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생태계에서 주요 GM작물과 근연종 간의 자연 교잡 가능성

        육민정,김도순 한국잔디학회 2022 Weed & Turfgrass Science Vol.11 No.4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and their relatives is the first gateway for introgression to the ecosystem and consequent environmental risk. Therefore, we review the related information on transgene flow from GM crops to their relatives in the Korean ecosystem, such as introduced traits,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endemic relatives, and the gene flow occurrence of major GM crops. Besides non-GM cultivars, wild soybean, seven Brassicaceae species, and weedy rice are distributed nationwide in Korea. The maximum gene flow rate from GM to wild soybean was reported at 0.292%. The maximum gene flow rates from GM oilseed rape to Brassica juncea and Brassica rapa were 0.076% and 1.2%, respectively. The hybridization rate from GM to weedy rice was generally less than 0.05% but ranged up to 4.2%. Because there are no wild or weedy relatives of GM maize and cotton in Korea, the gene flow to their relatives is expected to be relatively low. Our review suggests that the transgenes of GM soybean, oilseed rape, and rice can be introgressed into their cultivated, wild or weedy relatives by pollen-mediated gene flow, and may persist in the ecosystem depending on the fitness of the hybrid progenies. 본 연구는 주요 GM작물의 유전자이동에 의한 환경위해성에 대한 이해와 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수행되었으며, 세계 4대 GM작물인 콩, 유채, 옥수수, 면화 및 국내 주곡 작물인 벼의 도입형질, 생식 특성, 교잡가능 근연종 및 국내 분포하는 근연종과의 교잡율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고찰하였다. 콩은 국내 원산인 작물로서 일년생 야생종인 돌콩이 전국적으로 자생하고 있으며, 국내 포장조건에서 GM콩과 돌콩 간 교잡은 최대 0.292%이었다. GM 유채는 종간 교잡이 가능한 갓, 양배추 및 배추와 속간 교잡이 가능한 모래냉이, 소래풀, 서양무아재비 및 무 등 7종의근연종이 국내에서 재배 또는 자생한다. 국내 농업환경 조건에서 수행한 실험에서 GM유채와 근연종 간 최대 교잡율은 갓, 배추에서 각각 0.076% 및 1.2%에 달하였다. GM벼는 교잡이 가능한 재배벼가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으며, 잡초성벼가 자생한다. 야외 포장에서 GM벼로부터 잡초성 벼(앵미)로의 유전자 이동율은 대체로 0.05% 미만이었으나, 최대4.2%의 교잡율이 보고되기도 하였다. GM옥수수 및 면화는 국내에 교잡 가능한 야생 근연종이 분포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유전자이동에 의한 생태계 침투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적으로 GM콩, GM유채, GM벼의 경우 도입유전자가 국내 생태계에 분포하는 근연 재배종, 야생종 또는 잡초종으로 이동 가능하며, 교잡후대종의 적응성에 따라 국내 생태계에 지속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GM콩 및 야생콩 간 교잡후대의 잡초화 가능성

        육민정,김도순 한국잔디학회 2023 Weed & Turfgrass Science Vol.12 No.4

        Natural hybridization between genetically modified (GM) soybean and wild soybean may result in the transgene dispersal into the ecosystem and consequently leads to genetic pollution in wild soybean. In this study, we reviewed studies on transgene flow from GM to wild soybeans and fitness of their hybrid progeny to estimate potential weedy risk of hybrids resulted from gene flow between GM and wild soybeans. In the interspecific hybridization of GM soybean and its direct ancestor, wild soybean, the maximum gene flow rate was reported to be 0.73% and the maximum distance of pollen dispersal was 8 m. The hybrids exhibited the intermediate fitness of the parental soybeans in their seed dormancy, vegetative growth, and reproductive growth, while their seed production was greater than the parents. The fitness of hybrids is relatively higher than GM soybean and increased with generation advancement compared to earlier generations. Although their relative competitiveness depending on the vegetation composition of the natural and agricultural ecosystem, the hybrid progenies may persist by subsequent selfing or transgene flow to another wild soybean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where wild soybean inhabits naturally.

