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답전윤환지에서 이랑너비에 따른 기장의 생육특성 및 수량

        윤동경,오승기,이병진,전현식,정기열,강항원,전승호,조영손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stable production of proso millet on the rotational paddy-upland field by looking out the physicochemical and moisture characteristics of soil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by ridge width. Plant height showed Manhongchal was the smallest 71.3 cm in 240 cm wide of ridge in the first year, Ibeakchal was the highest 69.7 cm in 60 cm wide in the second year, Hwanggeumchal was the highest 72.8 cm in 60 cm wide in the first year. The retention time of the excess water in the soil during cultivation was extended wider the width of ridge. The variation width of the water content was higher by the wider the width of ridge. Yield components showed the longest ear length were 35.1 cm of Manhongchal, 34.8 cm of Ibeakchal in 60 cm wide of ridge in the first year. As the width of ridge extended, ear weight of all variety increased. 1,000 seed weight of the 60 cm wide of ridge was Manhongchal 6.8%, Ibeakchal 46.2% heavier than the 240 cm wide of ridge. Yield showed Manhongchal 221, Ibeakchal 223, Hwanggeumchal 225 kg;10a-1 in 60 cm wide of ridge in the first year. The similar pattern of amount showed Manhongchal 278, Ibeakchal 221, Hwanggeumchal 200 kg;10a-1 in 60 cm wide of ridge in the second year. This showed Manhongchal 103%, Ibeakchal 119%, Hwanggeumchal 85.2% was more than the 240 cm wide of ridge.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기장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논 재배시 이랑너비에 따른 기장의 생육특성및 토양의 이화학성, 수분특성을 알아봄으로써 논 재배 시기장의 안정적인 생산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장의 논 재배시 이랑너비에 따른 초장은 만홍찰에서1년차에서는 240 cm 처리구에서 71.3 cm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이백찰은 2년차에서 60 cm 처리구에서 9.7 c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황금찰에서는 1년차에 60 cm 처리구에서 72.8 c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재배기간 중 습해 피해를 받게 되는 토양의 과잉수 정체시간은 이랑너비 240 cm 처리구에서 1,006시간으로나타나 이랑너비가 넓을수록 토양 내 과잉수 정체기간이 길어져 과습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이랑너비가 넓을수록 수분함량의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3. 수량구성요소에서 이삭장은 1년차의 만홍찰과 이백찰이 60 cm 처리구에서 35.1, 34.8 cm로 가장 길었으며, 이삭당 종실중은 1년차의 60 cm 처리구에서 만홍찰6.9, 이백찰 7.8, 황금찰 8.7 g으로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2년차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나타나 이랑너비가 좁아질수록 3품종 모두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천립중에서는 만홍찰과 이백찰이 240 cm 처리구와 비교해60 cm 처리구에서 연차간 최대 6.8%, 46.2% 더 무겁게 나타났다. 4. 수량에서는 1년차에는 60 cm 처리구에서 만홍찰 221, 이백찰 223, 황금찰 225 kg.10a-1으로 240 cm 처리구와비교해 만홍찰 30.8%, 이백찰 92.2%, 황금찰 47.1% 증수되었다. 2년차에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60 cm 처리구에서 만홍찰 278, 이백찰 221, 황금찰 200 kg.10a-1으로 240 cm 처리구와 비교해 만홍찰 103%, 이백찰 119%, 황금찰 85.2% 증수되었다.

      • KCI등재

        노인의 외로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윤동경,정영미,신진이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2 한국융합인문학 Vol.10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외로움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사회복지적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령화 연구패널’ 7차연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만 65세 이상 노인 4,253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외로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로움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의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외로움이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외로움으로 인해 삶의 만족도가 낮아질 때 사회적 지지로 인해 삶의 만족이 높아지는 매개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 지지의 방향 모색 및 사회복지적 지원방안을 제언하고, 외로움 해소 등의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The Weight Control in Adolescents Affecting on the Stress by Mediating Subjective Body Shape Cognition

        윤동경,정영미,김영수,이홍직,승태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0 생명연구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whether weight control influences stress cognition in adolescence and subjective body shape cognition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weight control and stress cognition. To do this, 62,823 adolescents from the first year of junior high school to the third year of high school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14th (2018)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eight control of adolescents was found to affect stress cognition. In other words, weight control was found to increase stress awareness in adolescents. Second, subjective body shape cogni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weight control affecting stress cogni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providing a program to build an appropriate body shape cognition at school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adolescents’ stress.

