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유아 음악교육 수업이 예비유아 교사의 음악 활동 태도와 자기 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은미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2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with flipped learning 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 activ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s study examined 86 students taking a music education clas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of University B located in Seoul. For 10 week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ese students participated in an flipped-learn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developed in this study. We administered pre- and post-tests to examine changes in attitudes toward music activ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using flipped learning has positive effects 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 activit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findings hol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flipped-learning model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 KCI등재

        생활놀이 ‘오디’ 음악활동이 만 3세 유아의 음악 표현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윤은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udie music activity. The subjects were 40 three-year-old kindergartner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the an audie music activity and the comparison group were given the music activity. The program was carried out over a four month period. A music expression ability test and an emotion intelligence test were applied to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audie music activity. The data was analyzed by ANCOVA with SPSS 11.0 WIN progra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udie music activity was proven to affect kindergartener's music expression ability. Second, the audie music activity was proven to affect kindergartener's emotion intelligence in a positive way. Third,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audie music activity showed desirable changes in many ways. Through the audie music activity, the children began to express freely feelings that they got from the music. In conclusion, the audie music activity can be effective to improve kindergartener's musical expression and emotion intelligence, and so it should be appli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본 연구는 생활놀이 오디 음악활동이 만3세 유아의 음악 표현력과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만 3세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으로,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주 1-2회 오디 음악활동을 실시하고, 비교집단 유아에게는 유치원 기존의 음악 활동을 실시하였다. 오디 음악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활동 실시 전·후에 음악 표현력 검사,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1.0 Window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오디 음악활동은 유아의 음악 표현력과 정서 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일본 이주여성의 한국어 말소리의 특징과 자음 정확도

        윤은미,김종숙,김현기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3 다문화의사소통 Vol.2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 거주 기간 10년 이상의 일본 이주여 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산출하는 한국어 말소리의 특징을 음향학적으로 분석해 보고 이를 한국인 여성과 비교ㆍ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모음 /a/, /i/, /u/, /e/, /ɛ/, /o/, /ɔ/, /ɯ/를 연장발화하게 한 후 각 모음의 포먼트를 Multi-Speech 프 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사하고, 측정된 모음 중 /a/, /i/, /u/를 이용하여 모음공간면적 을 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자음 산출 시 정확성을 알아보기 위해 U-TAP을 사 용하여 단어 수준과 문장수준에서 자음정확도와 모음정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연 구에 참여한 일본인 결혼 이주여성은 모두 8명이었으며, 한국 거주기간은 평균 16.25(±4.37)년, 나이는 49.13(±5.3)세였다.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이 2명 이었고 나머지는 고등학교 졸업의 학력 수준을 나타냈다. 한국어 모음의 제1포먼트 와 제2포먼트의 평균은 각각 다음과 같다. /a/(947.75±99.4/ 1463.63±103.63), /i/(346.38±30.06/ 2689.8±298.16), /u/(368.25±32.63/ 1355.25±271.04), /e/(523.88±41.91/ 2334.38±157.97), /ɛ/(522.5±42.65/ 2383.5±174.19), /o/(459.75±38.67/ 866.25±74.34), /ɔ/(599.13±103.55/ 1045.75±113.99), /ɯ/(386.38±43.65/ 1269.75±198.63) 모음 /a/, /i/, /u/를 사용하여 구한 모음공간면적 의 평균은 428483(±139050.1)이었으며 낱말 수준에서 자음 및 모음정확도의 평균은 88.08(±6.63)%, 96.25(±5.18)%로 나타났다. 문장 수준에서는 자음정확도의 경우 89.82(±8.7)%, 모음정확도는 96.25(±5.18)%였다. 자음 정확도에 부적 영향을 끼친 주 조음 오류는 종성에서의 대치와 경음의 격음화 현상이었다.

      • 모음의 음향학적 특징과 사회언어학적 변인과의 상관관계 - 베트남 결혼이민자 여성을 대상으로

        윤은미,서성교,강진석,김현기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2 다문화의사소통 Vol.1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relation between Korean vowels' characteristic produced by Vietnamese migrant females and Sociolinguistic variations. For this, Twenty Vietnamese migrant females participated. Subjects were instructed to use comfortable conversational levels of pitch and loudness while sustaining the 7 Korean vowels /a/, /i/, /u/, /e/, /o/, /ɔ/, /ɯ/. Speech samples were analyzed using CSL system on linear predictive coding(LPC). Intrinsic formant frequency, formant frequency(F1, F2, and F3), and vowel working space area were used for searching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subjects answered survey questionnaire written in Vietnames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Age and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of the Sociolinguistic variation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Vietnamese migrant females' vowel working space area. In addition, Subjects' vowel working space area and bark scale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uniqu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some vowel parameters and sociolinguistic variations made an effect on vowel's working space areas and bark scale.(Chonbuk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전북지역 읽기 곤란 초등학생의 언어 중재 서비스 방향에 관한 연구

        윤은미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2022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reading ability using BASA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suspected of having reading difficulties, and to present a future direction of reading intervention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after conducting a questionnaire through teacher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the most appropriate number of times was once to twice a week, and the most frequent was 30 to 40 minutes, and 85% of the positive answers about the intervention effect. There were differences by grad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ading performance results according to gender. When providing reading intervention services in the future, intervention services reflecting research results should b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곤란이 의심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BASA를 이용해서 읽기 능력을 평가하고 선생님을 통해 설문을 진행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읽기 중재 서비스 방향에 대해 제시하는 데 있다. 9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읽기 능력 평가 결과와 선생님이 작성한 40개의 설문지 결과를 SPSS 18.0 을 이용해서 빈도 분석과 t-test를 진행하였다. 설문 결과 가장 적절한 횟수로 주 1회에서 2회를, 시간은 30 분에서 40분이 가장 많았고 중재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대답이 85%였다. 학년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성별에 따른 읽기 수행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향후 읽기 중재 서비스 제공 시 연 구 결과를 반영한 중재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습자 수준과 평가자 변인에 따른 단어 명료도 측정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윤은미,김현기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어 교육 Vol.24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Korean language learner’s word intelligibility is consistent across listener’s differing in linguistic acknowledge background and to search the word intelligibility by Korean leaners level. For this, six basic level and six intermediate level Chinese learners participated. Subjects were instructed to use comfortable conversational levels of pitch and loudness while taking 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PCAT). Word intelligibility rates obtained from three groups consisted of students, korean instructors and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There was no word intelligibility difference significantly by Korean leaners level. However, Subjects’ word intelligibility evaluation depending on raters variation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 B and C. Speakers’ gender and Raters’ gender had a negative effect on word intelligibility mildly.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positive relationship Korean leaners level and word intelligibility and raters variation had an effect on evaluation of word intelligibilit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