      • KCI등재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억새(Miscanthus Spp.)의 종자 발아 향상

        육민정,임지수,정지훈,김도순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4

        Miscanthus spp. is a perennial rhizomatous C4 grass and used to be considered as a weed in orchard and riparian areas. Due to its unique phenotypic characteristics, it has also been considered as a promising multifunctional plant for biomass, gardening, and conservation. However, its propagation is mainly been made using rhizomes rather than seeds due to its improper seed propagation metho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ogenous chemicals, GA3, KNO3, NaClO and prochloraz, to improve seed germination. Miscanthus seeds placed on petri dish were treated with GA3, KNO3, NaClO and prochloraz solutions at a range of concentrations and daily germinated seeds were recorded. Among the tested chemicals, GA3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improving seed germination of both Miscanthus species (Miscanthus sacchariflorus, dkwlMiscanthus sinensis ) with particular increase in germination rate. In the cases of the other chemicals, seed germination was slightly improved at lower concentrations of KNO3 and NaClO, while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and with increasing prochloraz concentration. Our study concluded that 50 mg/L GA3 and 10 mg/L GA3 are the most eff ective chemical treatments for improving seed germination of M. saccharifl orus and M. sinensis, respectively. Our fi ndings can be used for the mass propagation of Miscanthus spp. by their seeds and for seed germination study of other grass species. 억새는 다년생 화본과 식물로서 조경용, 바이오매스용, 생태복원용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이 기대되는 식물이다. 그러나 종자 발아 및 번식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근경을 통한 번식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억새 중에서도 산업적 가치가 높은 참억새 및 물억새의 원산지로서 종자번식이 가능한 억새 품종 개발에 유리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억새 종자의 발아특성 최적발아조건 연구 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종의 발아촉진제(GA3, KNO3)와 2종의 종자소독제(NaClO, Prochlaz)의 처리가 억새 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억새의 발아 향상을 위한 최적 화합물 및 농도조건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KNO3 및 Prochloraz 처리는 발아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고농도에서 발아율 및 발아 속도가 모두 저해되므로 억새 종자 처리 방법으로 부적합하다. NaClO 처리 시 0.3% 용액에 침지 후 파종한 물억새의 초기 발아 속도가 가장높았으며, 부가적으로 종자 소독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억새 종자 처리방법으로 고려해봄직하다. GA3 처리 시 초기발아 속도는 물억새 50 mg/L, 참억새 10 mg/L 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는 다른 화합물 처리의 최적 결과보다 양호하여 억새 종자 발아 향상을 위한 최적 처리 조건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억새의 종자를 통한 대량 번식법 확립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화본과 식물의 종자 발아 및 증식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내 중등 컴퓨터교육 연구주제 동향분석

        민정원(Jeongwon Min),심재권(Jaekwoun Shim)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1

        우리나라의 중등 컴퓨터와 관련된 교육은 2차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등 컴퓨터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우리나라 중등 컴퓨터교육의 역사라고 할 수 있는 컴퓨터교육 학회 논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의 창간호에서 24권 4호까지 출간된 논문을 모두 선정하여 제목, 국문초록, 결론의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여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수학습방법, 교육과정, 교육효과, 컴퓨팅사고력, 교육시스템, 컴퓨터과학, 교육환경, 컴퓨터활용, 학습분석 토픽이 도출되었다. 연도별 토픽의 비율에 대한 추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교육효과, 학습분석 토픽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시스템, 교육환경 토픽은 하락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의의는 임의로 분류체계를 설정하여 중등 컴퓨터교육의 토픽을 도출하기 보다는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를 통계와 확률에 기반하여 객관적으로 클러스터링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Computer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has undergone major transitions over the past years, from the second National Curriculum to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15.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research topics covered in secondary computer education, focusing on research studies published b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which fully represents the history of secondary computer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perform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based topic modeling analysis, research papers were collected from its first issue, where titles, abstracts, and conclusion parts were extracted and used for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nine topics on teaching-and-learning, curriculum, educational effect,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system, computer science, education environment, computer use, and learning analytics have been covered in the studies to date. In addition, the change from yearly topic proportions shows that curriculum, educational effect, learning analytics are found to be "hot-Issue", and education system, education environment are to be "cold-Issue."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have great significance in that topics are clustered based on objective methodology using statistic and probability, instead of being classified by the researchers" subjective criteria.