      • KCI등재

        평년기상을 활용한 우리나라의 콩 재배지역 구분

        윤동경,박 재성,서진희,원옥재,최만수,이현수,이채원 한국작물학회 2024 한국작물학회지 Vol.69 No.1

        적 요우리나라 주요 밭작물의 하나인 콩 재배에서 기상에 맞는 재배 양식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콩 작황시험 생육 및수량 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콩에 영향을 끼치는 기상요소를 추출하고 재배지역을 구분하였다. 1. 밀양과 수원지역의 콩 10년 동안의 작황시험 결과와 기상자료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콩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소를 분석한 결과, 생육 특성과 영양생장기 기상과의상관관계는 일교차, 강수량과 최저온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량특성과 생식생장기 기상과는 일교차, 강수량, 최고온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추출한 기상요소와 위도, 해발고도를 포함해 콩의 재배지역 구분을 위해 k-means clustering을 실시한 결과, 지역은 세 가지로 나누어졌으며, zone 1은 중부내륙지역과경기도 남부지역, zone 2는 서해안 남부지역, 동해안 남부지역과 남해지역, zone 3은 경기도 동부 일부지역과강원도 및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이 포함되었다. 3. 세 가지 지역 중 위도의 범위가 넓은 zone 1을 세 가지지역으로 세분한 결과, Zone 1-1은 다른 두 지역에 비해위도가 낮았으며, 강수량이 적은 특징을 가진다. Zone 1-2는 다른 두 지역에 비해 짧은 일조시간과 높은 기온이 특징적이었다. Zone 1-3은 위도 상으로는 두 지역의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일조 시간이 길면서 일교차가 큰특징이었다. 4. 본 연구에서 콩 재배를 위한 한국의 재배지역은 크게 3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작게는 5가지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기상 요소 및 생육 정보를 기반으로 한 재배지역을구분함으로써 국내 콩 생산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였다. ABSTRACT A region can be divided into cultivation zones based on homogeneity in weather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crop growth and yield. This study classified the cultivation zone of soybean using weather indices as a prior study to classify the agroclimatic zone of soybean. Meteorological factors affecting soybeans were determin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ver a 10 year period (from 2013 to 2022) using data from the Miryang and Suwon regions collected from the soybean yield trial database of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and the meteorological databas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nd the minimum temperature, daily temperature range, and precipitation were high during the vegetative growth stages. Moreover, the correlation between yield components and the maximum temperature, daily temperature range, and precipitation were high during the reproductive growth stages. As a result of k-means clustering, soybean cultivation zones were divided into three zones. Zone 1 was the central inland region and southern Gyeonggi-do; Zone 2 was the southern part of the west coast,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coast, and the South Sea; and Zone 3 included parts of eastern Gyeonggi-do, Gangwon-do, and areas with high altitudes. Zone 1, which has a wide latitude range, was further subdivided into three cultivation z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imating ag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ing the success of soybean cultivation in South Korea.

      • KCI등재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동경,김선희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3 한국융합인문학 Vol.11 No.1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성공적 노화를 위한 의료복지서비스 개입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KLoSA) 제8차년도(2020년)> 원자료를 사용하였고, 문헌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SPSS 25.0, SPSS PROCESS Macro의 Model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함으로써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의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하다. 둘째,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의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 높다. 셋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는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답전윤환지에서 이랑너비에 따른 기장의 생육특성 및 수량

