨로 인해 유발된 혈관의 탄력도 감소 및 노화를 다소 회복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신장 질환이 있는 소아에서 $^{99m}$Technetium-mercaptoacetyltriglycine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측정

        윤인애,윤기욱,임인석,최응상,유병훈,Yoon, In Ae,Yun, Ki Wook,Lim, In Seok,Choi, Eung Sang,Yoo, Byung Hun 대한소아신장학회 2013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7 No.2

        목적: 소아에서 24시간 소변 수집의 단점을 대체하기 위해 $^{99m}Tc$-MAG3 신장 스캔을 통한 신기능을 측정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혈청 cystatin C과 크레아티닌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추정식을 비교하여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방법: 2011년 7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01명의 18세 미만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후향적 조사로 실시하였고 $^{99m}Tc$-MAG3 신장 스캔을 시행하여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였다. 24시간 소변과 혈액을 체취하여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측정하였고 5개의 추정식을 통해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99m}Tc$-MAG3 신장 스캔을 이용한 사구체 여과율의 Pearson 상관 계수는 0.389(P<0.001)이었다. $^{99m}Tc$-MAG3 신장 스캔과 Schwartz 식, Counahan-Barratt 식, MDRD 식, Cockcroft-Gault 식, Filler and Lepage 식, Bokencamp 식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의 Pearson 상관 계수는 각각 0.265 (P=0.007), 0.128(P=0.044), 0.216 (P=0.030), 0.230 (P=0.021), 0.356 (P<0.001), 0.355 (P<0.001) 로 확인되었다. 사구체 및 비사구체 신질환의 비교에서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은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고, 신기능의 저하 유무에 상관없이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은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크레아티닌 청소율과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으며 $^{99m}Tc$-MAG3 신장 스캔에 의한 사구체 여과율은 신질환의 기원과 신기능의 정상 여부 모두에서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99m}Tc$-MAG3 신장 스캔 이용 시 정확하고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In children, 24-hour urine collections are unreliable for evaluating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regulating voiding and the daily variation of urinary creatinine up to 25%. Additionally, creatinine clearance (Ccr) based on urinary creatinine is considered inaccu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stimated GFR determined using Ccr, formulas with serum cystatin C and creatinine, and $^{99m}Tc$-mercaptoacetyltriglycine (MAG3) dynamic renal scintigraphy.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101 patients (age, <18 years) who visited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uly 2011 and August 2012. GFR was estimated using 24-hour urinary creatinine, five formulas with serum creatinine and cystatin C, and $^{99m}Tc$-MAG3 renal scan. Results: Of the 101 patients, glomerular renal diseases were present in 60 patients (59.4%) and non-glomerular diseases were present in 41 patients (40.6%).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stimated GFR determined using $^{99m}Tc$-MAG3 renal scan and Ccr (r=0.389, P <0.001). The correlation values between estimated GFR determined using $^{99m}Tc$-MAG3 renal scan and each formula of Schwartz, Counahan-Barratt, Cockcroft-Gault, Filler and Lepage, and Bokencamp were 0.265 (P=0.007), 0.128 (P=0.044), 0.230 (P=0.021), 0.356 (P<0.001), and 0.355 (P <0.001), respectively. $^{99m}Tc$-MAG3 renal scan was correlated with estimated-GFR by all formulas in decreased renal function. Conclusion: Estimated GFRs determined using serum creatinine and cystatin C, and $^{99m}Tc$-MAG3 renal scan correlated well with estimated GFR determined using Ccr. $^{99m}Tc$-MAG3 renal scan may be replaced for evaluation of renal function with convenience in patients with renal disease and decreased renal function in childhoo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들의 교사화를 위한 다양한 ‘가르침’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윤인애 한국여성체육학회 2019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erception that prospective PE teacher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ve towards various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meaning of such experiences as part of the preparation process towards becoming teachers. Two pre-service PE teacher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teaching' experience. Interviews of this study considered the researchers' various 'education' experience processes over time.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und to be three empirical factors: an immature first experience, find your own know-how, and crapshoot education practice. In conclusion, the diverse ‘teaching’ experiences addressed to fulfill the inadequacies from the experience of an once of the Education Practice, and assisted as a venue to provide the time and place to become an ideal teacher.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들의 다양한 ‘가르침’ 경험에 대한 인식과 그 경험들이 교사화를 위한준비과정에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예비체육교사 2명과 그들이 경험한 여러 종류의 ‘가르침’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인터뷰는 연구참여자들의 다양한 ‘가르침’ 경험 과정을 시간성 차원을 고려하여 첫 번째 ‘가르침’ 경험, 그 이외의 다양한 ‘가르침’ 경험, 마지막으로 경험한 교육실습 ‘가르침’ 경험 단계로 나누어 시기별로 예비체육교사가 경험한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미숙했던 첫 경험, 자신만의 노하우 찾기, 복볼복의 교육실습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유학기제, 스포츠클럽, 돌봄교실, 초등스포츠강사, 초등방학캠프, 교육실습, 교육봉사 등의 다양한 ‘가르침’ 경험은 교육실습 한번으로 채워지지 않는 부족함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었으며, 이상적 교사화가 되기 위한 성장을 위해 필요한 시간과 장소를 제공해주는 또 하나의 장이였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대학운동선수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대처기술,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의 관계

        윤인애 한국웰니스학회 201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운동선수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대처기술,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로는 서울 지역에 소재한 대학들 중 축구, 야구, 배구, 농구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비활률표본추출 중 편의표집(Convenience or Opportunity Sampling)을 통해 3개 학교를 선정한 후 각 학교에 100부,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291부의설문지를 실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운동선수들의 심리대처기술은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선수들의 심리대처기술은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선수들의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대처기술은대학운동선수들의 스트레스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운동선수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스트레스에 대한대처방법으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점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을 것 같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related psychological coping skill, social support and stress for mental health of college athletes. The data collected from 291 college athletes with convenience or opportunity sampling on non-probability sampling. For analysis, frequenc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d path diagram analysis were used by the computer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15.0 and Amos 7.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cquired as follows; First, coping directly effects on social support in college athletes. Second, coping do not effects on stress in college athletes. Third, social support directly effects on stress in college athletes. Forth, coping indirectly effects on stress in college athl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