      • KCI등재

        트위터(Twitter) 이용과 정치 참여: 트위터 이용 형태를 중심으로

        민정식 ( Jeong Sik Min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2 언론과학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SNS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트위터의 정치참여 효과를 트위터의 기능적인 특성을 반영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트위터 이용자들은 트위터 비이용자에 비해 정치 토론에 많이 참여하고, 토론의 자리에서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하는 경향을 보였다. 트위터의 팔로어 수가 많으며, 트윗 작성 건수가 많을수록, 사회·정치 관련 공인이나 단체의 트윗을 많이 구독할수록 정치 토의 참여, 정치의견 피력, 정치행사참여, 투표참여의향 등 정치 참여의 수준은 높았다. 리트윗 횟수가 많고, 사회·정치 관련 트윗을 많이 작성할수록 전반적인 정치 참여의 효과가 높았다. 트윗과 리트윗 이용정도에 따라 4개 집단으로 나눠 정치 참여 정도를 분석한 결과 트윗과 리트윗을 많이 작성하는 집단이 정치 토의에 활발하게 참여했다. 리트윗 분야에 있어 사회정치 관련 트윗을 많이 리트윗할수록 정치토의 참여 정도가 높았다. 이 연구는 트위터의 기능적 특성을 반영해 트위터의 정치 토의 참여, 정치의견 피력, 정치행사참여, 투표참여의향 등 정치참여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데서 큰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s into the influence of Twitter on the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As result, Twitter users are more eager to participate in political discussion than non users. They are more active to express their one opinion than non users. Users who have more followers, who made more tweets, who follow many opinion leaders shows brisk political participation. Users who made more retweets, who made more tweets relate with political issues are active at political participation. Users who made more retweets concern with political issues are also brisk at political participation. As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ical effect of Twitter`s functional characters closely, this study has great implication on Twitter study with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 활용 간의 관계

        민정,신동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re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In this study, teachers overseeing classe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in preschools and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indicated strong general trends of digital technology in the order of skill, knowledge, and attitude. In the case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the smartphone and search program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emale teachers, teachers under the age of 30,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igital-related training showed higher results. In the case of digital media utilization, teachers with higher age in charge and with experience in digital-related training experience used digital media more frequently. Third, there was an overall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digital media ut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technology knowledge, skill, attitude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의 활용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만 3, 4, 5세 유아반 담임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관련하여 기술, 지식, 태도 순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디지털 매체 활용의 경우 하드웨어는 스마트폰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소프트웨어의 경우 전반적으로 제작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서는 여성이, 연령에서는 30대 미만이, 디지털 관련 연수 경험 여부에서는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 기술,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 매체 활용의 경우 담당 연령이 높고 디지털 관련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일수록 디지털 매체를 더 자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와 디지털 매체 활용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사의 디지털 테크놀로지 지식, 기술, 태도의 특성을 밝히고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디지털 매체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Mental Health Promotion and Illness Prevention: A Challenge for Psychiatrists

        민정,이창욱,이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3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0 No.4

        Mental health is essential for individual and public health. To improve mental health, promotion, prevention, and the treatment of disease are required. These three kinds of interventions are interrelated but independent from one another. Although separate effort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are needed as well as the public need of mental health promotion and well-being, psychiatrists usually are not accustomed to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This review introduces an overview of the concept, subjects according to target populations, and various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of mental illnesses. Based on literatures to date, understanding of developmental psychology, lifestyle medicine, and biopsychosocial contributors of mental health with a macroscopic perspective might help to practice mental health promotion and illness pre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