        윤동경,오승가,이병진,전현식,정기열,강항원,전승호,조영손 한국작물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0 No.2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기장의 생산량 증대와 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논 재배시 이랑너비에 따른 기장의 생육특성 및 토양의 이화학성, 수분특성을 알아봄으로써 논 재배 시 기장의 안정적인 생산을 확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장의 논 재배시 이랑너비에 따른 초장은 만홍찰에서 1년차에서는 240 cm 처리구에서 71.3 cm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이백찰은 2년차에서 60 cm 처리구에서 9.7 c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황금찰에서는 1년차에 60 cm 처리구에서 72.8 cm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재배기간 중 습해 피해를 받게 되는 토양의 과잉수 정체시간은 이랑너비 240 cm 처리구에서 1,006시간으로 나타나 이랑너비가 넓을수록 토양 내 과잉수 정체기간이 길어져 과습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랑너비가 넓을수록 수분함량의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다. 3. 수량구성요소에서 이삭장은 1년차의 만홍찰과 이백찰이 60 cm 처리구에서 35.1, 34.8 cm로 가장 길었으며, 이삭당 종실중은 1년차의 60 cm 처리구에서 만홍찰 6.9, 이백찰 7.8, 황금찰 8.7 g으로 가장 무겁게 나타났다. 2년차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나타나 이랑너비가 좁아질수록 3품종 모두 무거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천립중에서는 만홍찰과 이백찰이 240 cm 처리구와 비교해 60 cm 처리구에서 연차간 최대 6.8%, 46.2% 더 무겁게 나타났다. 4. 수량에서는 1년차에는 60 cm 처리구에서 만홍찰 221, 이백찰 223, 황금찰 225 kg·10a-1으로 240 cm 처리구와 비교해 만홍찰 30.8%, 이백찰 92.2%, 황금찰 47.1% 증수되었다. 2년차에도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 60 cm 처리구에서 만홍찰 278, 이백찰 221, 황금찰 200kg·10a-1으로 240 cm 처리구와 비교해 만홍찰 103%, 이백찰 119%, 황금찰 85.2% 증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stable production of proso millet on the rotational paddy-upland field by looking out the physicochemical and moisture characteristics of soil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by ridge width. Plant height showed Manhongchal was the smallest 71.3 cm in 240 cm wide of ridge in the first year, Ibeakchal was the highest 69.7 cm in 60 cm wide in the second year, Hwanggeumchal was the highest 72.8 cm in 60 cm wide in the first year. The retention time of the excess water in the soil during cultivation was extended wider the width of ridge. The variation width of the water content was higher by the wider the width of ridge. Yield components showed the longest ear length were 35.1 cm of Manhongchal, 34.8 cm of Ibeakchal in 60 cm wide of ridge in the first year. As the width of ridge extended, ear weight of all variety increased. 1,000 seed weight of the 60 cm wide of ridge was Manhongchal 6.8%, Ibeakchal 46.2% heavier than the 240 cm wide of ridge. Yield showed Manhongchal 221, Ibeakchal 223, Hwanggeumchal 225 kg·10a-1 in 60 cm wide of ridge in the first year. The similar pattern of amount showed Manhongchal 278, Ibeakchal 221, Hwanggeumchal 200 kg·10a-1 in 60 cm wide of ridge in the second year. This showed Manhongchal 103%, Ibeakchal 119%, Hwanggeumchal 85.2% was more than the 240 cm wide of ridge.

      • 정신장애인의 자기낙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동경 ( Youn Dong-kyoung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자기낙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을 위해 활용한 데이터는 2017년 보건복지연구용역 과제를 수탁하여 수집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 2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할 대상은 ‘2017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에 참여한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개인이다. 지역사회 내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 사회서비스 바우처(정신건강 토탈케어 서비스) 이용자 총 1,000명이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었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분석대상자의 자기낙인은 자아존중감과 부적(-)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자기낙인과 사회참여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신장애인의 낙인은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참여는 자기낙인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내재적 낙인으로 자기낙인화 되어 자아존중감을 낮추지 않는 사회참여의 기회확대와 법 개정을 통한 활동지원서비스의 확대가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self-stigma on self-respect and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in mentally disabled people. Th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used for the second round of the Survey on the Status of Mental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7. The subjects to be analyzed in this study are individuals with mental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who participated in the 2017 Survey on the Status of Mental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A total of 1,000 users of mental health welfare centers,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social service vouchers (mental health total care services) in the community were subject to research. The 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effects. First, the study found that self-stigmatizing of the person under analysis has a self-respect and malign relationship. Second, after analyzing the impact of self-stigma and social participation of mentally disabled people on self-esteem, the stigma of mentally disabled people has a negative effect on self-respect. Third, social participation has been shown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self-respect.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it is urgent to expand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and expand activity support services through law revisions that do not lower self-esteem as mentally disabled people are branded as inherent stig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